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7월 과일 관측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3-06-27 조회수 3130
<br> <br>■ 과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5% 내외 감소할 전망 <br><br><br>포도 생산량은 지난해와 비슷하나 복숭아, 배는 11% 내외 증가, 사과와 감귤은 각각 10%, 20% 내외 감소할 전망. 대체로 생육상황이 좋지 않아 품질 향상 위한 노력이 필요할 듯. <br><br><br>■ 포도 생산량은 지난해와 비슷할 전망 <br><br><br>포도 성목면적은 지난해보다 2%(480ha) 감소한 21,380ha로 추정. 단수가 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생산량은 지난해와 비슷한 42만톤 수준일 전망. 7월포도 출하량은 하우스포도는 크게 증가하나 노지 포도는 감소할 전망. 하우스포도 품질은 좋을 듯. <br><br><br>■ 복숭아 재배면적은 2%, 생산량은 10% 증가 <br><br><br>복숭아 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2%(290ha) 증가한 15,890ha, 성목면적은 9%(800ha) 증가한 9,680ha로 추정. 단수가 1% 증가하여 생산량은 10% 증가한 21만톤 수준일 듯. 7월 출하량은 지난해와 비슷할 전망이며 조생종 복숭아의 품질은 차이가 클 듯. <br><br><br>■ 사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9∼11% 적을 전망 <br><br><br>성목면적은 지난해보다 3%(510ha) 감소한 18,030ha 수준이 될 것으로 추정. 착과 및 생육상황이 지난해보다 좋지 않아 단수는 지난해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9∼11% 정도 줄어든 38∼39만톤 수준이 될 전망. <br><br>■ 배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9∼13% 많을 전망 <br><br><br>착과 및 생육상황이 좋지 않고 적과운동 전개로 성목단수는 평년보다 감소할 전망이지만 태풍 피해를 많이 입었던 지난해보다는 증가할 전망. 올해 배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9∼13% 늘어난 42∼44만톤 내외가 될 전망이므로 적과와 품질향상 노력 요구. <br><br><br>■ 노지온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9∼22% 감소 전망 <br><br><br>7월 하우스온주 가격은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적고 품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지난해(상품 5kg당 1만 2,000원)보다 5∼10% 높을 전망. 폐원면적과 개화상황을 고려한 노지온주의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9∼22% 감소한 58∼60만톤 수준일 전망. <br><br><br>■ 단감 개화상황 지난해보다 좋지만, 지역별 편차 심해 <br><br><br>단감 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7%(1,440ha) 감소한 1만 9,680ha, 성목면적은 1%(140ha) 감소한 1만 6,310ha 수준. 단감의 개화상황은 지난해보다 좋은 평년수준이지만 지역별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남. 개화시기는 지난해보다 1일 정도 늦음. <br><br> <br>--자료 : 농경연,농업관측정보센터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49

하우스감귤 모처럼 ‘오름세’

3,151
148

‘씨없는 수박’ 재배법 개발

3,910
147

양파 당분간 ‘강세행진’

3,342
146

한우 고급육 소비 ‘꽁꽁’ㆍ수입 쇠고기 시장 ‘후끈’

3,596
145

농부증 예방은 인터넷에서

3,411
144

7월 축산 관측정보

3,200
143

7월 과일 관측정보

3,130
142

7월 과채 관측정보

3,061
141

서울시내 주부 `전통가공식품´의 안전성을 믿고 구매한다

3,188
140

제주감귤 강제착색 금지

3,274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