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마늘 공급과잉물량 86천톤중 49천톤 시장격리, 잔량 37천톤은 소비확대 등 추진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13-08-05 | 조회수 | 8779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2013년산 마늘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여 마늘가격의 하락세가 지속됨에 따라 ’13.7.31.「마늘 수급점검회의」및「농산물 수급조절위원회」를 긴급히 개최하고, 수급안정 대책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마늘 수급점검회의 : 농협·aT·KREI 등 관계기관과 마늘산업연합회, 마늘 주산지 농협장, 마늘가공협회장 등 참석 ❍ 올해 마늘 생산량은 재배면적 증가와 생육기 작황호조 등으로 전년 및 평년보다 크게 증가한 412천톤(통계청, 7.25)이며, * 재배면적 : 29,352ha (전년(28,278)비 3.8%↑, 평년(25,928)비 12.2%↑) * 생산단수 : 1,405kg/10a(전년(1,199)비 17.2%↑, 평년(1,253)비 12.1%↑) * 생 산 량 : 412천톤 (전년(339)비 21.5%↑, 평년(325)비 26.8%↑) ❍ ‘13년산 마늘 수급은 평년 수요량 대비 공급 가능량이 86천톤 많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마늘 산지가격 및 도·소매 가격은 지난 6월 이후 하락세에 있다. * 수요량 및 민간수입량은 평년 기준, 생산량은 통계청 통계 기준 * 산지공판장(창녕) 가격 : 개장일(7.12) 1,800원/kg대 → 최근 1,600원/kg대(전년동기 3,300원) ‘13년산 마늘 수급 및 가격안정을 위해 지난 6월부터 추진중인 정부 수매비축을 9.2천톤에서 15천톤으로 확대하는 한편, 공급과잉물량 86천톤 중 49천톤(57%)를 시장에서 확실히 격리하고 잔량은 소비확대 등으로 해소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로 하였다. 《시장 격리》: 49천톤 ① 시장접근물량(TRQ) 14천톤을 전량 건조마늘로 도입·보관 ② 정부 수매비축물량을 당초 9.2천톤에서 15천톤으로 확대하여 보관 ③ 농협 계약재배 확대물량 10천톤 및 자체수매 물량 10천톤 보관 《소비확대 등 민간수급조절 유도》: 37천톤 ① 자조금 등을 통한 판촉행사, TV 홍보 등을 통해 소비확대(20천톤) ②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민간수입(5년평년 47천톤) 축소 유도(30천톤 수준) * 연도별 민간 수입량 : ’08년산 37천톤, ‘09년 23, ’10년 76, ‘11년 78, ’12년 28 TRQ·정부수매 등 시장격리 물량 49천톤은 최소한 금년말까지 시장에 방출하지 않을 계획이며, ‘14년 이후 방출시에도 마늘가격 및 수확시기 등을 감안하여 ’농산물수급조절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방출시기를 결정하기로 하였다. ❍ 또한, 현장의 요구를 받아들여 농가에 보관중인 마늘을 자체 수매하는 농협에 대해서는 보관비 등을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기로 하였다. 한편, 7월 26일 생산자-유통업체-농식품부간 합의한 결과에 따라 8월 2일 수급안정 및 직거래 활성화를 위한 실무협의체를 처음으로 가동해서 아래 사항을 논의하기로 하였다. ① 한우, 마늘, 감자 등 품목에 대한 특판전 개최 등 소비확대 방안 ② 유통업체 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부지원 방안 농림축산식품부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5009 | 5,240 | ||
5008 | 8,790 | ||
5007 | 8,765 | ||
5006 | 8,779 | ||
5005 | 9,356 | ||
5004 | 9,783 | ||
5003 | 8,510 | ||
5002 | 9,397 | ||
5001 | 8,683 | ||
5000 | 10,1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