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올해 쌀 생산량 422만4000톤…1.7% 감소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11-11-21 | 조회수 | 4325 |
<P><STRONG>논 면적 줄고 타 작물로 전환 등 영향<BR></STRONG></P><P><SPAN id=bodyArea>올해 쌀 생산량이 재배면적 감소와 타 작물 재배사업 등으로 지난해보다 1.7% 감소했다.<BR><BR>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11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총 422만4000톤으로 전년보다 7만1000톤(-1.7%), 평년보다 2만6000톤(-0.6%) 각각 줄었다.<BR><BR>올해 벼 재배면적은 논 면적이 줄고 타 작물 재배사업 추진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4.3% 감소한 85만4000ha로 집계됐다. <BR><BR>이에 따른 단위면적(10a)당 쌀 생산량은 496㎏으로 전년의 483㎏보다 2.7% 늘었다.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조정 현백률 90.4% 적용 시 482㎏으로 나타났다.<BR><BR>가지치는 시기(분얼기, 6월 상순~7월 상순)부터 낟알이 형성되는 시기(유수형성 및 수잉기, 7월 상순~8월 상순)의 강우량 증가와 일조시간 부족으로 포기당 유효이삭수는 감소했으나, 벼 낟알이 익는 시기(등숙기, 9~10월)에 충분한 일조시간과 적은 강우량으로 전년보다 쭉정이가 적고 낟알도 충실하게 영글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BR><BR>도별 쌀 생산량은 벼 재배면적이 가장 큰 전남이 82만9000톤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80만5000톤)과 전북(68만4000톤)이 뒤를 이었다. <BR><BR>단위면적당 생산량은 충남이 527㎏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전북 524㎏, 경북 516㎏ 순으로 나타났다.<BR><BR>문의: 통계청 사회통계국 농어업통계과 042-481-2479</SPAN>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4949 | 8,129 | ||
4948 | 8,494 | ||
4947 | 8,285 | ||
4946 | 4,662 | ||
4945 | 4,325 | ||
4944 | 4,694 | ||
4943 | 4,314 | ||
4942 | 4,222 | ||
4941 | 4,755 | ||
4940 | 4,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