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5.jpg
채소류 아욱

아욱은 중국에서 ‘채소의 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영양이 매우 풍부한 채소다. 특히 칼슘이 풍부하여 성장기 아이들 발육에 이롭고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변비 해소에 효과적이다.

<table class="tbl1 col1_2"> <colgroup> <col /> <col /> </colgroup> <tbody> <tr> <td>구분</td> <td>내용</td> </tr> <tr> <th scope="row"> <p>외국어 표기</p> </th> <td> <p>Curled mallow(영어)</p> </td> </tr> <tr> <th scope="row"> <p>분류</p> </th> <td> <p>채소 > 엽채류</p> </td> </tr> <tr> <th scope="row"> <p>주요 생산지</p> </th> <td> <p>-서울 강동구</p> <p>-경기 여주, 광주, 남양주 등</p> </td> </tr> <tr> <th scope="row"> <p>제철</p> </th> <td> <p>7월~8월</p> </td> </tr> <tr> <th scope="row"> <p>특징</p> </th> <td>중국에서 ‘최소의 왕’이라고 불리며 우리나라에서도 ‘가을 아욱국은 사립문 닫고 먹는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맛과 영양이 뛰어난 채소다.</td> </tr> <tr> <th scope="row"> <p>효능 및 영양성분</p> </th> <td>단백질, 칼슘 함유량이 시금치보다 2배 이상 높아 성장기 아이들의 뼈 건강과 신장 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다.</td> </tr> <tr> <th scope="row"> <p>열량</p> </th> <td> <p>100g당 23kcal (생것), 21kcal (데친 것)</p> </td> </tr> <tr> <th scope="row"> <p>음식궁합</p> </th> <td>비타민A, C가 풍부하여 단백질, 비타민B가 풍부한 새우와 함께 섭취하면 서로 부족한 영양을 채울 수 있다.</td> </tr> <tr> <th scope="row"> <p>활용</p> </th> <td>된장국, 나물 무침, 쌈밥으로 활용된다.</td> </tr> <tr> <th scope="row"> <p>고르는 법</p> </th> <td>잎이 넓고 부드러우며 줄기가 통통하고 연한 것이 좋다.</td> </tr> <tr> <th scope="row"> <p>손질법</p> </th> <td>억센 줄기는 잘라내고 남은 줄기는 얇은 껍질을 벗겨서 사용한다. `잎은 물에 담가 치댄 후 헹구어 풋내를 제거한다.</td> </tr> <tr> <th scope="row"> <p>보관법</p> </th> <td>수분을 제거하여 신문지에 싼 후 냉장고 신선실에 보관한다.</td> </tr> </tbody> </table>
<div class="title"> <p>아욱이란?</p> </div> <div class="sample01"> <p>- 아욱의 이름은 잎이 부드럽고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부드럽다’는 뜻의 불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열대 기후에서 생육이 왕성하기 때문에 여름이 더운 인도와 서부 아시아 및 유럽 지역에서 재배, 보급되기 시작하였다.</p> <p>- 중국에서는 아욱을 콩잎, 부추, 염부추, 파와 함께 오채로 꼽을 정도로 주목받는 식재료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가을 아욱국은 사립문 닫고 먹는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맛과 영양이 뛰어난 채소다. 한의학에서 아욱은 찬 성질을 가진 음식으로 몸에 열이 많고 갈증을 많이 느끼는 사람에게 좋다고 한다. 주로 된장국, 나물, 죽 등의 재료로 사용되며 씨앗인 ‘동규자’는 한방에서 이뇨작용에 도움을 주는 약재로 사용된다.</p> <p>- 높이는 60~90㎝ 정도, 포기 전체에 거친 털이 있으며, 꽃은 봄부터 가을까지 피며 성화기는 6~7월이다.</p> <p>- 중국에서는 5채의 하나로서 채소 중에서도 으뜸으로 손꼽히며, 우리나라에서도 ‘가을 아욱국 사위만 준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맛과 영양이 뛰어난 채소이다.</p> </div> <p> </p> <div class="title"> <p>작형별 출하시기</p> </div> <table class="tbl2 col1_2 col1_subtit"> <tbody> <tr> <th scope="row">작형</th> <th scope="row">파종기</th> <th scope="row">수확기</th> <th scope="row">성출하기</th> </tr> <tr> <td>봄 재배</td> <td>2월 상순 ~ 4월 하순</td> <td>3월 중순 ~ 6월 중순</td> <td>5월 상순 ~ 6월 상순</td> </tr> <tr> <td>가을 재배</td> <td>8월 하순 ~ 10월 중순</td> <td>10월 중순 ~ 12월 중순</td> <td>11월 상순 ~ 12월 상순</td> </tr> </tbody> </table>

