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배산업 대란 우려-재배면적 폭증에 추석특수 기대도 어려워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3-04-14 | 조회수 | 4233 |
<br>감귤산업에 이어 배산업에도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br> 특히 배산업 불황 우려는 만성적인 생산과잉과 소비부진에 의한 것으로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돼 재배농가와 유통관련업계에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다.<br><br>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배 재배면적은 1990년 9100ha에서 2002년 2만7600ha로 3배나 늘어났고, 생산량도 1990년 15만9000톤에서 2002년 38만6000톤으로 2.5배 증가했다.<br> 여기다 성목면적이 1990년 7100ha에서 2002년 1만7100ha로 증가, 올해 배 생산량이 45만여톤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최고시세를 올렸던 1999년 25만9000톤보다 74%나 많은 물량이다.<br><br> 이로 인해 배 가격도 상품 신고 15kg기준 1995년 3만3000원에서 2002년 2만3000원으로 하락한 이후 지금까지도 2만원선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br> 특히 올해는 추석이 예년보다 빨라 미숙과의 출하가 증가될 경우 배는 물론 타 과일까지 소비부진 현상이 심화되면서 가격 폭락이 우려되고 있다.<br><br> 허광국 배 전국협의회장은 “과일은 명절수요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추석을 기해 버리더라도 생산량의 35%는 소진시켜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배는 출하지역이 전국에 걸쳐 분포돼 있어 이대로라면 감귤산업보다 더욱 큰 위기를 맞을 상황”이라고 우려했다.<br> 농업관계자들은 배산업의 위축과 관련 재배면적 증가에 따른 생산과잉과 품질이 낮은 미숙과 출하로 소비자의 구매욕구가 감소했으며, 수입과실의 국내 소비 증가에 따른 소비감소 등을 주 요인으로 꼽고 있다.<br><br> 신용억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과수재배과장도 “배산업의 활로를 찾기 위해서는 품종 개발과 친환경생산생산체계 도입, 수확후 유통체계의 개선 등 기술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br> 그는 특히 “정책적으로도 적정생산량 설정과 수급 조절을 위한 간벌, 노후과원 폐원보상, 수출 및 가공확대를 위한 수매제 도입과 국내외 소비 확대 등 적극적인 대책이 세워져야 한다”고 강조했다.<br> <br>--농수축산신문(03.4.11), 박유신 기자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29 | 5,073 | ||
28 | 4,673 | ||
27 | 4,278 | ||
26 | 4,629 | ||
25 | 4,483 | ||
24 | 4,233 | ||
23 | 4,509 | ||
22 | 4,438 | ||
21 | 5,078 | ||
20 | 4,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