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농산물 공급망관리 도입 시급”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3-07-09 조회수 3587
<br>농산물 유통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농산물 유통체계를 이루기 위해서는 농업분야에도 공급망관리(SCM)의 도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br><br>  송윤석 현대정보기술 IT컨설팅 팀장은 지난달 27일 열린 신유통토론회에서 `농산물유통의 SCM 도입방안' 주제발표를 통해 “소비자 욕구 변화에 대한 정보가 생산자에게까지 도달하면서 왜곡된 정보로 둔갑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br><br>  송 팀장은 “최근 정보통신의 발전으로 소비자와의 채널이 확대되고 있으나 농산물 유통단위 구조간 정보인프라의 격차가 크고 상품·데이터·서비스 등의 정보연결이 미흡해 농산물 생산과 소비와의 효율적인 연계가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br><br>  특히 그는 현행 농산물유통의 문제점으로 복잡한 유통단계와 유통마진의 상승으로 인한 비효율성과 유통단계간의 조정과 통제 미흡, 표준화가 미흡에 따른 거래의 효율성 저하와 물류비용의 과다, 유통단계간의 정보인프라 미흡 등을 지적했다.<br>  따라서 송 팀장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선 공급망(Supply Chain)의 통합을 통해 최적화된 유통 흐름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br><br>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nt)란 소비자의 수요를 효과적으로 충족시켜 주기 위해 농산물 생산, 신제품 출시, 판매계획, 상품보충 등의 부문에서 생산자(단체), 산지유통센터, 가공업체, 도소매업체 등이 서로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br><br>  송 팀장은 “SCM이 구축될 경우 소비자는 선택의 질과 구매만족도가 향상되고 유통업체는 농산물 절품 방지 및 신규수요 창출과 비용 절감에 따른 경영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며 “특히 생산자는 판로개척이 용이하고 시장에 보다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소비자 수요에 따른 농산물 생산 계획 및 출하가 가능해 진다”고 강조했다.<br><br>  이와관련 정운천 참다래유통사업단 회장은 “농산물도 단순한 산물형태서 브랜드 있는 상품으로 공급되고 있다”며 “산지에서도 정보화 시대에 맞게 소비자의 욕구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대응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br><br>  안지현 한국전산원 주임연구원은 “농산물 표준화 미흡과 다양한 유통주체로 인한 의사결정 지원 부족, 정보제공 체계 미흡, 낮은 수준의 정보, 법적·제도적 문제 등으로 농업에서 SCM 추진이 어렵다”면서 “정부와 유통주체들은 유통단계별로 정보체계를 통합화시켜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는데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br> <br><br>--농수축산신문(03.07.02), 박유신 기자 <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69

6월 가축통계결과···3월에 비해 젖소를 제외한 한육우, 돼지, 닭모두 증가

3,229
168

“농산물 공급망관리 도입 시급”

3,587
167

단감 미국 수출길 열려

3,556
166

농어민 건보료경감 - 2005년 50% 추진

3,405
165

당근 출하주 수입농산물과 한판 '전쟁'

3,876
164

배 15% 더 솎아내야 제값 받는다

3,195
163

서산ㆍ태안 6쪽마늘 없어 못판다.

3,621
162

7월 채소 관측정보

3,176
161

농협충북지역본부, 육계 수매 비축

3,218
160

농경연관측 내달 산지육계값 kg당 800~1000원

3,438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