품목별 도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품목별 소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일일동향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유통단계별 거래형태

<div class="title"> <p>도매시장</p> </div> <table class="w700 tbl"> <colgroup> <col /> <col /> <col /> </colgroup> <tbody> <tr> <td><img alt="" src="/ckeditor/imageUpload/1_1565144511749.JPG" /></td> <td><img alt="" src="/ckeditor/imageUpload/2_1565144524388.JPG" /></td> <td><img alt="" src="/ckeditor/imageUpload/3_1565144540794.JPG" /></td> </tr> <tr> <td colspan="3">- 도매시장에서는 4kg 골판지상자로 반입됨</td> </tr> </tbody> </table> <p> </p> <div class="title"> <p>전통(소매)시장</p> </div> <table class="w700 tbl"> <colgroup> <col /> <col /> <col /> </colgroup> <tbody> <tr> <td><img alt="" src="/ckeditor/imageUpload/4_1565144584971.JPG" /></td> <td><img alt="" src="/ckeditor/imageUpload/5_1565144598563.JPG" /></td> <td><img alt="" src="/ckeditor/imageUpload/6_1565144616181.JPG" /></td> </tr> <tr> <td colspan="3">- 4kg 골판지상 및 1kg 단위로 판매되며, 가정용 소비는 1kg 단위의 거래가 많음</td> </tr> </tbody> </table> <p> </p> <div class="title"> <p>대형유통업체</p> </div> <table class="w700 tbl"> <colgroup> <col /> <col /> <col /> </colgroup> <tbody> <tr> <td><img alt="" src="/ckeditor/imageUpload/7_1565144726512.JPG" /></td> <td><img alt="" src="/ckeditor/imageUpload/8_1565144750048.JPG" /></td> <td><img alt="" src="/ckeditor/imageUpload/9_1565144765542.JPG" /></td> </tr> <tr> <td colspan="3">-  150g 내외 비닐소포장 형태로 판매됨</td> </tr> </tbody> </table>

주요 반입되는 지역

<div class="title"> <p>주요 출하지역</p> </div> <div class="sample01"> <p>- 주 출하도는 ① 경기도 ② 서울특별시 ③ 충청남도 순</p> <p>- 시 군은 ① 경기 여주시 ② 경기 광주시 ③ 경기 안성시 순</p> <p>- 총 반입량 중 3개 도에서 99.8%, 3개 시군에서 55.7%가 출하</p> </div> <p> </p> <table class="tbl2 row2_subtit col1_subtit"> <tbody> <tr> <th rowspan="2" scope="row">순위</th> <th colspan="2" scope="row">도별</th> <th colspan="2" scope="row">시군별</th> </tr> <tr> <th scope="row">지역</th> <th scope="row">비율(%)</th> <th scope="row">지역</th> <th scope="row">비율(%)</th> </tr> <tr> <td>1</td> <td>경기도</td> <td>90.1</td> <td>경기 여주시</td> <td>27.2</td> </tr> <tr> <td>2</td> <td>서울특별시</td> <td>9.6</td> <td>경기 광주시</td> <td>15.6</td> </tr> <tr> <td>3</td> <td>충청남도</td> <td>0.1</td> <td>경기 안성시</td> <td>12.9</td> </tr> <tr> <td>4</td> <td>충청북도</td> <td>0.1</td> <td>경기 남양주시</td> <td>11.7</td> </tr> <tr> <td>5</td> <td>기타</td> <td>0.1</td> <td>경기 이천시</td> <td>7.9</td> </tr> </tbody> </table> <p> </p> <div class="title"> <p>지역별 출하비율 및 반입량</p> </div> <table class="tbl"> <tbody> <tr> <td><img alt="" src="/ckeditor/imageUpload/1_1565142073115.JPG" /></td> <td><img alt="" src="/ckeditor/imageUpload/2_1565142085650.JPG" /></td> </tr> </tbody> </table> <p> </p> <div class="title"> <p>월별 주요 출하지역</p> </div> <table class="tbl1 txt_center tbl"> <tbody> <tr> <th scope="row">월별</th> <th scope="row">1월</th> <th scope="row">2월</th> <th scope="row">3월</th> <th scope="row">4월</th> <th scope="row">5월</th> <th scope="row">6월</th> <th scope="row">7월</th> <th scope="row">8월</th> <th scope="row">9월</th> <th scope="row">10월</th> <th scope="row">11월</th> <th scope="row">12월</th> </tr> <tr> <td> <p>출하지</p> <p>(물량순)</p> </td> <td> <p>여주시</p> <p>안성시</p> </td> <td> <p>여주시</p> <p>안성시</p> </td> <td> <p>여주시</p> <p>안성시</p> </td> <td> <p>여주시</p> <p>안성시</p> </td> <td> <p>여주시</p> <p>광주시</p> </td> <td> <p>여주시</p> <p>광주시</p> </td> <td> <p>여주시</p> <p>광주시</p> </td> <td> <p>여주시</p> <p>남양주시</p> </td> <td> <p>여주시</p> <p>광주시</p> </td> <td> <p>광주시</p> <p>남양주시</p> </td> <td> <p>여주시</p> <p>광주시</p> </td> <td> <p>여주시</p> <p>광주시</p> </td> </tr> </tbody> </table>

