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별 | |
---|---|
기간별 | |
부류별 | |
시장별 | |
친환경농산물 |
▣ 은행 | |
---|---|
분류 및 명칭 |
- 학명 : 은행나무의 열매 - 은행나무과 은행나무속 |
원산지 및 내력 |
- 황색 열매의 모양이 살구와 비슷하여 “은행(銀杏, 은빛 살구)”이라고 함 - 30년은 지나야 열매를 맺기 시작하여 ‘공손수(公孫樹)’로 불리기도 함 - 열매는 ‘백과(白果)’, ‘압각자(鴨脚子)’ 등으로 부르며 목재는 ‘행자목(杏子木)’이라함 -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중생대 쥐라기 이후부터 현재까지 생존하여 온 가장 오래된 식물의 하나임 - 동아시아 원산의 나무로 자웅이주며, 병충해에도 강해 도시의 공해를 정화해주어 가로수로 많이 심음 - 은행나무는 우리나라·일본·중국에 분포되어 있고, 화석으로는 북미대륙·그린란드·시베리아·영국·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도 발견됨 |
특징 |
- 4월에 꽃이 피고 암꽃은 2개의 배주가 있으나 이 중 1개가 종자가 되어 10월에 누렇게 익음 - 수꽃은 꽃잎이 없고 2~6개의 수술은 황록색이며 멀리까지 꽃가루가 퍼짐 - 잎은 큰 가지에서 어긋나게 달리며, 작은 가지에서는 모여 나고, 부채꼴 모양으로 잎맥은 연속해서 두 개로 갈라짐 - 열매의 가장 겉은 물렁물렁하고, 냄새가 나는 외종피, 그 안에 희고 단단한 중종피, 중종피를 벗겨내면 얇은 갈색의 내종피, 그 안에는 먹는 연한 조직인 배젖으로 구조를 이루고 있음 - 씨앗은 열매처럼 보이며 9~10월에 황색으로 익음 -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고 종자로 묘목을 양성하기가 쉽고, 묘목은 옮겨 심어도 잘 살며, 어릴 때의 자람이 빠른 편임 - 은행에는 독성물질 또한 포함되어 있어 많이 먹으면 복통, 구토, 설사,발열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어린이의 경우 장기간 또는 과다섭취 시 심각한 중독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
※ 출처 : 한국민속대백과사전/한국식물학회 안진흥/몸에 좋은 산야초 |
▣ 은행 생김새
사진 | ![]() ![]() |
설명 |
ㆍ길이 5~10cm의 잎은 오래된 가지에서는 홀로 나고 짧은 가지에서는 여러 개가 무더기로 남 ㆍ잎몸은 부채모양이며, 가운데가 갈라지는 것이 많고, 수분기는 5월이며, 암그루에는 2개의 배주가 2cm의 자로 나란히 붙고, 수그루에는 길이 3~4cm 정도의 자루에 포자수가 달림 ㆍ은행알은 10월에 황색으로 익는데 악취가 남 ㆍ수나무의 짧은 가지에는 1~5개 포자수가 길이 3~4cm 정도의 자루에 달림 |
▣ 은행 열매 구조
구분 | 외종피 | 중종피 | 내종피 |
사진 | ![]() |
![]() |
![]() |
특징 |
열매의 가장 겉표면은 |
외종피 안에는 희고 단단한 중종피가 있음 |
단단한 중종피를 벗겨내면 아주 얇은 갈색의 내종피가 있음 |
구분 | 배젖 | 씨눈 | - |
사진 | ![]() |
![]() |
- |
특징 |
내종피 안에는 우리가 |
배젖 안에 ‘V’자 모양의 씨눈이 들어 있음 |
- |
출처 | 농식품 올바로, 농식품 정보누리 |
---|
▣ 전통(소매)시장
- 300g, 1kg, 2kg, 3kg 단위로 주거래됨
- 한 봉지로 포장되어 있거나, 소비자가 원하는 만큼 무게를 측정해 판매
▣ 주요 출하지역 ('21년 기준)
ㆍ주 출하도는 ① 충청남도 ② 경기도 ③ 경상남도 순
ㆍ시, 군은 ① 충남 서천군 ② 충남 홍성군 ③ 경기 가평군 순
ㆍ총반입량 중 3개 도에서 100%, 3개 시군에서 70.99%가 출하
순위 | 도별 | 비율 |
1 | 충청남도 | 71.8% |
