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농경연 3월 축산관측-한·육우 마릿수 증가세 둔화될듯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03-04 조회수 2961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96%" border=0><TBODY><TR><TD></TD></TR><TR><TD><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border=0><TBODY><TR><TD><!--사진정보--><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230 align=left border=0><TBODY><TR><TD vAlign=top><IMG style="BORDER-LEFT-COLOR: #000000; BORDER-BOTTOM-COLOR: #000000; BORDER-TOP-COLOR: #000000; BORDER-RIGHT-COLOR: #000000" alt="" src="http://www.nongmin.com/photo/2009/0302/20090228003721.jpg" width=230 align=left border=1> </TD></TR><TR><TD height=4>&nbsp;</TD></TR><TR><TD align=left><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232 bgColor=#efefef border=0><TBODY><TR><TD width=4>&nbsp;</TD><TD>3~5월 축산관측에서 한·육우는 송아지 생산이 감소하는 등 번식의향이 저하되는 가운데 한우 큰소 산지값은 360만~370만원으로 전망했다.</TD></TR></TBODY></TABLE></TD></TR></TBODY></TABLE><SPAN class=s02>젖소 착유 마릿수·원유 생산 감소세</SPAN><BR><BR><DIV class=default_txt id=articleBody>6월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지난해보다 11만7,000마리(4.8%) 늘어난 256만5,000마리로 전망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3월 축산관측을 통해 환율상승과 경기침체로 축산물 수입이 감소하는 가운데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와 경기침체에 따른 사육심리 불안으로 송아지 생산은 감소하는 등 증가속도가 둔화되는 한편 산지값은 소비감소로 소폭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BR><BR>◆한·육우=6월 사육마릿수가 1년 전보다 증가했으나 그 속도는 크게 떨어졌다. 6월 사육마릿수의 1년 전 대비 증가폭(11만7,000마리·4.8%)은 3월 16만7,000마리(7.5%), 2008년 12월 22만9,000마리(10.4%)에 비해 증가속도가 눈에 띄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 한우 정액 판매량이 전년보다 193만 스트로(3.3%) 감소한 것과 암소 도축이 1년새 24.3% 늘어난 것과 관련해 송아지 번식의향이 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BR><BR>한우 큰수소(500㎏짜리) 3~5월 산지값은 360만~370만원으로 전망되며 송아지값은 사료값이 떨어지면 160만~170만원으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환율상승과 경기침체 영향으로 쇠고기 수입량이 2008년 12월 2만3,000t에서 1만4,000t으로 39%나 줄었다.<BR><BR>◆젖소=3월 사육마릿수는 44만4,000마리, 6월엔 44만2,000마리로 전망된다. 이는 1년 전보다 각각 6,000마리, 3,000마리 감소한 것. 또한 착유마릿수가 줄고 유업체 쿼터량 축소로 원유 생산량이 1분기 53만6,000t, 2분기 54만7,000t으로 전망돼 지난해보다 각각 1.9%, 2.4%나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육우는 전문 판매점 확대와 품질 고급화 및 자조금사업 활성화 등을 통해 수요를 늘리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BR><BR>◆돼지=사육마릿수는 3월 883만마리, 6월 884만마리로 전망돼 1년 전보다 각각 1.7%, 3.5%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도축마릿수가 줄고 환율상승과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시행 등으로 수입량도 감소해 돼지고기 공급량이 적어질 것으로 예상되나 수요는 여전히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3~5월 지육값은 1년 전보다 22% 높은 ㎏당 4,600~4,700원(돼지 100㎏ 기준 31만3,000~32만6,000원)으로 전망했다.<BR><BR>◆닭=산란계는 3~5월 달걀 생산에 새로 진입하는 닭이 643만마리로 1년 전보다 14.9%나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6월 산란계 마릿수는 6,229만마리로 전망된다. 3~5월 달걀값은 900~1,000원으로 전망되나 노계도태가 지연될 경우 4월 부활절 특수 이후 하락폭이 클 것으로 보인다. 육계는 올 초 종계 생산성이 떨어져 2월 병아리 생산마릿수가 4,175만마리, 3월 사육마릿수는 6,428만마리로 1년 전보다 각각 4.1% 줄었다. 육계값은 공급량 감소로 1㎏당 1,800~2,000원 선으로 전망된다. <BR></DIV></TD></TR></TBODY></TABLE></TD></TR></TBODY></TABLE><P align=right>- 출처 : 농민신문 ('09.3.3)-<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329

뉴질랜드와 FTA 체결시 사과도 위험

3,132
4328

유럽에선 신선편이농산물 소비확대 추세

2,954
4327

농산물수출 “러시아를 주목하라

2,901
4326

“농업 지원정책 개혁 필요”

2,635
4325

친환경농산물 판매경로 살펴보니

3,010
4324

농산물 日 수출 까다로워진다

2,842
4323

생강 가격 양극화 심화

3,593
4322

분화류값 ‘껑충’

3,400
4321

눈물 나게 하는 양파값

3,491
4320

농경연 3월 축산관측-한·육우 마릿수 증가세 둔화될듯

2,961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