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농산물수출 “러시아를 주목하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03-06 조회수 2901
<SPAN class=s02>소비시장 연15% 성장 … 운송·선도 유지 유리</SPAN><BR><BR><DIV class=default_txt id=articleBody style="FONT-SIZE: 11pt">러시아에 대한 우리나라 신선농산물의 수출 잠재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BR><BR>김경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등은 최근 ‘농산물 수출 유망 시장 분석과 대응방안(러시아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통해 블라디보스토크·연해주 등 극동러시아에 대한 시장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신선농산물 수출이 유망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극동러시아는 기후와 토양조건이 농업에 불리해 과일류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고속 경제성장으로 인해 소비시장이 연간 15~20% 성장하는 매력적인 수출시장이다.<BR><BR>지리적으로도 선박으로 1~2일밖에 소요되지 않아 수송비용 절감과 신선도 유지에 있어 유리한 조건이라는 주장이다.<BR><BR>또 한국산 농산물은 상위 10% 이내의 고소득층이 구입할 정도로 품질 이미지와 선호도가 높음에도 한국산 농산물의 진출 비중이 전체 수입량의 0.5% 미만이라 그만큼 수출 여력이 크다고 주장했다.<BR><BR>한국산 농산물 중 딸기·파프리카·토마토 등은 최고급 상품으로 백화점 등에서 판매되고, 감귤은 중국산과 비슷한 가격에 대중소비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장미 등 화훼류는 품질은 중품 수준으로 주로 중산층에 의해 소비되는 상황이다.<BR><BR>현지 수입업자들이 관심을 보이는 한국 농산물은 단감·포도·멜론·파프리카·양배추·당근·양파·선인장·팽이버섯·고급쌀·김치·유자차·감귤주스 등이고, 수입이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은 감귤·딸기·토마토·파프리카·장미·백합 등이다.<BR><BR>과일은 중간 크기의 고당도, 과채류는 당도 높고 신선도가 좋은 것, 화훼는 줄기가 길고 꽃봉오리가 큰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BR><BR>이에 따라 한국산 농산물은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아직까지 한국산 농산물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백화점과 대형 판매점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와 판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BR><BR>김경필 부연구위원은 “극동러시아지역의 물류체계 등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단기간에 수출이 크게 늘기는 힘들지만 수출 잠재력이 큰 것만은 분명하다”고 말했다.<BR></DIV><P align=right>- 출처 : 농민신문 ('09.3.6)-<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329

뉴질랜드와 FTA 체결시 사과도 위험

3,132
4328

유럽에선 신선편이농산물 소비확대 추세

2,953
4327

농산물수출 “러시아를 주목하라

2,901
4326

“농업 지원정책 개혁 필요”

2,635
4325

친환경농산물 판매경로 살펴보니

3,009
4324

농산물 日 수출 까다로워진다

2,842
4323

생강 가격 양극화 심화

3,592
4322

분화류값 ‘껑충’

3,400
4321

눈물 나게 하는 양파값

3,490
4320

농경연 3월 축산관측-한·육우 마릿수 증가세 둔화될듯

2,960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