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8월 임업 관측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3-07-30 조회수 3574
<< 종합 전망 >><br><br>■ 밤나무 생육상황은 전년 대비 양호한 편<br><br>● 밤나무의 생육상황은 전년 동기에 비해 양호한 편이나 재작년과는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착과수도 전년과 비슷하다. 다만, 단택, 옥광, 석추 등이 전년에 비하여 착과수가 약간 감소하였다.<br><br>■ 밤 생산량은 평년 대비 소폭 감소할 전망<br><br>● 금년의 밤 생산량은 전년 대비 23.4% 증가, 재작년 대비 5.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태풍이나 병해충 피해가 거의 없었던 2001년에 비하여 금년은 노령목 갱신에 따른 수확가능면적의 감소와 남부지방의 밤나무 혹벌피해로 인하여 수확량 감소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br><br>■ 전체 재배면적의 29% 가량 밤나무 혹벌 피해<br><br>●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밤나무 혹벌피해가 크며, 경상남도는 전체 밤나무 재배면적의 52%가, 전라남도는 22%가 밤나무 혹벌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로는 단택, 축파 등이 피해를 많이 보았다.<br><br>■ 8월의 밤 가격은 평년보다 높을 전망<br><br>● 8월의 밤 산지가격은 경기 위축에 따른 소비둔화로 전년보다는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7월 중순 이후 복 경기 수요,증가가 예상되고, 금년 추석이 예년에 비하여 빨라 공급 가능 물량이 감소하여 8월의 밤 가격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br><br> << 재배 동향 >><br><br>■ 생육상황은 전년 대비 양호  <br><br>● 밤나무 눈이 트는 시기는 전년보다 1주일 빨랐지만 개화시기는 전년과 비슷하였고, 현재까지의 신초지 발생, 착과 등 생육상황은 대부분 지역에서 전년 대비 양호, 재작년 대비 비슷하였다.<br><br>● 밤나무의 착과수는 7월 현재 대부분 지역에서 전년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품종별로는 단택, 옥광, 석추 등의 착과수가 전년 대비 약간 감소하였다.<br>  <br>■ 밤나무 혹벌 피해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극심 <br><br>● 밤나무 혹벌 피해는 전체 밤나무 재배면적의 29%에 달하며, 특히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피해가 컸다.품종별로는 단택, 축파 등 조생종과 중생종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br> <br>■ 2003년 밤 생산량은 평년 대비 소폭 감소 할 전망  <br><br>● 2002년도 밤 생산량은 성숙기의 일조량 부족과 수확기의 태풍 루사 피해로 2001년에 비하여 23% 감소한 72,405톤으로 나타났다. <br><br>● 2003년도 밤 수확량은 전년 대비 23.4% 증가, 평년 대비 5.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br><br>● 2003년의 생산량은 밤나무의 노령화와 노령목 갱신에 따른 수확가능면적의 감소, 남부지방의 밤나무 혹벌 피해로 인하여 평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품종별로는 조생종과 중생종인 단택, 축파가 밤나무 혹벌 피해로 인하여 2001년 대비 4~8% 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br><br> << 가격 >><br>  <br>■ 7월 상순 밤 산지가격은 평년보다 높은 수준 <br><br>● 밤 산지가격은 금년 4월 이후 상품 1kg당 3,400원~3,500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전년보다는 낮지만 평년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br><br>● 7월 상순의 밤 산지가격은 상품 1kg당 3,500원으로서 전년 동기보다 33% 낮고, 평년 동기보다 1% 높다. <br>  <br>■ 7월 상순 밤 소비지가격은 평년 수준  <br><br>● 밤 소비지가격은 금년 4월 이후 상품 1kg당 5,050원~5,500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전년보다는 낮지만 평년보다는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br><br>● 7월 상순의 밤 소비지 가격은 kg당 5,475원 정도로서 전년 동기보다 33.6% 낮고, 평년 동기보다 4.1% 높다. <br> <br>■ 8월 밤 가격은 전년보다 낮지만 평년보다 높을 전망  <br>  <br>●8월 밤 가격은 경기 위축에 따른 소비 둔화 등 가격하락요인이 있지만 7월 중순 이후 초복, 중복, 말복등 복 경기 수요증가가 예상되고, 금년 추석이 예년보다 빨라 공급 가능 물량이 감소하여 평년보다 높을 전망이다.<br>  <br><< 수출입 >><br>■ 생밤 수출은 전년 대비 15% 증가, 깐밤 수출은 39% 감소 <br> <br>● 2002년산 생밤 수출은 5월 현재 5,705톤으로서 전년 동기보다 15.3% 증가하였다. 깐밤 수출은 3월 현재 6,935톤으로서 전년 동기보다 38.9% 감소하였다. <br><br>● 깐밤의 수출은 원료 공급물량의 감소와 높은 원료가격, 국내 인건비 상승, 일본 경기침체 등 복합적인 요인때문에 감소하였다. <br>  <br>■ 냉동밤 수입물량 전년대비 240% 증가 <br>  <br>● 2002년산 생밤 수입은 5월 현재까지 전년 동기대비 103% 증가, 냉동밤 수입은 240% 증가하였다. 냉동밤 수입이 급증한 것은 2002년산 밤 공급물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br><br>● 그러나 냉동밤 수입물량은 1월에 323톤으로서 최고에 달한 이후 5월에는 70톤으로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5월의 수입물량은 전년 동기와 같은 수준이며, 평년 동기 보다 13% 감소한 수준이다. <br> <br><br>--자료 : 농촌경제연구원<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219

올해 마늘ㆍ양파 생산격감

3,229
218

토마토 ‘불티나네’

3,615
217

신선사과 저장기간 45일 연장 기능성 포장필름 개발

4,113
216

복숭아와 포도 등 농산물품질 합동단속

3,282
215

국산녹용 안정판매기반 조성사업 실시

3,432
214

내달 육계 산지가격 kg당 700~900원

3,665
213

오이, 소비 주춤으로 보합세

3,388
212

쌀 소비량 소폭 증가세 보인다

3,262
211

8월 축산 관측정보

3,383
210

8월 임업 관측정보

3,574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