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농경연 3월 채소류 관측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9-03-04 조회수 2804
<SPAN class=s02>배추·무 출하량 줄어 강세 예상</SPAN><BR><BR><DIV class=default_txt id=articleBody style="FONT-SIZE: 11pt">양파값은 3월까지 강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약세장을 유지했던 배추와 무는 출하량 감소로 강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되며 대파·쪽파는 3월에도 약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의 3월 채소관측을 정리한다.<BR><BR>◆배추〓월동배추 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 감소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2% 감소할 전망이다. 김치 수입량도 감소세여서 월동배추 3월 상품 10㎏ 가격은 지난해에 비해 10% 높은 5,000원으로 예상된다. 특히 저장량 감소로 3월 중순 이후에는 가격이 더 오를 전망이다. 하우스 봄배추 4월 출하면적은 지난해에 비해 3% 감소 예상.<BR><BR>◆무〓2008년산 가을무 저장량은 지난해에 비해 5% 증가했지만 월동무 출하면적과 단수 감소로 3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8% 줄어들 전망이다. 이에 따라 월동무 3월 상품 18㎏ 도매가격은 지난해에 비해 11% 높은 7,500원 예상. 올 월동무 저장량은 생산량 감소로 인해 지난해에 비해 12%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하우스 봄무 밭떼기 거래는 3.3㎡(1평)당 4,500원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BR><BR>◆고추〓건고추 2월 재고량은 지난해에 비해 25% 적은 2만4,702t으로 추정된다. 2월1~25일 건고추 수입량은 지난해에 비해 6% 적은 5,660t이었고 3월 수입 예상량은 7,500t으로 예상된다. 건고추 화건 3월 상품 600g 도매가격은 건고추 수입 증가가 예상돼 2월에 비해 소폭 하락한 5,600원 전망.<BR><BR>◆마늘〓2월 말 현재 총재고량은 4만t이며 부패율을 적용할 경우 3만4,000t으로 지난해에 비해 15%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5월 이후 수입량은 크게 감소했지만 국내 생산량 증가로 총공급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3월 상품 1㎏당 도매가격은 1,900원으로 약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하지만 올해산 마늘 재배면적 감소로 햇마늘 수확기에는 상품 1㎏당 2,100원으로 평년 수준을 회복할 전망이다.<BR><BR>◆양파〓2월 말 현재 총재고량은 10만2,000t, 부패율을 적용하면 7만9,000t으로 지난해에 비해 15%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조생종 양파 수확이 2월 말 시작되면서 3월 수입량이 크게 늘어나겠지만 재고량이 적어 3월 가격은 상품 1㎏당 1,500원을 유지할 전망이다. 하지만 3월 하순에는 수입량 증가와 햇양파 조기출하로 가격이 하락해 4월에는 상품 1㎏당 700원으로 평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BR><BR>◆대파〓3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3% 늘어날 전망이다. 3월 도매가격은 소비부진과 출하량 증가로 지난해에 비해 53% 낮은 상품 1㎏당 750원으로 예상된다. 2월 산지 자율폐기 이후 추가적인 산지폐기가 예정돼 있었지만 실시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다.<BR><BR>◆쪽파〓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3월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2%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4월에는 충청지역 출하면적 증가로 지난해에 비해 1% 증가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3월 상품 1㎏당 도매가격은 지난해에 비해 32% 낮은 1,350원으로 전망된다.<BR><BR>◆감자〓〈대지〉 전체 출하량은 제주 가을감자 출하량 증가로 인해 지난해에 비해 22%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3월 도매가격은 상품 20㎏당 2만7,000원 선. 시설봄감자 재배면적이 지난해에 비해 6% 늘어나는 등 〈수미〉 3월 전체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4% 증가할 전망이다. 〈수미〉 3월 상품 20㎏ 도매가격은 지난해에 비해 32% 낮은 2만5,000원 예상.<BR><BR>◆당근〓3월 수입량은 환율 상승으로 인해 지난해에 비해 15% 감소하지만 겨울당근 산지 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지난해에 비해 15%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3월 당근 전체 출하량은 지난해에 비해 7% 늘어날 전망이다. 3월 예상 도매가격은 상품 20㎏당 1만9,000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약세 예상.<BR><BR>◆양배추〓3월 산지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지난해에 비해 28% 증가가 예상된다. 특히 제주지역의 경우 겨울양배추 재배면적 증가와 출하량 조절로 인해 출하량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3월 상품 8㎏당 도매가격은 4,000원 예상. 이후 양배추가격은 제주지역의 출하량 조절에 따라 등락을 거듭할 것으로 예상된다</DIV><P align=right>- 출처 : 농민신문('09.3.4)  -<BR></P></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319

농경연 3월 채소류 관측

2,804
4318

농산물 이력추적시스템 재배부터 상품화, 각 단계별 정보 제공돼야..

2,933
4317

대형마트 해외점포 농식품 수출 ‘새 활로’

3,251
4316

양재동 화훼공판장, 관엽 경매 주3회로 확대

2,883
4315

'하우스감자' 산뜻한 출발 … 3월말까지 강세 예상

3,179
4314

대형유통업체 쌀 취급량 증가세

3,014
4313

다음달 개학 앞두고 ‘채소값 기지개’

2,887
4312

고추 물량부족 … 초강세 행진

3,226
4311

절화값 ‘초강세’ 내달 급락 걱정

2,498
4310

대파농가 산지폐기 돌입

3,040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