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배추/출하 많지 않아 가격 ‘뜀박질’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07-27 조회수 3429
7월초부터 날씨에 따라 오르내리던 배추값이 최근 상승세로 돌아섰다. <BR><BR>23일 가락시장에서 배추 10kg 상품 평균 가격은 4019원으로 전주 평균 3498원보다 15% 상승했고 지난해 이맘때 평균 2598원보다 55% 올랐다. 지난 6월 3000~3500원대와 비교하면 20% 이상 상승한 가격이다. <BR><BR>재배면적이 줄었고 무더위로 출하량이 그리 많지 않다. 이같은 강세는 8월초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상품성이 좋아지는 반면 출하량은 여전히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8월초 산지 거래가격이 지금보다 10% 정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지금보다 소폭 상승한 4000원대 후반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다.<BR><BR><STRONG><IMG src="http://agrinet.co.kr/admin/data/edit/2164-6-2.gif" align=right>10kg 4019원…전년비 55%↑<BR>엽채류값 높아 대체소비 증가<BR>무더위로 물량 줄어 강세 전망</STRONG><BR><BR>▲시장 반입량은 감소 추세=최근 남부지방과 강원도 인근 지역의 출하가 마무리된 가운데 평창, 횡성, 태백 등 준고랭지에서 수확이 본격화되고 있다. 집중호우가 끝난 뒤 곧바로 무더위가 이어지자 짓무름이 발생하는 등 상품성 하락이 나타나면서 산지 폐기 물량도 점차 증가해 시장 반입량이 감소했다. 더욱이 지난해 값하락이 지속되면서 피해가 컸던 강원 지역의 재배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면서 출하량이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포전 거래가격 또한 지난해 4000원대 후반보다 오른 8000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도 배추값 상승에 한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nbsp; <BR><BR>태백 농가 김진호 씨는 “최근 무더위가 며칠 째 기승을 부리니 출하를 못할 정도로 배추가 시들해져 수확량의 30% 정도는 버려야 한다”며 “날씨가 회복되면서 작업은 늘었으나 오히려 시장 반입량은 줄어든 꼴이 됐다”고 말했다. <BR><BR>▲대체 품목 가격 높아 소비 영향=배추 대체품목인 열무, 얼갈이배추, 상추 등 일부 엽채류값이 예년보다 50~60% 이상 급등하면서 배추 소비가 늘었다. 지난 6월 배추값이 고공행진을 하면서 대체품목의 소비가 늘었던 것과 반대현상인 것이다. 이와 함께 배추값이 최근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면서 김치 생산업체들이 산지에서 직접 물량을 확보하고 있는 추세로 시장 반입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동안 장마로 인해 물량 확보가 원활하지 못했던 만큼 하품 위주로 도매시장에 반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중·상품의 대부분이 시장 출하가 되고 있긴 하나 날씨가 워낙 더워 경매 후 상품성 하락요인이 자주 발생하면서 출하자와 중도매인간 분쟁이 늘고 있다. <BR><BR>최현근 대아청과 경매이사는 “대체품목값이 오히려 높다보니 배추 소비가 늘고 있는 현상이 지속되고 출하량이 줄어 가격이 상승했다”며 “그러나 저품질이 섞여 있다보니 분쟁 발생이 급격히 높아져 출하에 신경을 쓸 것을 더욱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P align=right>- 출처 :한국농어민신문 (09.7.27)-<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789

대형마트 치열한 광고전 ‘빈축’

3,584
4788

“전통시장 공동구매로 경쟁력 높여야”

3,448
4787

aT센터, 27일 농식품 박람회 개최

3,703
4786

흑자로 돌아선 김치 수출, “잘 나가네”

3,459
4785

양파 생산량 사상최고 ‘우울’

3,806
4784

배추/출하 많지 않아 가격 ‘뜀박질’

3,429
4783

“계속된 폭우에 수입산 과일만 신났네”

3,511
4782

가락시장 현대화 효과 기대되네.. 거래량 연평균 0.17% 증가...2030년 262만톤 예상

3,633
4781

색다른 농산물 기능도 뛰어나 ´각광´

3,478
4780

버섯, 방학 맞아 급식업체 수요 감소로 하락세

4,061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