2 | 경기도 | 24.3% |
3 | 경상남도 | 3.9% |
▣ 반입량 및 거래금액
'은행' 전국 월별 반입량 및 거래금액 추이 ('21년 기준)
![]() |
![]() |
출처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
---|
▣싱싱농산물 checkpoint
고르는법 |
ㆍ은행의 씨앗을 둘러싸고 있는 부드러운 과육은 냄새가 고약하고 끈적거리는데, 시중에는 이것을 제거하고 판매가 이루어 짐 ㆍ알이 고르며 깨끗하고 특유의 향이 나는 것 ㆍ오래된 것은 곰팡이가 나기도 하고, 색이 누렇게 되므로 피하도록 함 |
손질 및 보관 |
ㆍ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실온에서 보관 (껍질을 깐 은행은 냉장 보관) ㆍ시중에서 까서 파는 은행을 구입해 냉동실에 보관해두고 필요할 때 사용하는 것이 좋음 ㆍ은행 보관시에는 수분을 없앤 후 냉동실에 두면 되는데, 냉장 보관시 종종 곰팡이가 피는 경우가 있어 주의해야함 |
섭취방법 | ㆍ은행은 꼭 익혀서 먹어야 하며, 성인은 하루 10알, 어린이는 하루 2~3알이 적정 섭취량 |
▣조리법 및 레시피
- 섭취 및 조리 방법
• 은행은 겉껍질을 벗겨 볶아먹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식용방법임
• 은행을 호두와 밤, 생강, 대추와 함께 달인 ‘오과차’는 감기나 천식에 효과적임
• 은행을 끓는 물에 살짝 데쳐 껍질을 벗기고 쌀에 넣어 밥을 지으면 맛과 영양이 좋음
• 잣과 시금치를 함께 갈아서 죽을 하거나, 은행을 넣은 계란찜도 좋음
• 탕이나 조림요리에도 좋음
• 볶거나 삶아서 꼬치에 꽂으면 간편하고 맛있게 먹을 수 있음
- 레시피
▶은행장조림
▶재료 • 은행 500g (3컵), 식용유 1/2큰술, 간장 1 1/2컵, 물역 1/3컵, 설탕 1/3컵, 청주 3큰술, 물100mL, 참기름 약간
▶조리방법 ①은행은 물에 살짝 씻은 후 볶아서 껍질을 벗긴 후 행주로 기름기를 깨끗이 닦아냄
②간장, 물역, 설탕, 물, 청주를 넣고 끓인 후 반 정도 조려지면 은행을 넣음
③ ②의 불을 줄여 은근히 조린 후 은행이 익어 윤기가 나면 불을 끔
④ 먹기 직전에 참기름을 살짝 뿌려 줌 |
출처 | 농식품 올바로, 농식품 정보누리 |
---|
▣ 이런 효능이
▣ 혈액순환
ㆍ은행에는 플라노이드 성분이 있어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혈관을 보호하며 모세혈관벽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에 도움을 줌
▣ 피부미용
ㆍ은행은 피부 속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만들어줘 피부를 맑고 깨끗한 피부로 돌려줌
▣ 노화예방
ㆍ은행에 포함된 베타카로틴 성분은 항산화 작용을 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함
ㆍ테르페노이드라는 성분이 피부에 보습 작용을 하고 주름이 생기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피부 노화 예방에 도움을 줌
▣ 호흡기 질환 예방
ㆍ은행에 풍부하게 함유된 비타민C 성분과 레시틴은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고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각종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됨
▣ 이런 영양이
영양성분 (100g / 은행 생것)
출처 |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 |
---|
데이터가 없습니다.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