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농식품부, 신개념 ‘수산업 10대 프로젝트’ 선정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03-20 조회수 2605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550 align=center border=0><TBODY><TR><TD class=date><B>무리한 ‘MB 코드 맞추기’ 우려</B></TD></TR><TR><TD style="PADDING-RIGHT: 5px; PADDING-LEFT: 5px; PADDING-BOTTOM: 5px; PADDING-TOP: 5px"><FONT color=#41835b></FONT></TD></TR><TR><TD>&nbsp;</TD></TR><!--				사진기사에 체크된경우				첨부된사진의 사이즈를 for문으로 돌리면서 확인후				width(x)값이 400보다 큰경우 기사내용을 사진아래로 내리고 사진 가운데 정렬				2007-10-20 CS게시판 요청				--><TR><TD class=d9_01><!-- 기사 포토 시작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right border=0><TBODY></TBODY></TABLE><!-- 기사 내용 시작 --><FONT id=abc style="fontsize: 13px">정부가 수산업의 경쟁력 창출을 위해 수산업 10대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하지만 일부 프로젝트의 경우 오히려 수산자원을 훼손할 수 있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어 면밀한 검토없이 이명박 대통령과 코드를 맞추기 위해 무리하게 책정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BR><BR><STRONG>연 1조7000억원 규모 수산보조금 개편 중점<BR>내수면어업 진흥도 4대강 살리기와 연계키로<BR><BR><IMG src="http://agrinet.co.kr/admin/data/edit/2130-11-1.jpg"></STRONG><BR><BR>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 11일 수산업 선진화 달성을 위해 신개념 수산업 10대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전문가, 업계 대표 등을 초청, 제1차 신수산 수요포럼을 개최했다.<BR><BR>10대 프로젝트는 △수산보조금 개편 △어업인 복지문화 재단 신설 △내수면어업 진흥 △외해양식 제도적 장치 마련 △고래산업 육성 △해역별 어업조정제도 △어촌계 선진화 방안 △어선관리 일원화 및 선진화 △시장유통 인프라 개선 △수산인력 육성 등이다. <BR><BR>농식품부는 제도 및 인프라, 시스템 개혁을 통해 수산업 선진화를 달성하되 기존 예산을 적극 활용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확정된 프로젝트는 금년 중 수립될 제3차 수산업 진흥종합대책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수산보조금 개편과 내수면어업 진흥 등 일부 프로젝트의 경우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방향에만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BR><BR>중앙정부가 연간 약 1조7000억원을 지출하는 수산보조금 개편의 경우 그동안 DDA협상과정에서 보조금 지급이 중단될 우려가 제기돼 직불제 전환 등 보조금 지급 제도의 개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요구됐다. 실제 농식품부에 따르면 어업용 유류에 대한 면세혜택이 6021억원으로 전체 보조금의 약 36%를 차지하는 등 현행대로 DDA협상이 완료될 경우 72%의 보조금 지급이 중단된다. 보조금이 중단되면 어업인들의 타격은 크지만 농식품부는 그동안 수산보조금 개편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명박 대통령이 뉴질랜드 방문기간에 “농어업정책이 지금보다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현행 지원제도와 행정체계 등 지원시스템을 개혁하라”고 지시한 직후 수산보조금 개편을 논의하는 것은 MB정부에 코드만 맞추겠다는 형식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BR><BR>농식품부측도 이를 부인하지 않았다. 농식품부의 관계자는 “대통령께서 뉴질랜드가 보조금 폐지로 경쟁력을 향상됐다고 언급해 우리도 검토에 들어갔다”고 밝혔다.<BR><BR>보조금 지원과 관련 박종국 수산정책실장은 “우리 부처의 원칙은 총액은 유지하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총액 범위 내에서 변화를 줄 것”이라며 “사업 시너지를 높이는 방향으로 보조금을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뒤늦게 DDA협상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에 들어간 것으로 해석된다. <BR><BR>내수면어업 진흥도 이명박 정부가 추진 중인 4대강 살리기와 연계돼 있다. 한반도 대운하의 사전 작업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는 4대강 살리기에 대해 시민단체와 환경단체들은 환경오염, 실효성 등을 이유로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BR><BR>하지만 정부는 수산자원 보존 및 육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지 않은 채 4대강 살리기를 명목으로 자전거길 1297km 설치 등을 실시하고 4대강 인근 저수지에 친환경 테마타운으로 새 단장한다고 밝혔다.<BR><BR>수요포럼에 참석했던 한 수산단체장은 “내수면어업 진흥과 관련해 일부는 기수역도 포함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부의 정책이 오히려 수산자원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BR><BR>오태곤 한국수산업경영인중앙연합회장도 “기수(汽水)는 중요한 수산자원의 보고인데 4대강 살리기가 대운하가 연계되는 것이 아닌지 걱정스럽다”면서 “대운하가 수산자원에 미치는 영향도 큰 만큼 반드시 영향평가 후 납득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BR><BR>바닷물과 강물이 섞여 있는 곳에서 소금의 양이 바닷물보다 적은 물을 기수라고 말하고 기수가 흐르는 지역을 기수역이라고 일컫는다. 이곳은 염분농도가 0.5~30‰로 광범위해 다양한 생물들이 분포하고 기수생태계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자칫 개발을 통해 어업인들의 삶의 터전이 훼손될 수 있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수산단체장들은 강조하고 있다. <BR><BR>이에 강인구 농식품부 수산정책과장은 “수산자원평가 등의 기초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의견을 반영토록 노력하고 있다”고 답변했다.</FONT> <P align=right>- 출처 : 한국농어민신문 ('09.3.19)-<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369

낙후된 유통구조에 농가 “기가막혀”

2,984
4368

"식재료수출협 결성 국내외 인프라 통합"

2,837
4367

해썹 적용확대 “쉽지않네”

2,798
4366

관세청 ‘고추다대기’ 통관기준 강화…불법유통 그칠까

4,221
4365

美 서부지역 아시안 배 소비 크게 늘어

2,958
4364

화훼자조금 사업계획 확정

2,781
4363

농산물 수출 손실부담 대폭 줄어든다

2,759
4362

해외 유통업체 활용 농식품 수출 늘린다

2,696
4361

농식품부, 신개념 ‘수산업 10대 프로젝트’ 선정

2,605
4360

돼지값 고공행진…kg당 5000원 돌파 눈앞

2,677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