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뉴질랜드와 FTA 체결시 사과도 위험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03-09 조회수 3132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550 align=center border=0><TBODY><TR><TD class=date><B>현지 수확시기 2월말~4월…저장사과 ‘치명타’</B></TD></TR><TR><TD style="PADDING-RIGHT: 5px; PADDING-LEFT: 5px; PADDING-BOTTOM: 5px; PADDING-TOP: 5px"><FONT color=#41835b></FONT></TD></TR><TR><TD>&nbsp;</TD></TR><!--				사진기사에 체크된경우				첨부된사진의 사이즈를 for문으로 돌리면서 확인후				width(x)값이 400보다 큰경우 기사내용을 사진아래로 내리고 사진 가운데 정렬				2007-10-20 CS게시판 요청				--><TR><TD class=d9_01><!-- 기사 포토 시작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right border=0><TBODY></TBODY></TABLE><!-- 기사 내용 시작 --><FONT id=abc style="fontsize: 13px"><P>뉴질랜드와 FTA가 체결되면 축산은 물론 사과 등 과수산업에도 상당한 피해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nbsp;&nbsp; <BR><BR>전문가들에 따르면 뉴질랜드는&nbsp; 세계적인 축산물 강국이지만 사과, 키위, 포도 등 과수산업도 매우 발달돼 있어 FTA체결로 이들 품목이 국내에 수입될 경우 해당농가들의 피해가 우려된다는 것이다.<BR><BR><STRONG>저가 무기로 음료 등 가공용 시장 장악 가능성<BR>국산 중·하품 공급과잉 불가피…가격붕괴 우려<BR><BR></STRONG>실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뉴질랜드의 산업별 비중이 낙농 35%, 사과 등 과수·원예작물 15%, 쇠고기 11%, 양고기 10% 등으로 나타났다. 이중 과수·원예작물 중 사과 생산량은 2005년 기준 52만톤에 이르고 이 가운데 62%가 수출된다는 것이다. 포도의 경우에는 재배면적이 매년 증가하면서 포도주 생산량의 절반이상이 수출되고 있는 상황이다.<BR><BR>이밖에 이미 국내에 수입되고 있는 키위도 2005년 기준 생산량이 34만톤으로, 이중 93%가 수출이 이뤄지고 있다. 뉴질랜드를 방문했던 장태평 장관도 5일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뉴질랜드가 사과 연구를 많이 해 키위처럼 성장시키려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nbsp;&nbsp; <BR><BR>따라서 FTA체결로 뉴질랜드 사과가 국내에 수입되면 사과 산업은 물론 국내 과일시장에 상당한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우려된다. 뉴질랜드에서는 2월말부터 4월까지 사과 수확이 이뤄져 그 이후에 수출되는 만큼 신선한 사과를 찾는 소비자들을 공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사실상 장기저장에 따른 수익을 기대할 수 없어 수확기 출하가 더욱 집중되며 가격폭락 등 사과 농가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다.<BR><BR>특히 뉴질랜드 사과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음료 등 가공용 시장을 장악할 가능성이 높아 가공용으로 사용됐던 국산 중·하품이 시장으로 나오면서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붕괴를 농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BR><BR>충남 예산 사과농가 문현식 씨는 “정부가 과수분야 FTA 후속대책을 시행해 왔지만 여전히 과수산업의 기반이 다져지지 않았다”며 “더구나 매년 생산비가 급등하는데 뉴질랜드와의 FTA체결로 사과 수입까지 이뤄질 경우 과수산업에 상상을 초월하는 사태가 빚어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nbsp;&nbsp; <BR><BR>서병진 대구경북능금농협 조합장은 “뉴질랜드 사과는 신맛이 강해 우리 입맛에는 다소 맞지 않지만 가격경쟁력을 무기로 가공용 시장을 파고들 수 있다”며 “가공용으로 사용됐던 국산사과가 시장으로 나오면 상당한 문제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BR><BR>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현재 뉴질랜드 사과는 관세가 아닌 검역으로 막고 있어 수입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일부 전문가들도 국내 과수산업에 영향이 클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있을 협상에서 특별한 전략을 짜서 대처하겠다”고 밝혔다.</P></FONT></TD></TR></TBODY></TABLE><P align=right>- 출처 : 한국농어민신문 ('09.3.9)-<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329

뉴질랜드와 FTA 체결시 사과도 위험

3,132
4328

유럽에선 신선편이농산물 소비확대 추세

2,953
4327

농산물수출 “러시아를 주목하라

2,900
4326

“농업 지원정책 개혁 필요”

2,635
4325

친환경농산물 판매경로 살펴보니

3,009
4324

농산물 日 수출 까다로워진다

2,842
4323

생강 가격 양극화 심화

3,592
4322

분화류값 ‘껑충’

3,400
4321

눈물 나게 하는 양파값

3,490
4320

농경연 3월 축산관측-한·육우 마릿수 증가세 둔화될듯

2,960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