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품목별 조직화·수출 확대 ‘골자’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03-18 조회수 2625
<SPAN class=s02>●농식품부 25개 농산물 생산·유통구조 개선대책 주요 내용</SPAN><BR><BR><SPAN class=default_txt>향후 농·수·축산물의 생산·유통구조가 대대적으로 규모화·조직화되고 수출 중심체제로 재편된다.<BR><BR>16일 농림수산식품부가 마련중인 ‘25개 농산물의 생산·유통구조 개선대책’에 따르면 품목별로 ▲생산성 향상 ▲유통 효율화 ▲수출 활성화 ▲대표조직 육성 등을 골자로 다음달까지 육성방안과 추진일정 등의 큰 그림을 확정한다.<BR><BR>◆수출 가능성 감안 25개 선정=25개 품목은 생산액과 수출 가능성을 고려해 선정한 것으로 ▲식량(쌀) ▲채소·특작(고추·버섯·배추·딸기·토마토·파프리카·인삼) ▲과수·화훼(사과·배·감귤·포도·단감·백합) ▲축산(한우·돼지·닭·달걀·우유) ▲수산(넙치·전복·김·고등어·멸치·오징어) 등이다. <BR><BR>농식품부는 우선 생산성 향상을 위해 생산비 절감과 최신기술 보급, 컨설팅 강화, 시설현대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유통구조의 효율화를 위해선 직거래 등을 활성화해 유통단계를 축소하고 브랜드 통합, 관련 시설들의 통폐합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BR><BR>특히 기존의 생산자 단체들을 통합·조직화해 품목별 대표조직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품목별 대표조직은 단기적으로는 소비홍보와 자조금 등 공익사업에 치중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연구개발(R&D)과 해외시장 개척, 브랜드 통합, 수급조절, 직거래사업까지 전담하게 된다.<BR><BR>◆대표조직 육성 통해 수출 모색 =농식품부는 생산자단체가 품목별 대표조직으로 일원화되면 대형 유통업체 등을 상대로 한 시장교섭력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같은 인프라 구축을 기반으로 농·수·축산물의 수출확대도 꾀하고 있다. 농식품 수출을 농산업의 미래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BR><BR>실제 쌀의 경우 농가 조직화와 기술개발 등을 통해 2014년까지 경영비의 30%를 줄이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또 쌀 수출협의회를 구성해 공동브랜드 육성과 국가별 수출확대 전략을 수립하고, 대표조직은 올해 논의를 거쳐 내년에 설립한다는 구상이다.<BR><BR>◆부가가치 따져 발전방안 마련=파프리카는 신품종 개발과 저온 유통체계 구축, 수출시장의 다변화, 대표조직 출범(올 7월) 등을 통해 2012년까지 수출액 1억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BR><BR>또 백합은 품종개발과 시설현대화, 재배기술 개발, 브랜드 경영체 육성으로 2012년까지 2,800만달러를 수출한다는 전략이다. <BR><BR>장태평 농식품부 장관은 13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농·수·축산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품목별로 조직화하고 연구개발, 직거래 유통, 수출 활성화에 나설 것”이라며 “25개 품목에 대해 생산에서 유통까지 모든 과정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를 면밀히 분석해 품목별 발전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BR></SPAN><P align=right>- 출처 : 농민신문 ('09.3.18)-<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359

“꽃 형태·색상 2~3년까지 그대로”

2,667
4358

양파·마늘전남협의회, 계약재배 물량 20% 확대 ‘결의’

2,776
4357

유통확대경-참외 / 생산량 소폭 증가…가격은 ‘강세’

3,138
4356

수박 강세…과일시장 ‘기 살리네’

2,727
4355

aT-수출보험공사 업무협약 “안정적 농산물 수출여건 조성”

2,552
4354

배추값, 바닥세 탈출 성공

2,877
4353

한우 1등급 출현율 3년내 60%로

2,546
4352

농식품 수출 환변동보험 지원 확대

2,877
4351

농산물 이력추적제, 모든 농산물로 확대

2,955
4350

품목별 조직화·수출 확대 ‘골자’

2,625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