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쌀 이외 식량작물 생산기반 확충 등 대책 마련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18-10-30 | 조회수 | 5547 |
농림축산식품부는 “쌀을 제외한 식량작물은 기계화율이 낮고 생산·유통 기반 취약 등으로 자급률이 낮은 상황”이라며 “생산기반 확충과 정비 추진 등으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농식품부는 10월 26일 국민일보 <콩 자급률 22%·옥수수 3%… 쌀 수급 매달리다 ‘식량주권’ 놓친다>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습니다. [보도 내용] 주식인 쌀을 제외한 콩, 옥수수 등의 식량작물 및 사과·배 등 종자 80%이상 외국산에 의존하고 있어 식량 주권을 위협 [부처 설명] 농식품부는 국민의 안정적 식량을 공급하기 위해 5년마다 자급률 목표치를 설정하고, 매년 자급률 실적을 점검하는 등 자급률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2022년 식량/곡물자급률 목표치 : 55.4%, 27.3% 쌀은 우리 국민의 주식으로 전체 농업생산액의 14%, 전체 농가의 56%를 차지하는 만큼 중요함 이처럼 쌀 산업이 안정되어야 농가소득은 물론 농촌경제도 안정될 수 있으므로 쌀 중심의 정책이 불가피한 측면도 있음 반면, 쌀을 제외한 식량작물은 기계화율이 낮고 생산·유통 기반이 취약하며 수입산에 비해 국내산 가격이 높아 자급률이 낮은 상황임(2017년 기준 식량자급률 48.9%) * 기계화율(2016년) : 논농업 97.9% 밭농업 58.3% * 국산/수입산 가격차(2017년): 콩 4.2배, 밀 3.7, 팥 5.3, 녹두 1.6 쌀 이외의 식량작물은 생산 뿐만 아니라, 소비기반이 취약하여 생산이 늘면 가격이 하락하는 등 수급불안 문제도 있음 올해 보리의 생산 증가* 및 밀의 재고** 문제에서 보듯이 생산이 늘더라도 수요처가 확보되지 않으면 가격이 하락하여 농업인이 손실을 입을 수밖에 없음 * 2017년 보리 재배면적 급증에 따라 약 2만톤이 과잉 생산되어 가격 하락이 우려되어 농협에서 전량 수매 추진 ** 밀은 계속되는 소비정체로 2017년산 15천톤(9월말)이 민간재고로 남아있는 상황 이에 농식품부는 콩·밀을 포함한 주요 식량작물의 생산기반을 확충하고 수요를 확대하는 등 쌀 이외 타작물을 생산하는 농업인의 소득이 안정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임 올해부터 시행 중인 생산조정을 통해 기존에 쌀을 재배하던 농지에 콩을 포함한 주요 식량작물이 재배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자급률을 제고할 계획임 또한, 쌀 이외 식량작물의 주산지를 중심으로 기계화·단지화를 추진하여 생산기반을 확충하는 한편, 밭작물 기계화율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가고 농지 범용화 등 생산기반 정비를 추진해 나갈 계획임 소비 확대를 위해 군·학교 등 공공기관 급식과 연계한 대량 수요처를 중심으로 수요 확대도 촉진하겠음 아울러, 쌀에 편중되어 있는 직불제 개편을 통해 쌀 중심의 생산구조를 개선하고, 다른 품목의 소득안정 및 재배확대를 도모하여 균형된 작물생산과 곡물자급률을 향상해 나가겠음 * 전체 직불금 대비 쌀직불 편중 : (2015년) 77.3% → (2016년) 80.7% → (2017년) 80.7% 이와 함께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사과·배와 같은 외국산 종자 점유율이 높은 작물을 국산으로 대체하기 위해 국산 품종개발 및 보급 확대를 위해 지속 노력하겠음 * 식량종자(벼, 보리, 서류, 식용콩) 자급률은 100% 수준 * 딸기 국산품종 자급률은 (2012년) 74.5% → (2017) 93.4%로 확대 * 사과/배 국산품종 자급률(2017년 기준) : 18.9%, 13.8%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과(044-201-1815), 종자생명산업과(044-201-2475) 2018.10.29 농림축산식품부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5219 | 2,642 | ||
5218 | 2,259 | ||
5217 | 2,641 | ||
5216 | 2,404 | ||
5215 | 2,593 | ||
5214 | 3,572 | ||
5213 | 14,108 | ||
5212 | 14,372 | ||
5211 | 3,458 | ||
5210 | 5,5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