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한·EU, FTA 잠정 타결… 우리농업 피해 가속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03-27 조회수 2903
<P><SPAN class=s01>쌀 제외한 농산물 사실상 관세철폐</SPAN></P><P><SPAN class=s01>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잠정 타결됐다.<BR><BR>농산물의 경우 전체 1,452개(HS 10단위 기준) 품목 가운데 쌀 16개를 뺀 모든 품목이 관세철폐의 회오리를 피하지 못하게 됐다.특히 돼지고기와 낙농품·오렌지 등 우리의 민감품목은 한·미 FTA와 비슷한 수준으로 타결돼 잇따른 개방 파고에 피폐해진 한국 농업은 더욱 벼랑 끝으로 내몰리게 됐다. 이에 따라 최종 협정문이 공개될 경우 농업계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BR><BR>이혜민 우리측 수석대표와 이그나시오 가르시아 베르세로 EU측 수석대표는 24일 8차 협상을 마친 뒤 기자회견을 갖고 “한·EU 양측이 거의 모든 쟁점에 대해 잠정적인 합의를 도출했다”고 밝혔다.<BR><BR>양측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4월2일 영국 런던에서 통상장관회담을 열어 냉동 삼겹살의 관세철폐 시기 등 나머지 쟁점을 해소한 뒤 최종 타결을 선언할 방침이다.<BR><BR>EU가 가장 큰 관심을 보여온 돼지고기(관세 25%)의 경우 냉장은 10년 내에, 삼겹살과 목살을 제외한 냉동은 5년 내에 관세를 철폐키로 의견이 모아졌다. 냉동 삼겹살과 목살의 관세철폐 시기는 ‘10년으로 하자’는 우리측 주장과 ‘미국산 및 칠레산에 맞춰 2014년으로 하자’는 EU측의 요구가 팽팽하게 맞서면서 절충점을 찾지 못했다.<BR><BR>이대표는 “(냉동 삼겹살과 같은) 민감농산물은 통상장관 회담에서 (전체 협상의 균형이 맞도록) 패키지 형태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예컨대, EU가 다른 분야에서 양보할 경우 냉동 삼겹살 관세를 EU 요구 수준에 근접하게 양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BR><BR>낙농품은 관세를 깎지 않던가 10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깎되 일정 물량은 관세가 전혀 붙지 않는 저율관세할당(TRQ) 형태로 우리가 내주는 선에서 합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농림수산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EU로부터 연간 수입되는 양의 몇%를 TRQ로 내줄지는 통상장관회담에서 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BR><BR>오렌지에 대해선 우리의 감귤 수확 성수기엔 고율관세, 그밖의 기간엔 저율관세를 부과하는 계절관세가 도입될 예정이다. 한·미 FTA에서 미국산 오렌지는 국내 감귤 수확기인 9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는 50%인 현행 관세가 그대로 유지되지만, 이 기간 이외에는 첫해 30%를 시작으로 7년 뒤엔 관세가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BR><BR>관심은 고율관세를 부과하는 시기로 모아진다. 한·미 FTA처럼 2월까지만 고율관세가 부과될 경우 5월에도 수확이 이뤄지는 시설감귤과 〈한라봉〉 등은 보호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주도청의 한 관계자는 “계절관세가 실효를 거두려면 9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고율관세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BR><BR>지리적표시제와 관련, 양측은 상퍄뉴 포도주(샴페인) 등 특정 지역명이 상품의 품질이나 소비자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품목을 협정문 부속서에 기재, 상표권 수준에서 보호키로 했다. 다만 이미 국내에서 상표로 등록된 제품명의 사용은 보장키로 했다.<BR><BR>부속서에는 EU측이 요구한 2,700여개 품목 가운데 우선 160여개가 명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포도주는 한·미 FTA와 마찬가지로 협정 발효 즉시 관세가 철폐된다.<BR><BR>다만 관세환급 도입 여부는 통상장관회담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관세환급이란 원재료나 중간재를 수입해 완제품을 수출할 경우 원재료·중간재 등을 수입할 때 낸 관세를 돌려주는 제도를 말한다.<BR><BR>양측은 통상장관회담에서 협상이 완전히 타결되면 곧바로 국회 비준동의 절차에 돌입, 내년 1월부터 FTA를 발효시킨다는 계획이다.<BR></SPAN></P><P align=right>- 출처 : 농민신문 ('09.3.27)-<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379

친환경농산물도 보험든다

2,833
4378

식재료수출협회 설립… 업체 공동마케팅

3,007
4377

공동선별·GAP제 충돌 … 해결책 없나

2,783
4376

한·EU, FTA 잠정 타결… 우리농업 피해 가속

2,903
4375

세계 냉동 채소·과일시장 성장세

5,452
4374

“GAP인증 농산물 판매비중 0~5% 불과”

2,555
4373

“양재동 화훼공판장 농식품 허브기지로

2,947
4372

화훼자조금 사업계획 확정

2,721
4371

정부, 유통공룡 대형마트 지원 ‘눈총’

2,678
4370

국내 없던 식물질병 다발, 검역·방제 대책 서둘러야

3,120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