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백과(카미위키)
다른 검은콩보다 알맹이가 훨씬 작은 쥐눈이콩은 검은콩의 일종으로 쥐의 눈알같이 생겼다고 해서 이름이 붙여졌다. 서목태(鼠目太)라고도 하고, 예로부터 효능 때문에 약용으로 사용해서 약콩이라고도 불렀다.
구분 | 내용 |
외국어 표기 | Rhynchosia Nulubilis(영어 학명) |
---|---|
분류 | 두류 |
주요 생산지 |
- 경기 파주 - 충남 청양 - 충북 괴산 - 전북 임실 - 전남 완도 - 제주도 등 |
유사재료 | 서리태 |
어원/유래 | 쥐눈이콩은 쥐의 눈알같이 생겼다고 해서 이름이 붙여져서 서목태 (鼠目太)라고도 하고 약용으로 사용해서 약콩이라고도 불린다. |
특징 | 검은콩의 종류인 서리태보다 알맹이가 훨씬 작은 것이 특징인데 크기는 작지만 , 영양이 골고루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
효능 |
-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포만감을 주므로 체중관리에 효과적이고 , 당뇨 예방에 도움을 준다 . - 피부 관리와 야맹증에도 효과적이고 , 해독력이 뛰어나 체내의 독성을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
열량 | 100g당 358kcal(생것), 381kcal (마른 것) |
음식궁합 | 밥에 넣어 먹으면 서로 부족한 영양소를 보완하는 작용을 한다. 약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
활용 | 밥에 넣어 먹거나 콩국수 등 요리에 활용한다. 볶은 쥐눈이콩은 간식으로 이용되며, 물을 붓고 우려내어 차로 마셔도 좋다. |
고르는 법 | 검은색을 띠고 윤기가 나며 , 금이 가거나 상처가 나지 않고 낱알이 고른 것을 고른다. |
손질법 | 깨끗이 씻어 물에 충분히 불려서 사용한다. 쥐눈이콩을 볶을 때는 불리지 않고 물기를 제거해 사용한다. |
보관법 | 통풍이 잘 되는 18~22℃의 상온에서 보관한다. 볶은 쥐눈이콩은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
쥐눈이콩이란?
- 검은콩의 일종인 쥐눈이콩은 쥐의 눈알같이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서목태(鼠目太)라고도 하고, 예로부터 약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약콩이라고도 불렀다. 서리태라고 부르는 검은콩보다 알맹이가 훨씬 작은 것이 특징이다.
- 쥐눈이콩은 아주 작지만, 영양이 골고루 풍부해서 꾸준히 섭취하면 뼈가 튼튼해지고 피부가 고와져서 젊음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쥐눈이콩(좌), 서리태(우)
품목별 도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품목별 소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일일동향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유통단계별 거래형태
주요 반입되는 지역
품목별 유통실태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쥐눈이콩 고르는 tip
볶은 쥐눈이콩
밥에 넣어 먹거나 콩국수 등 요리에 활용할 때는 마른 쥐눈이콩을, 간식용으로 그냥 섭취하거나 차로 마실 때는 볶은 쥐눈이콩을 구매하는 것이 좋다.
- 쥐눈이콩을 볶으면 까만 껍질이 터지면서 속 안에 푸른 알맹이가 보이는데, 볶은 쥐눈이콩을 고를 때는 콩 속 푸른 알맹이가 노릇노릇하게 잘 볶아진 색을 띠는지 확인한다. 알맹이가 너무 어두운색을 띠면 탄 것일 수 있고, 냄새도 좋지 않으니 꼼꼼히 확인 후 구매한다.
손질은 이렇게
- 깨끗이 씻은 콩을 볼에 넣고, 물을 콩이 잠길 만큼 넉넉히 넣고 충분히 불려서 사용한다. 콩을 급하게 불려야 할 경우에는 따뜻한 물에 불리면 시간을 조금 단축할 수 있다.
- 쥐눈이콩을 볶을 때는 깨끗하게 씻어 콩을 불리지 않고 바로 물기를 제거해준다. 프라이팬에 물기를 제거한 콩을 올려 중간 불에서 골고루 저으면서 탁탁 소리가 날 때까지 볶아준다. 쥐눈이콩이 살짝 벌어져 푸른 알맹이가 노릇하게 되면 잘 볶아진 것이므로 불을 끈 뒤 식힌다. 볶은 쥐눈이콩은 간식으로 그냥 섭취하기도 하며, 물 2L 정도에 쥐눈이콩을 두 주먹 정도 넣고 5분 정도 끓여 차로 마셔도 좋다.
보관은 이렇게
- 통풍이 잘 되도록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18~22℃의 상온에서 3개월 정도 보관이 가능하지만, 가능한 한 빨리 섭취하는 것이 좋다.
- 볶은 콩은 실온에 그냥 두면 쉽게 변질되기 때문에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한 뒤 먹을 만큼 꺼내 먹으면 된다.
쥐눈이콩 활용방법
용도 | 활용메뉴 |
---|---|
밥, 죽, 면 | 쥐눈이콩밥, 콩국수
|
찌개 | 쥐눈이콩 청국장찌개 |
조림 | 콩조림 |
기타 | 쥐눈이콩 차, 콩고물, 낫또, 식초, 미숫가루, 두유, 스무디 |
출처 | - aT농산물유통정보(KAMIS) - 대한민국 식재총람 -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식품정보누리) |
---|
이런 효능이 / 이런 영양이
- 쥐눈이콩은 탄수화물(41.2%), 단백질(38.9%), 지질(6.9%) 등과 비타민, 다량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있어 포만감을 주므로 체중관리에 효과적이고, 가용성 식이섬유가 포도당의 흡수 속도를 조절해 당뇨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 쥐눈이콩은 피부 관리에도 효과적인데, 비타민 E가 풍부하여 기미를 없애는 데 도움을 주고 안토시아닌 성분이 거친 피부 결을 관리해준다. 또 안토시아닌과 함께 비타민 A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야맹증에 효과적이다.
- 쥐눈이콩은 해독력이 뛰어나서 체내에서 파괴된 인체 조직을 빠른 속도로 회복시켜주고, 독성을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두뇌발달을 도와 치매 예방과 성장기 어린이, 수험생들에게 도움을 주는 식품이다.
미디어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