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w.jpg
식량작물 우엉

김밥 속에 빠지지 않고 들어가는 재료인 우엉은 고소한 맛에 쫄깃한 식감을 가지고 있으며,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혈당 조절 및 콜레스테롤 배출 효과가 뛰어난 식재료이다.

구분 내용

외국어 표기

burdock root(영어)

분류

채소 > 근채류

주요 생산지

- 경북 안동

- 경남 진주

특징

우엉 뿌리는 가늘고 긴 모양으로 길이가 30~60cm에 이르고, 껍질은 얇은 것이 특징이다.

효능

우엉의 이눌린은 혈당 조절력이 뛰어나 당뇨병에 효과가 좋고, 리그닌 성분은 항암작용, 정장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열량

100g당 69kcal

음식궁합

우엉은 돼지고기와 궁합이 좋은데, 알칼리성의 우엉은 산성식품인 돼지고기를 중화시키며 우엉 특유의 향으로 누린내를 제거할 수도 있다.

활용

볶음, 조림, 튀김, 샐러드 등 다양한 조리방법의 요리로 활용하며, 말려서 차로 마실 수 있다.

고르는 법

우엉 뿌리를 만졌을 때 촉촉한 수분감이 드는 것이 바람이 들지 않은 좋은 우엉이다. 껍질의 두께는 얇을수록 좋다.
손질법 우엉을 깨끗이 정리하고 부드럽게 섭취해야 한다면 필러나 칼을 이용해 껍질을 완전히 벗겨준다. 껍질의 영양소를 섭취하려면 우엉의 껍질을 칼등이나 솔로 살짝 긁어내는 정도로만 손질하여 사용한다.

보관법

긴 우엉은 냉장고에 보관이 가능할 만큼의 길이로 자른 후 흙을 제거하지 않고 신문지나 랩으로 밀봉한 후 냉장고 신선실이나 김치냉장고에 보관한다.

우엉이란?

- 식이섬유가 풍부한 뿌리채소의 대표주자인 우엉은 현대인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당뇨병과 같은 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고, 노화 억제의 효능도 지니고 있다.

- 독특한 향과 아작아작 씹히는 맛이 색달라서 볶음, 조림, 튀김, 샐러드 등 다양한 조리방법의 요리로 활용할 수 있다.

- 우엉을 길게 썰어 김밥 속 재료로 사용하기도 하며, 전골이나 찌개에 넣어 먹으면 구수한 맛을 더할 수 있다.

- 풍부한 섬유소가 배변을 촉진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우엉차를 즐겨 찾는 사람도 많다.

- 우엉은 특히나 돼지고기와의 궁합이 좋은데, 알칼리성의 우엉은 산성식품인 돼지고기를 중화시키며 우엉 특유의 향으로 누린내를 제거할 수도 있다.

- 우엉의 껍질에는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심장병과 암을 예방하는 사포닌이 들어 있으므로 껍질을 버리지 말고 활용하면 좋다.

 

유사재료 구분 방법

구분 국산(우엉) 중국산(우엉) 국산(우엉채) 중국산(우엉채)
사진
특징 - 2차 근의 발생이 많음
- 표면에 흙이 많이 묻어 있음
- 껍질이 얇아 잘 마름
- 2차 근이 거의 없어 매끈함
- 표면에 흙이 묻어 있지 않음
- 껍질이 두꺼워 잘 마르지 않음

- 섬유질이 연하여 부드럽고 단맛이 약함
- 만져보면 부드러운 느낌을 줌
- 밝은 빛이며 껍질이 둥글게 말림

- 섬유질이 단단하며 딱딱하고 단맛이 강함
- 만져보면 거칠고 딱딱한 느낌을 줌
- 어두운 빛이며 일자형에 가까움

 

품목별 도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품목별 소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일일동향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유통단계별 거래형태

도매시장

- 도매시장에서는 4kg(10~12뿌리) 비닐포장으로 거래됨

 

전통(소매)시장

- 생것은 주로 1kg 단위로 거래되며, 말린 것은 600g 등 비닐포장 형태로 판매됨

 

대형유통업체

-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게 220g, 300g, 400g 등 비닐 및 플라스틱용기에 소포장 형태로 판매됨

주요 반입되는 지역

주요 출하지역(‘18년 기준)

- 주 출하도는 ① 경기도 ② 경상북도 순

- 시 군은 ① 경기 구리시 ② 경기 상주시 ③ 경기 여주시 순

- 총 반입량 중 2개 도에서 70.3%, 3개 시군에서 70.3%가 출하

 

순위 도별 시군별
지역 비율 지역 비율
1 경기도 60.9% 경기 구리시 53.3%
2 경상북도 9.4% 경북 상주시 9.4%
3 - - 경기 여주시 7.6%