품목별 유통실태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div class="title"> <p>아욱 고르는 tip</p> </div> <div class="sample01"> <p>- 잎이 넓고 짙은 초록색을 띠는 것</p> <p>- 줄기는 연하고 통통하며 만졌을 때 부드러운 것</p> </div> <p> </p> <div class="title"> <p>손질은 이렇게</p> </div> <div class="sample01"> <p>- 줄기가 억센 것은 잘라내 버리고 줄기를 윗부분에서 꺾어 질긴 껍질 부분을 벗겨낸다.</p> <p>- 먼저 흐르는 물에 씻어주는데 잎에서 줄기로 이어지는 부위에 흙이 묻어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특히 꼼꼼히 씻어준다.</p> <p>- 잎이 크고 두꺼운 것은 소금을 한 스푼 넣은 물에 담가 푸른 물이 나오도록 치댄 후 찬물에 2~3번 헹구어 풋내와 쓴맛을 제거하고 사용한다.</p> </div> <p> </p> <div class="title"> <p>보관은 이렇게</p> </div> <div class="sample01"> <p>- 데치지 않은 생아욱은 물기 없이 마른 상태에서 신문지나 키친타월에 싸서 냉장 보관함</p> <p>- 장기 보관할 경우에는 적당한 크기로 잘라 따뜻한 물에 살짝 데쳐 물기를 제거한 후, 한번 먹을 양만큼 소분하여 비닐 팩에 담아 냉동 보관함</p> </div> <p> </p> <div class="title"> <p>활용은 이렇게</p> </div> <table class="tbl1 col1_2 tbl"> <colgroup> <col /> <col /> </colgroup> <tbody> <tr> <th scope="row"> <p>용도</p> </th> <td> <p>활용메뉴</p> </td> </tr> <tr> <th scope="row">밥, 죽</th> <td> <p>아욱 쌈밥, 아욱 주먹밥, 아욱죽</p> </td> </tr> <tr> <th scope="row"> <p>국</p> </th> <td> <p>아욱 된장국</p> </td> </tr> <tr> <th scope="row"> <p>숙채</p> </th> <td> <p>아욱나물</p> </td> </tr> <tr> <th scope="row"> <p>전</p> </th> <td> <p>아욱전</p> </td> </tr> </tbody> </table>
<div class="title"> <p>이런 효능이</p> </div> <div class="sample01"> <div class="smtitle"> <p><strong>뼈 건강</strong></p> </div> <p>단백질과 칼슘의 함유량이시금치보다 2배 이상 높아 성장기 어린이의 뼈 건강과 신장 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어 성장발육에 효능이 있음</p> </div> <div class="sample01"> <div class="smtitle"> <p><strong>고혈압 예방</strong></p> </div> <p>아욱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칼륨 성분이 혈관에 쌓여있는 나트륨 배출을 도와 혈압을 낮추는데 도움이 됨</p> </div> <div class="sample01"> <div class="smtitle"> <p><strong>눈 건강</strong></p> </div> <p>아욱에는 녹황색 채소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인 베타카로틴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눈의 피로를 풀어주고, 시력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됨</p> </div> <div class="sample01"> <div class="smtitle"> <p><strong>산후 조리</strong></p> </div> <p>산모의 모유 분비를 촉진하고, 몸에 붓기를 빼는 데 도움을 주어 산모의 건강을 회복하는데 효능이 있음. 단, 출산을 한 산모에게는 좋으나, 임산부에게는 유산할 위험이 있으므로 피해야함</p> </div> <div class="sample01"> <div class="smtitle"> <p><strong>노화 예방</strong></p> </div> <p>아욱에 풍부한 베타카로틴 성분이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재생에 도움을 주어 노화를 예방하고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음</p> </div> <div class="sample01"> <div class="smtitle"> <p><strong>변비 예방</strong></p> </div> <p>아욱 잎에 함유된 끈끈한 점액질 성분은 장운동을 활성화시켜 변비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칼로리가 낮고 식이섬유가 풍부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됨</p> </div> <p> </p> <div class="title"> <p>이런 성분이(100g당 / 아욱, 생것)</p> </div> <div><img alt="" src="/ckeditor/imageUpload/222222_1565230236977.JPG" /></div>

미디어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



동영상

데이터가 없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