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백과(카미위키)
누에콩, 작두콩, 마마콩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잠두는 단백질과 식이섬유, 비타민과 무기질이 고루 들어있는 영양가 높은 콩류이다. 어린 잠두부터 완숙 종자까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구분 | 내용 |
---|---|
외국어 표기 | Fava bean(영어) |
분류 | 두류 |
원산지 | 북아프리카, 남서 아시아 |
주요 생산지 |
- 국내 : 제주도, 전남 남부 해안지역 등 - 수입 : 중국 |
특징 | 누에콩, 작두콩, 마마콩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전 세계 총생산량의 약 70%가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
효능 및 영양성분 |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을 고루 가진 영양가 높은 식품이며, 염증 완화에 도움을 주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다. |
열량 | 100g당 124kcal (생 것), 348kcal (말린 것) |
음식궁합 | 소고기와 궁합이 잘맞는다. 다시마와 함께 섭취하면 부족하기 쉬운 요오드 균형을 맞추어 준다. 두반장원료로 구수한 맛이 나기때문에 삶아 먹어도 좋다. |
활용 | 어린 잠두는 채소처럼 이용하며 완숙 종자는 제분, 제과, 통조림용으로 가공한다. 중국에서는 당면, 과자, 된장, 튀김용으로 사용하고 일본에서는 찜, 과자, 조림, 볶음 등으로 이용한다. |
고르는 법 | 껍질 고유의 색이 선명하고, 만져보았을 때 단단한 것, 껍질 속 콩알이 타원형에 크기가 고르며 윤기가 흐르는 것을 고른다. |
손질법 | 꼭지 부분을 잡아 아래로 당겨 겉껍질을 벗겨 내고, 끓는 물에 소금을 살짝 넣어 데쳐 식힌 후 엄지와 검지로 잠두콩을 살짝 밀어주듯 힘을 주어 얇은 속껍질을 벗겨 이용한다. |
보관법 | 밀봉하여 냉장고에 보관하고, 껍질째로 냉동했다 사용하면 좀 더 오래 먹을 수 있다. 튀긴 잠두는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한 곳에 밀봉하여 보관한다. |
먹는 법 | 겉껍질과 속껍질을 벗긴 잠두는 그대로 쪄서 먹거나 다른 재료와 함께 볶아 먹는다. |
잠두의 원산지
- 잠두의 원산지는 아직도 불명확하다. 다만 서부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일 것이라는 견해가 중심이 되나, 동부 중앙아시아로 보는 견해도 있으며 유럽, 아프리카 및 스페인 해안, 나일강변과 에티오피아, 메소포타미아에서 인도까지 4개 지역을 1차 원산지로 보는 의견도 있다.
- 2차적인 분화 중심지는 아프가니스탄 및 에티오피아로 입증되고 있다. 국내 주요생산지로, 90년대 중반정도까지는 일본으로의 수출 계약재배 등의 이유로 생산지역이 꽤 있었으나, 현재는 수요가 없어 국내에서는 잠두를 재배하는 농가를 찾기 힘들다. 과거에는 제주도 및 남해, 사천, 전남 해안지역 등에서 생산되었다.
잠두의 종류
잠두 재배형태
재배형태 | 파종기 | 수확기 | 품종 | 비고 | |
---|---|---|---|---|---|
조숙재배 |
8월 상순~ 9월 중순 10월 상순~ 10월 중순 |
12월~ 익년 4월 |
조생종 장협, 대립종 |
답리작 가능 | |
보통재배 | 9월 하순~ 10월 하순 | 5~6월 | 전품종 | ||
억제재배 | 따뜻한 곳 | 8월 중순 ~ 9월 상순 | 11월~ 익년 2월 | 조생종 | 저온처리 |
서늘한 곳 | 3월 상순 ~ 4월 상순 |
8월 ~ 11월 7월 ~ 8월 |
잠두의 가공이용
풋 꼬투리 및 낟알 | 성숙 꼬투리 및 건조 종실 |
---|---|
- 미숙상태 또는 녹색의 콩은 채소로 이용됨 | - 완숙된 종실은 제과용, 제분, 통조림, 안주용으로 이용됨 |
출처 | - 농촌진흥청 농사로 |
---|
품목별 도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품목별 소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일일동향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유통단계별 거래형태
전통(소매)시장
- 국산은 1.6kg, 2kg 단위로 거래되며, 중국산은 1.8kg, 2kg 단위로 판매됨 |
대형유통업체
- 차로 가공되어 32g(40T), 78g(60T) 등 종이상자 및 플라스틱 용기에 소포장 되어 판매됨 |
주요 반입되는 지역
반입지역 및 거래동향
- 관내 반입되는 지역은 전남 화순, 나주, 강진 등지에서 주로 반입되고 있음
- (최 근) 볶아서 차로 마시거나, 혼반용, 갈아 만든 분말과 환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소비처는 주로 일반 가정집으로 소량으로만 구매되고있어 소비량은 적음.
