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유럽도매시장, , 시설현대화 앞둔 가락시장 본받아야...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9-07-07 | 조회수 | 5326 |
'철저한 도매중심의 시장운영, 유통주체의 규모화 ·대형화 그리고 거듭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식품안전과 품질관리’<BR><BR> 이는 유럽 도매시장의 변화된 모습이며 곧 시설 현대화를 추진하는 가락동 도매시장이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방향이다.<BR> 유럽 도매시장은 당초 설립 목적대로 철저하게 도매위주로 경영되고 있으며 일반소비자는 발을 디딜 수 없을 정도로 관리되고 있다. <BR> 이와 함께 규모화·대형화도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프랑스 전역에 위치한 도매시장은 17개로 축소됐고 헝기스 도매시장 도매상은 지난 30년 동안 3분의1로 줄어 지난해 450여 명으로 감축됐다.<BR> 특히 농산물 및 식품 안전성 관리는 담당공무원이 상주해 이력추적, 잔류농약검사, 라벨링 매일 점검 등을 통해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고 있다.<BR><BR> 물론 우리나라의 산지, 소비지, 농산물 유통 등을 고려할 경우, 동일한 조건에 놓고 수평적인 관점에서 비교할 수 없지만 농업 강국으로 자타가 공인하는 유럽 도매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함은 자명한 사실이다.<BR><BR> 지난달 23일 도매시장 전략 2020워크숍에서 발표된 유럽도매시장 사례 발표를 통해 우리나라 도매시장의 지향점을 찾아봤다. <BR><BR># 철저한 도매위주 경영 <BR> 잡상인, 비허가 상인들이 난무한 가락시장과 달리 유럽도매시장은 철저하게 도매위주로 경영된다. 절대적으로 도매와 소매가 공존할 수 없게끔 형성돼 있고 원칙적으로 구매카드 소지자에 한해 판매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BR> 스페인 마드리드 도매시장은 시장운영의 기본원칙 상 영업시간이 반입 22시~04시, 반출06시~10시까지만 허용되며 거래시간을 단속하지 않아도 오전 11시면 영업이 종료되는 분위기가 형성된다.<BR> 또한 모든 차량은 등록을 해야 도매시장 내 반입되며 출입구에서 송품장을 제시해야 들어올수 있도록 철저하게 관리된다. 관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시장 출입문도 기존 4곳에서 3곳으로 제한했으며 전산관리를 통해 8000여 대가 등록돼 있다.<BR><BR> 이와 함께 프랑스 헝기스 시장도 철저하게 전문적인 바이어 위주의 시장운영을 하고 있어 일반 소비자의 물품 구매가 불가하다.<BR> 대부분의 고객이 고정 고개이며 현장 대면 거래는 60%, 전화 및 인터넷 등 비대면 거래는 40% 비율로 이뤄지고 있다. <BR> 이밖에 유럽 도매시장은 저장, 포장, 가공, 배송센터 등의 물류 기능과 수출입 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신선농수산물과 가공식품, 관련 상품(식재료, 올리브, 포도주)등을 취급하는 종합 식품 도매시장화 되어 있다.<BR><BR><BR> # 완벽한 농산물 및 식품 안전·위생 관리<BR> 세계 최대 도매시장의 명성은 식품 위생 및 안정관리 수준과 직결된다.<BR> 프랑스는 이미 산지에서 구매처(도매상)의 신뢰를 확보키 위해 자율적으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며 이는 구매 협상자료로 활용된다.<BR> 또한 도매단계에서도 시장에 반입되는 모든 농수산물은 원산지, 상품등급이 표시된 라벨 부착이 의무화돼 있다. 특히 농림부 수의 및 식물보호국, 공정거래당국, 보건복지 당국 등 행정기관이 시장에 상주하며 이력추적, 잔류농약 등을 매일 점검하며 콜드체인 각 단계별 점검, 시설 위생 상태, 청소상태, 종사자 들의 복장 등을 점검한다.<BR><BR> 이러한 품질 및 위생 안전관리는 헝기스 도매시장의 상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로 이어져 대형유통업체의 취급 상품은 저가로 인식하는 반면 헝기스 시장 상품은 고가품으로 선호하는 추세이다. <BR> 또한 도매시장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소비자와 국민에게 헝기스 시장의 이미지 구축에 나서고 있다. 개별 유통 주체 차원의 홍보보다 헝기스 시장 전체 이미지 홍보를 중시하며 시장 브랜드 로고를 옷, 서식류, 전단지 등에 적극 사용하고 있다.<BR><BR>#유통주체의 규모화 및 대형화 지속<BR> 프랑스 도매시장은 기존 26개소에서 17개소로 축소되는 등 지방 소규모 도매시장 통합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BR> 또 헝지스 시장의 도매상은 지난 30년 동안 3분1로 감소해 현재 도매상은 450여 명에 불과하다.<BR> 도매상 입주허가는 도매상으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사전에 정부로 부터 검증받아야 하며 헝기스 시장에 입주키 위해선 관리공사의 별도의 입주허가가 있어야 한다. 도매상은 순수도매, 산지수집과 도매활동, 수출입 전문으로 구분된다.<BR><BR> 도매상 인수 합병은 철저한 시장논리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주식 승계 등의 방법으로 제 3자에게 영업권 양도가 가능하고 점포 권리금도 인정된다. <BR> 특히 유럽 시장의 시장 사용료는 우리나라보다 10배 정도 높은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법적 시설사용료가 묶여 있으나 유럽은 시장논리에 따라 임대료를 부과하다보니 시장측면에서 자발적인 경쟁이 이뤄지고 있다. 즉 능력이 있는 도매상은 시장으로 들어오고 능력이 없는 도매상은 자연 도태될 수밖에는 형편이다. <BR><BR> 이와 함께 유럽의 산지 규모화도 가속화되고 있다. <BR> 네델란드 그리너리 협동조합은 설립 당시 9000여 명의 조합원이 2007년 1250여 명으로 통합됐다. 통합 기준은 평균 경작면적 2ha에서 40ha로 증가시켰고 1인당 출하금액을 10만 유로에서 60만 유로로 대폭 상승시켰다.<BR><P align=right>- 출처 :농수축산신문 (09.7.6)-<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4709 | 3,951 | ||
4708 | 3,725 | ||
4707 | 5,326 | ||
4706 | 3,298 | ||
4705 | 3,458 | ||
4704 | 3,004 | ||
4703 | 3,469 | ||
4702 | 3,403 | ||
4701 | 3,219 | ||
4700 | 5,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