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8년 밥쌀용 수입쌀 유통실태 살펴보니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03-30 조회수 2826
<P><SPAN class=s02><STRONG><FONT size=3>식당·단체급식소서 69% 소비…수입쌀에 국산쌀 5~20% 혼합</FONT></STRONG></SPAN></P><P><SPAN class=s02></SPAN><BR>밥쌀용 수입쌀의 유통실태에 대해서는 그동안 공식적으로 조사·발표된 자료가 거의 없었다. 유통업자들이 조사에 소극적이거나 기피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BR><BR>이러한 상황이라 이번에 조사·발표된 ‘밥쌀용 수입쌀 유통실태 및 국내산 쌀에 대한 영향분석(2008년 수입쌀을 중심으로)’ 자료는 의미하는 바가 크다.<BR><BR>이 자료에 따르면 2008년 밥쌀용 수입쌀 도입량은 중국산 2만9,626t, 미국산 1만6,302t, 태국산 1,000t 등 모두 4만6,928t이다. 중국산은 1등급과 3등급이 절반씩 도입됐고, 태국산은 당초 2,000t을 들여올 예정이었으나 현지 계약업체가 수출을 포기해 1등급 1,000t만 도입됐다. 미국산은 호주산 수출 포기에 따라 1등급이 당초 배정량 9,935t보다 2,109t 증가한 1만2,044t이 수입됐고, 3등급 도입량은 4,258t이다.<BR><BR>◆태국산쌀 62% 일반소비자 구매<BR><BR>지난해 2월14일 이후 공매된 수입쌀의 낙찰가격은 평균 1,500원(1㎏ 기준) 안팎이고, 원산지별·등급별로 공매가격이 다르지만 공매시기가 달라 가격 차이가 반드시 원산지별·등급별 선호를 반영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BR><BR>유통경로는 식당과 단체급식소가 68.5%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가정용이나 사업장 등 개인판매는 15%, 김밥·떡 등 기타 용도는 16.5%에 불과했다. 하지만 태국산의 경우 일반소비자 취급 비중이 61.9%로 식당소비 38.1%보다 높았다. 국내에 있는 동남아시아 근로자들이 구매하는 비중이 높았기 때문이다.<BR><BR>◆수입쌀+국산쌀 혼합미도 유통<BR><BR>유통형태 가운데 주목되는 점은 혼합미 제조·유통이다. 혼합미는 수입쌀에 국산쌀을 5~20% 혼합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미질이 좋은 중국산 1등급과 미국산 1등급에는 국산쌀을 5~10%, 미질이 떨어지는 중국산 3등급에는 10~20% 섞는 것으로 파악됐다. 혼합미 비중은 전체 수입쌀의 10.8%(5,000여t)로 추정되며, 장립종인 태국산은 제외된다. 혼합미의 20㎏ 도매가격은 3만5,900~3만6,300원으로 조사됐다. <BR><BR>밥쌀용 수입쌀 공매업체는 한달 쌀 취급규모가 ‘50t 이하’라는 응답이 69.5%로 가장 많았고, ‘100t 내외’가 14%, ‘200t 이상이 16.5%였다. 공매업체의 취급물량 중 수입쌀 비중은 ‘10% 이하’라는 응답이 31.5%로 가장 많았지만 전량 수입쌀만 취급하는 수입쌀 전문 유통업체도 16.7%나 차지했다. <BR><BR>한편 공매업체들은 수입쌀의 미질이 20㎏ 도매가격 기준 3만4,000~3만8,000원 수준의 국산쌀과 비슷한 것으로 평가, 해당 가격대의 국산쌀이 수입쌀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했다.<BR><BR></P><P align=right>- 출처 : 농민신문 ('09.3.30)-<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389

加, 미국과 동등조건 내세우며 ‘압박’

2,523
4388

탐방-日 사이타마현 JA전농청과센터

3,115
4387

수확후관리기술 제도개선 박차

2,670
4386

농어업분야 추경예산 3485억원 편성

2,514
4385

2008년 밥쌀용 수입쌀 유통실태 살펴보니

2,826
4384

지구온난화 … 농산물 생산지도 바뀌어

2,502
4383

농산물 저율관세 수입량 대폭 확대

2,688
4382

대형유통업체 ‘억지 반품행위’ 여전

2,687
4381

제주 ‘조생양파’ 생산량 늘어도 가격 예년보다 ‘강세’

2,729
4380

농수산물 사이버거래소 사업설명회 개최

2,745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