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올 상반기 도매시장 거래금액 늘었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08-21 조회수 3922
올 상반기 농작물 작황이 저조하고 수입과일 물량도 감소해 농산물도매시장 거래물량이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출하량이 줄면서 도매시장 거래액은 지난해보다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BR><BR><STRONG>농산물 수급 차질로<BR>7월까지 가락시장 거래물량<BR>전년비 3.3% 감소 반면<BR>과일·채소류 거래액 10% 증가</STRONG><BR><BR>서울시농수산물공사에 따르면 지난 7월말 현재 가락시장 상장경매 거래물량은 과일류가 13만1134톤으로 지난해보다 10% 가량 줄었고, 채소류 또한 111만4239톤으로 지난해보다 2.5%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 7월까지 가락시장 거래물량은 124만5373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28만8465톤보다 3.3% 줄었다. <BR><BR>가락시장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거래금액은 큰 폭으로 신장했다. 과일류의 경우 거래금액이 지난해 7월까지 2640억원에서 올해는 2913억원으로 약 10% 증가한 것이다. 채소류 또한 지난해 1조2813억원에서 1조4133억원으로 10% 신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BR><BR>이에 따라 가락시장 도매법인별 거래금액은 한국청과가 3124억원으로 가장 많고, 중앙청과 3060억원, 서울청과 2920억원, 동화청과 2727억원, 농협공판장 2061억원, 대아청과 1123억원 등의 순서로 기록됐다.&nbsp; <BR><BR>수도권 도매시장 또한 거래량은 줄었지만 거래금액은 상승했다. <BR><BR>구리도매시장은 상반기 거래물량이 18만3000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 줄었으나 금액은 2868억원으로 8.6% 증가했다. 수원도매시장 역시 거래물량은 6만5270톤으로 7.5% 감소했으나 금액은 759억4800만원으로 10.2% 늘었다. 인천 구월도매시장의 경우 물량은 지난해 대비 8.7% 감소한 반면 금액은 6.6% 늘었고 삼산도매시장도 마찬가지로 물량은 1% 줄었지만 금액은 1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BR><BR>이같은 현상은 올해 불규칙한 날씨로 농산물 수급이 원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채소류는 지난해 채소값 하락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한 가운데 올해 3~4월 꽃샘추위로 인해 냉해를 입었고 5월 들어 급격한 기온변화가 나타나 웃자라거나 변질되는 등의 요인으로 출하가 불안정했다. <BR><BR>이와 함께 올해 초부터 수입량이 대폭 감소한 것도 또다른 요인으로 꼽힌다. 높은 환율로 바나나 등 대표적인 수입과일 물량이 대체적으로 감소했다. 뿐만 아니라 마늘, 양파 등 수입량이 많은 품목의 경우 중국 작황 저조, 산지 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수입량이 대폭 줄어 국내 농산물 값이 영향을 받은 것이다. <!-- 기사 내용 끝 --><BR><P align=right>- 출처 :한국농어민신문 (09.8.20)-<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859

바뀐 쌀 직불금 애꿎은 임차농만 ‘속앓이’

3,795
4858

농협, 2008년산 쌀 6만5,500t 1차 매입

3,669
4857

긴급점검 / 풋고추값 급락

3,681
4856

포도 농장서 ‘품질 평가제’ 도입 눈길

3,872
4855

쌀 인터넷 구매 늘고 있다

4,657
4854

올 상반기 도매시장 거래금액 늘었다

3,922
4853

두부·묵, 가락시장서 거래된다

4,229
4852

고랭지 배추 출하 줄어 ‘상승세’

3,533
4851

자두/출하 꾸준·소비 회복세 ‘약보합’

3,867
4850

동쪽은 선선 서쪽은 찜통, 이상기후…농산물 출하 차질

3,614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