 

지역별 출하비율 및 반입량(‘18년 기준)

 

월별 주요 출하지역(‘18년 기준)

월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출하지

(물량순)

-

여주시

상주시

상주시

여주시

-

구리시

-

구리시

-

- - - - - -

 


품목별 유통실태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우엉 고르는 tip

- 껍질에 상처가 없고, 잔뿌리가 많지 않은 것

- 바람이 들지 않고, 너무 건조하지 않은 것

- 전체적으로 굵기의 차이가 없이 고르게 뻗어 있는 것

- 너무 굵거나 가는 것보다는 지름이 2㎝ 정도인 것 (100원짜리 동전 굵기가 적당하며, 너무 굵으면 안에 바람이 들어 구멍이 생길 수 있음)

- 양 끝을 잡고 구부렸을 때 부드럽게 휘어질수록 신선도가 높은 것

- 껍질을 손으로 만졌을 때 흙이 묻어나는 것 (국산과 달리 중국산은 흙이 묻어있지 않으며, 거칠고 딱딱하며, 비교적 단맛이 강함)

 

손질은 이렇게

- 흐르는 물에 묻어있는 흙을 깨끗이 씻은 후, 필러로 간편하게 껍질을 벗기거나, 칼등으로 긁어냄

- 물에 씻으면 가능한 빨리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공기와 접촉하면 쉽게 갈변되므로 식초물에 담가 사용하면 변색을 막을 수 있고 떫은맛도 제거됨

- 쌀뜨물에 담가 놓으면 특유의 아린 맛도 제거되고, 영양소 손실도 막을 수 있음

- 우엉 뿌리에는 섬유질이 있어 연필을 깎듯이 썰거나, 어슷하게 썰어야 연하게 먹을 수 있음

- 용도에 따른 썰기 방법

- 어슷 썰기(국, 조림, 차), 채 썰기(조림, 볶음, 샐러드), 연필 깎듯이 썰기(조림, 전골, 밥) 등

 

보관은 이렇게

- 우엉 특유의 풍미나 맛은 껍질에 있기 때문에 흙이 묻은 상태로 껍질째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음

- 건조해지면 질겨지고 맛도 떨어지므로 보관 시 수분이 날아가지 않게 신문지나 랩에 싸서 냉장 보관함

- 장기간 보관할 경우 채를 썰거나 편으로 잘라 식초를 넣은 물에 삶은 후, 식혀 소분하여 밀폐용기에 담아 냉동 보관함

 

활용은 이렇게

용도

활용메뉴

밥, 죽, 만두

우엉밥 , 우엉죽 , 만두

국, 탕, 찌개

배추 우엉국, 들깨 우엉탕, 우엉 소고기찌개

생채, 냉채, 샐러드

우엉생채, 우엉 된장무침, 민들레 우엉냉채, 들깨소스 우엉샐러드

볶음

돼지고기 우엉볶음, 우엉 풋마늘 호두볶음, 우엉잡채

구이, 전, 튀김

우엉 된장구이, 우엉전, 우엉 찹쌀튀김

조림, 찜

우엉조림, 된장소스 우엉찜, 우엉 두부찜

김치, 장아찌

우엉김치, 우엉장아찌

기타

우엉 칩, 우엉 차, 우엉 떡(하나비라모치)


이런 효능이

다이어트

- 우엉에는 칼륨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이뇨작용으로 체내의 불필요한 노폐물과 수분을 배출시켜 몸의 부기를 빼주는 효능이 있으며,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 도움이 됨

혈관 건강

- 우엉의 껍질에 함유된 사포닌 성분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며, 아르기닌 성분은 동맥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어 동맥경화, 고혈압 등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임

빈혈 및 골다공증 예방

- 우엉에는 다량의 철분이 들어 있어 차로 꾸준히 마시면 빈혈 완화에 도움이 되며, 껍질에 풍부한 칼슘이 뼈와 치아를 튼튼하게 해주어 골다공증 예방에도 효과가 있음

피부 미용

- 우엉의 사포닌, 탄닌 성분이 피부 면역력을 높여주고, 피지의 과잉 분비를 억제해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으며, 체내의 염증을 제거하여 여드름, 습진,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 개선에도 도움이 됨

당뇨 예방

- 우엉 속에 함유된 수용성 식이섬유는 섭취한 음식물의 주변을 젤 형태로 감싸 음식물이 천천히 흡수되도록 도와 혈당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줌

장 건강

- 식이섬유가 풍부해 변비 예방에 좋으며, 우엉의 끈적거리는 리그닌 성분이 장내 발암물질을 흡착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대장암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됨

 

이런 영양이 (100g 기준)


미디어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



동영상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