- (향 후) 비염에 효능이 있어 환절기(초겨울, 초봄)에 수요가 다소 있을 것으로 보이며, 현재 별다른 소비증가 요인이 없어 현 시세 유지 전망
최근 소매가격 (광주 양동시장 2019. 7월 기준)
구분 | 국내산 | 중국산 | |
소매 |
가격(원/2kg) |
40,000~55,000 | 13,000~15,000 |
품목별 유통실태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잠두 고르는 tip
- 껍질이 밝은 녹색이고 겉으로 봤을 때 콩 형태가 가지런한 것
- 만졌을 때 단단하고 껍질이 얇은 것
- 밑 부분이 부풀어 있는 것은 오래된 것이므로 피할 것
-껍질 속 콩알은 타원형에 크기가 일정하며 윤기가 흐르는 것
손질은 이렇게
- 잠두는 콩알마다 한 겹의 얇은 껍질이 있어 껍질을 제거한 후 사용하는데, 알칼리성 물에 넣고 데치면 속껍질이 물러지면서 헐렁해지므로 삶을 때는 소금을 조금 넣고 3~4분간 센 불로 뚜껑을 열고 삶는 것이 좋음
보관은 이렇게
- 잠두를 밀폐용기에 보관할 경우 바닥에 소금을 깔고 보관하면 벌레가 생기는 것을 막아줌
- 장기 보관 시 바람이 잘 통하고 습기가 없는 곳(18~22℃)에 보관하며, 보관 기간은 3개월을 넘기지 않아야함
- 풋콩은 꼬투리째 냉장 보관하면 짧은 기간은 신선하나, 오래 보관하기 위해서는 꼬투리를 벗겨 콩을 살짝 데친 후 비닐봉지에 넣어 냉동 보관하는 것이 좋음
활용은 이렇게
용도 | 활용메뉴 |
---|---|
밥, 죽 | 잠두콩밥, 잠두콩수프 |
샐러드 | 잠두콩샐러드 |
볶음 | 잠두콩 아스파라거스베이컨 볶음, 잠두콩 닭 가슴살 볶음 |
찜, 조림 | 잠두콩찜, 잠두콩조림 |
출처 | -농촌진흥청(농사로 농업경영 매뉴얼) - www.latimes.com - https://draxe.com - www.livestrong.com - www.thekitchn.com - https://toriavey.com |
---|
이런 효능이
- 콧물이 나는 것을 억제해주는 히스티딘 성분이 다른 콩에 비해 3배 이상 함유되어 있어 비염뿐만 아니라 축농증과 편도선염, 중이염 등 여러 염증 질환에 효과가 있음
- 잠두콩 껍질에는 강력한 항산화 성분인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른 콩들에 비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활성산소를 제거해주고 암세포의 생성을 억제해 항암 효과가 있음
- 잠두에는 항산화 성분인 비타민A 함량이 백태의 137배, 비타민C 함량은 20배 이상 함유되어 있으며, 신체 활력 증진과 면역력 개선을 돕는 비타민 B1 함량이 일반 콩보다 3배 이상 함유되어 있음
- 잠두는 뱃속을 따뜻하게 하여 염증이나 궤양, 딸꾹질 등에 도움이 되며, 소화가 잘 되지 않거나 더부룩할 때 잠두콩을 가루로 내어 따뜻한 물에 타서 먹으면 소화에 도움이 됨
- 잠두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나이아신 성분은 혈액 속에 쌓인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혈액을 맑게 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도와 동맥경화나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적임
- 잠두에 풍부한 사포닌 성분은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해주어 변비 완화에 도움이 되고, 지방 흡수를 억제해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음
이런 영양이
출처 | -농촌진흥청(농사로 농업경영 매뉴얼) - www.latimes.com - https://draxe.com - www.livestrong.com - www.thekitchn.com - https://toriavey.com |
---|
미디어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
동영상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