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백과(카미위키)
달콤한 맛이 강해 ‘땅속의 배’라고 불리는 야콘은 겉모양은 고구마와 매우 닮았으나 고구마와 달리 전분이 거의 없다. 섬유질이 풍부하고 열량이 낮아 다이어트 식품으로 안성맞춤이다.
구분 | 내용 |
외국어 표기 |
Yacon( 영어 ) |
---|---|
분류 |
채소 > 근채류 |
원산지 | 남아메리카 안데스 지방 |
주요 생산지 |
전국 소량 재배 |
유사재료 |
고구마 |
제철 |
9월~10월 |
특징 |
달콤한 맛 때문에 ‘땅속의 배’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뿌리의 형태는 고구마, 꽃은 감국, 잎과 줄기는 해바라기와 유사하다. |
효능 |
장내 유익균인 비피더스균을 증식시키는 프락토올리고당이 풍부하여 장을 보호하고 배변 활동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다. |
열량 |
100g당 62kcal |
음식궁합 |
이눌린이 풍부해서 육류와 함께 섭취하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준다. 당뇨, 변비에 도움이 된다. |
활용 |
샐러드, 생채로 활용되며 즙을 내 주스로도 마신다. 단맛을 활용해 맛탕, 한과 등의 재료로 사용되거나 물김치, 장아찌로 담가 먹기도 한다. |
고르는 법 |
껍질이 자줏빛이 나고 과육은 노란색을 띠는 것이 당도가 높으며, 원만한 타원형에 표면은 미끈한 것이 좋다. |
손질법 | 숙성시킬 때는 햇볕에 3~4일 정도 노출시키거나 그늘에 15일 정도 둔다. 손질할 때는 흐르는 물에 씻은 후 껍질을 깎아 잘라 사용한다. |
보관법 |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하여 랩으로 싸서 냉장 보관하거나 신문지로 싼 후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한다. |
먹는법 |
생것으로 먹거나 갈아서 주스로 섭취한다. |
야콘이란?
- 야콘은 달콤한 맛 때문에 ‘땅속의 배’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원산지는 중남미의 안데스 고원 지역이며 우리나라에서는 1985년부터 재배가 시작되었다. 뿌리의 형태는 고구마, 꽃은 감국, 잎과 줄기는 해바라기와 유사하다.
- 뿌리는 단맛이 강해 샐러드, 피클 등 생과로 이용하며 잎은 호박잎처럼 쪄서 쌈으로 먹거나 장아찌, 차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야콘즙은 커피처럼 짙은 갈색을 띠는데 야콘의 청량감과 단맛이 그대로 녹아있지만 약간의 쌉싸름한 맛도 느껴진다. 당분이 높아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올리고당의 보고로도 알려져 있다.
고구마(좌), 야콘(우)
품목별 도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품목별 소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일일동향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유통단계별 거래형태
도매시장
- 도매시장에서는 10kg 골판지상자로 거래됨 |
전통(소매)시장
조사 시장 내 없음 (2019.11.20 기준)
대형유통업체
조사 시장 내 없음 (2019.11.20 기준)
주요 반입되는 지역
주요 출하지역(‘18년 기준)
ㆍ주 출하도는 ① 강원도 ② 충청남도 ③ 대구광역시 순
ㆍ시 군은 ① 강원 평창군 ② 대구 달서구 ③ 강원 횡성군 순
ㆍ총 반입량 중 3개 도에서 85.5%, 3개 시군에서 62.8%가 출하
순위 | 도별 | 시군별 | ||
지역 | 비율(%) | 지역 | 비율(%) | |
1 | 강원도 | 53.3 | 강원 평창군 | 39.9 |
2 | 충청남도 | 19.1 | 대구 달서구 | 13.1 |
3 | 대구광역시 | 13.1 | 강원 횡성군 | 10.8 |
4 | 경상북도 | 12.4 | 경북 성주군 | 10.3 |
5 | 충청북도 | 1.2 | 충남 천안시 | 10.0 |
지역별 출하비율 및 반입량(‘18년 기준)
월별 주요 출하지역
월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출하지(물량순) |
달서구 성주군 |
천안시 성주군 |
당진군 - |
- | - | - | - | - | - |
평창군 춘천시 |
평창군 횡성군 |
성주군 횡성군 |
출처 |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
---|
품목별 유통실태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야콘 고르는 tip
- 껍질의 색은 자줏빛을 띠는 것
- 알은 통통하고 상처가 없으며 표면이 미끈한 것
- 과육은 노란색을 띠는 것이 당도가 높음(하얀색은 덜 익은 것임)
손질은 이렇게
- 야콘을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서 약 2주 정도 숙성시키면 당도가 높아지며,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서 껍질을 깎아낸 후 용도에 맞게 잘라 사용함
- 흐르는 물에 야콘을 깨끗이 씻고 껍질을 깎아낸 후 용도에 맞게 잘라 사용한다.
- 야콘을 숙성시킬 때는 햇볕에 3~4일 정도 노출시키거나 그늘에 15일 정도 둔다. 햇볕에 오랜 기간 과다 노출되면 신선도가 떨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 야콘을 손질할 때는 흐르는 물에 야콘을 깨끗이 씻고 껍질을 깎아낸 후 용도에 맞게 잘라 사용한다.
보관은 이렇게
- 야콘은 땅속에 저장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가정에서는 스티로폼 상자에 담아 수분이 마르지 않도록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한 곳에 보관하며, 보관 기간은 2개월을 넘기지 않아야 함
- 수분이 많아 겨울철 저장 시에는 5℃ 이상 유지해야 하며,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해야 함
- 야콘은 건조해지면 껍질에 주름이 생기므로 랩이나 신문지로 하나씩 싸서 냉장 보관함
-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하여 랩으로 싸서 냉장 보관한다.
- 야콘은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보관 시 수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하여 랩으로 싸서 냉장 보관하거나 신문지로 싼 후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한다.
- 보관 양이 많을 경우 흙에 묻어두거나 모래로 덮어 보관하면 장기 보관이 가능하다.
활용은 이렇게
용도 | 활용메뉴 |
---|---|
밥, 수프 | 야콘밥 , 크림수프의 재료 |
생채, 샐러드 | 생채 , 감자 샐러드 , 과일 샐러드의 재료 |
전, 튀김 | 야콘 전 , 튀김 , 맛탕 |
김치, 장아찌 | 야콘 김치, 깍두기, 장아찌 |
기타 | 주스 , 야콘 머핀 |
출처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식품정보누리) -대한민국 식재총람 |
---|
이런 효능이
ㆍ야콘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숙변 제거와 장 기능 향상에 효능이 있으며,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 도움이 됨
ㆍ야콘에 풍부하게 함유된 칼륨 성분은 혈관에 있는 나트륨과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 고혈압, 동맥경화 등 각종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능이 있음
ㆍ야콘에는 뼈 건강에 좋은 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성장기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골격 형성에 도움이 되며, 골다공증 예방에도 효과적임
ㆍ야콘은 폴리페놀과 프락토올리고당 성분이 풍부해 당뇨병 예방에 효과적이며, 식사 후 급격하게 오르는 당 수치를 조절하고 억제하는데 도움이 됨
ㆍ야콘은 뇌 기능을 향상시키고, 에너지대사를 높여서 불안감 등 심신의 안정에 도움을 주어 불면증을 개선하는데 효능이 있음
ㆍ야콘에는 빈혈에 좋은 철분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빈혈 예방 및 완화에 도움이 되며, 차로 만들어 꾸준히 섭취하면 효과가 있음
이런 영양이(100g당 / 야콘, 뿌리, 생것)
미디어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