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양재동 화훼공판장, 잘나가는 이유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07-20 조회수 3475
<P><STRONG>농가지원 늘려 물량 확보, 우수 중도매인 영입 역점</STRONG></P>양재동 화훼공판장의 매출 실적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R><BR>양재동 화훼공판장 매출실적을 보면 관엽경매가 시작된 1997년에는 261억원, 2003년은 530억원, 2006년은 641억원, 2008년은 754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번 상반기 역시 47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30억원보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BR><BR><STRONG><FONT color=#aea59c><IMG src="http://agrinet.co.kr/admin/data/edit/2161-7-3.gif" align=right>중도매인 점포 확대<BR>다양한 품목 진열로<BR>소비자 선택폭 넓혀</FONT><BR><BR>▲출하물량 확보 위해 총력</STRONG>=화훼공판장은 1991년 개장이후 기존 화훼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던 유사도매시장과 경쟁을 위해 물량 확보에 가장 중점을 뒀다. 직접 농가를 찾아 농가를 지도하고 지역 화훼단체들과 연계를 하는 등 당시 유사도매시장 출하로 어려움에 직면해 있던 화훼농가들을 화훼공판장으로 이끈 것이다. 최근에는 확장공사를 통해 경매장 규모를 1200㎡(360평) 정도 넓혔고 이를 통한 물류 동선 확보와 경매 효율화로 올 상반기 실적 역시 향상됐다. 이와 함께 공동 출하하는 단체 또는 개인 출하자에게 매출 실적의 0.2%(절화) 내지 0.3%(관엽)를 출하장려금으로 지급하는 가운데 이달부터 규격상자에 출하하는 절화류 전품목에 대해 하역비를 면제하기로 하는 등 농가 지원을 늘린 것도 매출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게 화훼관계자의 설명이다. 더욱이 지난해부터 시행한 서면입찰제, 올 3~4월 시범실시한 관엽경매 연장 등도 물량 확보를 위한 대책 중 하나다.<BR><BR><STRONG>▲중도매인 경쟁력 강화</STRONG>=중도매인의 영업력 강화를 위한 노력도 아끼지 않았다. 유통활성화를 위해 중도매인의 분산 능력을 키워야 했기 때문. 최저거래한도액은 2005년 1억5000만원에서 꾸준히 늘려 올해는 1억8000만원으로 상향조정하고 이를 달성하지 못한 중도매인에 대해서는 단계없이 허가취소 처분을 내리는 등 관리를 강화했다. 유사도매시장의 우수한 외부 중도매인을 영입해 중도매인 수는 기존 127명에서 140~150여명으로 화훼공판장 개장 이래 가장 많은 중도매인이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중도매인에 대한 지원도 늘렸다. 중도매인의 영업활성화 지원책으로 장려금 지급기준을 기존 연 거래실적 최저 4억원 이상에서 올해는 1억원 낮춘 3억원으로 변경하고 실적의 0.2%를 장려금으로 지급해 중도매인 경쟁력을 제고했다는 평가다. <BR><BR><STRONG>▲소비 활성화 앞장서</STRONG>=소비 촉진을 위한 대책 마련이 매출 신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무엇보다 중도매인 점포를 확대한 것이 큰 요인이다. 현 중도매인 점포로 대대적인 이전을 시행한 이후 매대를 늘리고 일부 종대로 판매장을 재편해 다양한 품목을 진열할 수 있게 되면서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진 것이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이 찾는 비율이 매년 늘어났고 이는 중도매인의 경매참여 증가로 이어져 매출실적에 영향을 미쳤다는 게 중도매인들의 의견이다. 특히 1995년 중도매인 점포 이전과 맞물려 화환점포가 유치되면서 소비 확대에 따른 절화물량 취급 증가가 눈에 띄게 나타난 것이다. <BR><BR>정문권 절화팀장은 “지난 개장이래 다소 오르내림은 있었지만 전체적인 구도로 봤을 때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왔다”며 “현재 공판장이 취급하는 물량이 전체 화훼 생산량과 비교할 때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경매공간을 더욱 넓히고 경매시간을 조정하는 등 대책을 통해 실적이 화훼농가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할 것”이라고 말했다. <!-- 기사 내용 끝 --><BR><P><STRONG></STRONG>&nbsp;</P><P align=right>- 출처 :한국농어민신문 (09.7.16)-<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769

“품목별 대표조직 충분한 검토부터”

3,590
4768

가락시장 참외 하역비 280원으로 내린다

3,501
4767

7~8월 빈 하우스 태양열 소독하세요

3,995
4766

보리·참외 품종식별 ‘DNA 분석’기술 개발

3,539
4765

중국 농산물 보따리상인 한국인→중국인

3,863
4764

참외/전년동기대비 가격 36% 뚝

3,555
4763

아오리 사과 나왔다

3,620
4762

양재동 화훼공판장, 잘나가는 이유

3,475
4761

공정위, 도매시장 규제완화 추진 ‘논란 가열’

3,224
4760

구멍 난 하늘…농산물 출하 ‘비상’

3,596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