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수해복구 차질…농산물 수급 빨간불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08-03 조회수 3460
<P><STRONG>계속된 집중호우로 일부 품목 정식 늦어지고 강원지역은 냉해까지</STRONG></P><P>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복구가 늦어지면서 농산물 수급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로 인해 농산물 가격도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고단가를 이어가고 있다. <BR><BR>7월 중순 집중호우가 지속되면서 대부분의 농산물에서 상품성 하락 현상이 나타나는 등 출하가 원활하지 못했었다. 최근에서야 일부 품목의 정식이 시작되는 등 예정보다 늦어진 것이다. 이로 인해 호박, 오이 등 시설채소의 경우 일부 농가들은 노지 재배로 전환하거나 다른 작목으로 전환하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nbsp;&nbsp; <BR><BR>안산 시설채소 농가 김충식 씨는 “올해는 물이 빠지기도 전에 무더위가 나타나면서 작업이 힘든 상태”라며 “예년같으면 대부분 정식을 했는데 올해는 훨씬 늦어진 경우”라고 말했다.<BR><BR><STRONG>배추 등 품질 떨어져 출하 불안…다음달 중순까지 고가행진 전망 </STRONG><BR><BR>이와 함께 강원도 지역에서는 저온현상이 나타나면서 때아닌 냉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피해가 큰 편은 아니지만 평창, 횡성, 태백 등 준고랭지 지역의 출하가 본격화되는 시점을 앞두고 비 피해에 이어 냉해까지 나타날 조짐이 보이면서 농가들의 근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배추 등 주요 품목에 대한 상품성은 기대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라는 게 농가들의 설명이다. 뿐만 아니라 지난주 제주도 지역에 강풍을 동반한 집중호우로 감귤 등 하우스 농가들의 피해가 나타나고 있는 등 당분간 농산물 출하가 불안정해질 것으로 유통인들은 내다봤다. <BR><BR>이주환 진부농협 판매과장은 “기온의 등락폭이 커지면서 고랭지 채소의 상품성이 예년보다 못한 편”이라면서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지 얼마 지나지 않아 저온현상이 나타나면서 대책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nbsp;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BR><BR>이런 수급 불안정은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더욱이 지방 생산량 감소로 출하 분산이 이뤄진 가운데 대형마트에서는 휴가철을 대비한 여름 행사에 돌입하면서 가격은 여전히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30일 가락시장에서 배추 10kg 상품 평균 가격은 5475원으로 전주 평균 4376원보다 25% 올랐고 지난해 이맘때 평균 3820원보다 43% 상승했다. 적상추 4kg 상품 평균 가격은 2만3424원으로 전주 평균 4만3513원보다 46% 하락했지만 지난해 이맘때 평균 1만9292원보다 21% 올랐다. 깻잎 또한 100속 상품 평균 가격은 1만8484원으로 전주 평균 2만2162원보다 17% 떨어졌지만 지난해 이맘때 평균 1만3529원보다 36% 올랐다. 상추, 깻잎 등 엽채류의 경우 7월 중순이후 가격은 소폭 하락했지만 7월 초와 비교해 30~40% 이상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다. <BR><BR>배영귀 한국청과 경매과장은 “최근 고단가는 8월 중순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는 경향이 많다”며 “정식이 거의 동시에 시작된 만큼 8월 중순 이후 출하가 대량으로 몰리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기사 내용 끝 --><BR></P><P align=right>- 출처 :한국농어민신문 (09.8.3)-<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809

쌀 10만톤 농협중앙회가 구매 ´시장격리´

3,703
4808

가락시장 청과류 도매법인 상반기 매출액 1조2949억원 개장 이래 최대

4,082
4807

화훼공판장 작년 경매실적 3천만개 돌파

3,951
4806

aT ‘바이 코리언 푸드’ 행사서 1,400만달러 농식품 수출 계약

4,127
4805

8월 채소류…무·배추 출하 줄어 작년보다 높은값

3,732
4804

농산물 선물세트 반품 못한다

3,943
4803

수해복구 차질…농산물 수급 빨간불

3,460
4802

아오리 사과, 15kg 상품 2만9198원 낮은값

4,231
4801

지난해 농림업 생산액 39조6626억...전년보다 10.7% 증가

3,430
4800

작년 농림업 생산액 1위 품목은? 쌀

3,502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