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김장배추·무 재배면적 30% 증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1-11-01 조회수 4695
<SPAN id=bodyArea>&nbsp; 김장배추와 무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30% 가량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BR><BR>&nbsp; 통계청은 28일 ‘2011년 김장배추·무 재배면적 조사결과’를 통해 “김장배추 재배면적은 1만7326ha로 전년보다 28.0%(3786ha)가, 무는 9748ha로 지난해보다 30.4%(2275ha)가 각각 늘었다”고 밝혔다.<BR><BR>&nbsp; 지난해 김장배추와 무 가격이 급등하면서 이에 따른 기대심리로 재배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BR><BR>&nbsp;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배추 도매가격은 ㎏당 1009원으로 381원이었던 전년보다 164.8% 급등했다. 이에 따른 가을배추 10a당 소득도 지난해 220만6000원으로 102만3000원이었던 전년보다 115.6% 늘었다.<BR><BR>&nbsp; 또 정부의 ‘논 소득기반 다양화 사업’ 등으로 논에 배추를 재배하는 면적이 지난해 1090ha에서 올해는 1800ha로 65.1%나 증가했다.<BR><BR>&nbsp; 통계청은 “충북 등 일부 지역에서는 여름에 잦은 호우로 고추 병충해가 발생하자 고추 수확을 포기하고 김장배추를 재배했다”고 설명했다. <BR><BR>&nbsp; 김장무도 같은 이유로 재배면적이 증가했다.<BR>&nbsp; 지난해 김장무의 출하기 도매가격은 ㎏당 1150원으로 339원이었던 전년보다 4.8% 급등했고, 가을무 10a당 소득은 지난해 156만2000원으로 877만원에 그친 전년보다 78.1% 늘어난 바 있다. <BR><BR>&nbsp; 특히 전남·북, 충남, 경기 등 주산지 지역에서 소득증대에 따른 기대심리로 미재배지에 김장무를 추가 재배하거나 고추, 참깨 등의 후기작으로 재배하는 농가도 늘어났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BR><BR>&nbsp; 문의: 통계청 사회통계국 농어업통계과 042-481-3671</SPAN>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949

배추가격 하락한 지난해 10월 이후 수입 안해

8,129
4948

소 사육량 줄고 돼지는 늘어…산지가격 탓

8,494
4947

올해 김장배추·무 생산량 50% 이상 증가

8,285
4946

올해 고추·참깨 수확량 감소…여름 집중호우 탓

4,662
4945

올해 쌀 생산량 422만4000톤…1.7% 감소

4,325
4944

김장배추·무 재배면적 30% 증가

4,695
4943

재래시장·슈퍼 물류시설 취득세 75% 감면

4,314
4942

올해 쌀생산량 421만6천톤…전년대비 1.9% 감소

4,222
4941

유통기한 지난 수입쇠고기 유통된 적 없어

4,755
4940

농수산물 원산지표시 단속 강화

4,319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