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1㏊당 농업생산액 세계 2위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9-05-26 | 조회수 | 3172 |
<SPAN class=s02><STRONG>이태호 서울대교수 ‘한국농업 시장전략’</STRONG></SPAN><BR><BR><SPAN class=default_txt>세계 속 한국농업의 위치는 어디쯤 될까.<BR><BR>이 질문에 응답자의 대부분은 ‘절대 하위권’이라고 답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세계 30개 경제대국의 농업과 비교한 결과 한국농업의 위치가 그리 비관적이지 않다는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BR><BR>이태호 서울대 교수가 최근 서울 양재동 aT(에이티)센터에서 열린 ‘농업의 수출산업화’ 토론회에서 밝힌 ‘한국농업을 위한 글로벌시장 진출 전략’ 자료에 따르면, 200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1㏊당 농업생산액은 1만4,574달러로 네덜란드(1만4,702달러)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했다. 일본이 1만4,543달러, 스위스는 1만960달러로 3위와 4위를 각각 차지했다. 중국은 17위(1,794달러), 미국은 25위(840달러)를 기록했다.<BR><BR>국내총생산(GDP)이 전 세계에서 12위인 우리나라는 농림어업 GDP 역시 비슷한 수준인 14위(269억달러)를 차지했다. 이는 농경지 면적이 우리나라보다 3배나 넓은 영국과 29배나 넓은 캐나다 등보다 앞선 순위이다. 다만 농림어업 GDP가 높게 나온 것은 국내 농산물가격이 세계시장보다 높은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지적이다.<BR><BR>농가인구는 343만명로 세계 12위를 차지했으며, 농경지 면적은 185만㏊로 24위, 트랙터 대수는 21만대로 19위를 각각 기록했다.<BR><BR>반면 우리나라 1인당 생산액은 7,800달러에 불과해 20위를 차지했다. 농가당 경지 규모가 좁고 농업인들의 고령화 때문이다. 1위는 3만5,600달러를 기록한 캐나다가 차지했으며, 그 뒤를 프랑스(3만1,100달러)와 네덜란드(2만9,300달러)가 이었다. 일본은 1만8,600달러로 11위를 차지했다. <BR><BR>이태호 교수는 “조사 결과 한국농업은 좁은 농경지를 집약적으로 이용해 상당히 효율적인 생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BR><BR></SPAN><P align=right>- 출처 : 농민신문 ('09.5.25)-<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4539 | 3,620 | ||
4538 | 2,991 | ||
4537 | 3,449 | ||
4536 | 2,988 | ||
4535 | 3,172 | ||
4534 | 3,312 | ||
4533 | 3,698 | ||
4532 | 3,672 | ||
4531 | 3,237 | ||
4530 | 3,9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