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이미지.png
과일류
시원 달콤한 맛이 일품인 배는 3000년전 재배되기 시작했고, 배의 맛에 반한 그리스의 역사가 호머는 '신의 선물'이라고 극찬했다.
 ▣ 배
명칭

 - 학명 ‘Pyrus pyrifolia Nakai’

 - 영명 ‘Pear’

 -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

분류  - 장미과
기원

 - 원산지는 중국 서부와 남서부로 알려져 있음

 - 현재는 동양배로 중국, 한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중국배(북방형 동양배)와 한국배(일본배, 남방형 동양배)가 정착되었음

 - 우즈베키스탄, 인도, 파키스탄 지역을 포함하는 중앙아시아에서는 서양배와의 교잡종이, 코카서스 산맥과 소아시아 지역은     서양배가 발달하여 분포되었음

 - 우리나라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배(야생종)가 재배되고 있었음

재배 역사

 -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배나무(야생종)를 재배한 기록이 있음

 - 고려 명종 18년에는 배나무를 심어 소득을 높이도록 나라에서 권장함

 - 이조 성종 때에는 주요 과수로 재배되었으며, 품질이 좋은 상품은 골라 진상품으로 나라에 바쳤음

 - 1960년대 원예시험장에서 육성한 단배 품종이 우리나라 배 품종육성의 효시임

세계 주요

생산 동향

 - 세계 배 생산량 2,373만 톤 중 아시아 76.4%, 유럽 12.8%, 아메리카 7.1%, 아프리카 3.1%

 - 주요 생산국으로 중국이 세계 생산량의 67.7%를 차지하고 그 뒤로 미국 3.1%, 이탈리아 3.0%, 아르헨티나 2.4% 순이며

  한국과 일본은 각각 1%, 1.1%를 차지하고 있음

 - 세계 배 생산량은 2006년 1,994만 톤에서 2016년 2,734만 톤까지 증가하다 2018년 2,373만 톤으로 2016년 대비

   13.2% 감소함

종류

 - 조생종 : 신천, 조생황금, 선황, 원황, 신일, 한아름, 금촌조생, 진황, 녹수, 미니배, 감로

 - 중생종 : 황금배, 수황배, 화산, 만풍배, 영산배, 수정배, 감천배, 단배

 - 만생종 : 미황, 추황배, 만수, 만황

※ 출처 : 농촌진흥청 농업기술길라잡이/FAO통계/농식품정보누리/나주시/충청북도농업기술원

 

 

 

 

▣ 국내육성 주요품종 : 조생종

 

 

품종명 사진 주요특성
신천

ㆍ숙기는 8월 상·중순, 과중은 360g, 당도는 13.2브릭스

ㆍ착색이 비교적 잘되어 외관이 수려함

ㆍ과즙이 많고 신맛이 적절하며 식미가 우수함

조생황금

ㆍ숙기는 8월말, 과중은 410g, 당도는 12.8브릭스

ㆍ과피색은 황금색으로 외관이 수려함

ㆍ저장력은 조생종으로는 강한 편으로 약 30일 정도임

선황 ㆍ숙기는 9월 상순, 과중은 390g, 당도는 13.2브릭스
ㆍ신맛은 적으며 육질이 단단하고 치밀하며 과즙이 많음
ㆍ외관이 신고와 유사하며 숙기가 빨라 조생 신고로서
출하할 수 있음
원황

ㆍ숙기는 9월 상순, 과중은 560g이상, 당도는 13.4브릭스

ㆍ과피색은 선명한 황갈색으로 외관이 수려함

ㆍ식미가 우수하며 추석 선물용으로 소비수요가 있음

신일

ㆍ숙기는 9월 상순, 과중은 370g, 당도는 13.8브릭스

ㆍ장십랑 대체 품종의 하나로 단맛이 더 높고 과즙이 많음

ㆍ경기북부 및 강원내륙지방에서 재배가 유리함

한아름

ㆍ숙기는 8월 하순, 과중은 482g, 당도는 13.8브릭스

ㆍ육질은 약간 단단하고 치밀하며 아삭아삭하고 과즙이 많음

ㆍ신맛이 적어 식미가 우수하며 상온 저장력은 10일 정도임

 

 

 

 

 

 

 

 

▣ 국내육성 주요품종 : 조생종

 

 

 

품종명  사진 주요특성
 황금   

ㆍ숙기는 9월 중순~9월 하순, 과중은 430g, 당도는 14.9브릭스

ㆍ골든 사과처럼 과피가 황금색이고 과육은 투명함

ㆍ과즙이 많으며 저장력은 비교적 강한 편임

수황

ㆍ숙기는 9월 중·하순, 과중은 485g, 당도는 12브릭스

ㆍ과피는 담황갈색이며 장십랑보다 부드럽고 연하며 맛이 좋음

ㆍ과즙이 많으며 저장력은 50일 정도임

화산

ㆍ숙기는 10월 상순, 과중은 500~600g, 당도는 12.9브릭스

ㆍ신맛은 거의 없고 과즙이 많으며 식미가 우수함

ㆍ신고에서 발생하는 과피흑변이 없으며 저장력은 다소 약한 편임

만풍

ㆍ숙기는 9월 하순, 과중은 700g, 당도는 13브릭스

ㆍ식미가 우수한 최고급 품종으로 전국 재배가 가능함

ㆍ신고보다 1주일 정도 빨라 추석 출하용으로 가능함

영산

ㆍ숙기는 9월 하순, 과중은 540g, 당도는 13.2브릭스

ㆍ과피는 담황갈색이며 과즙은 적은 편임

ㆍ당도는 신고보다 높으며 상온 저장력은 60일 정도임  

감천

ㆍ숙기는 10월 상·중순, 과중은 600g, 당도는 13.3브릭스

ㆍ과피는 담황갈색으로 수확시에 녹색이 남아 있으나 저장고 입고 후 15일 정도면                완전히 소멸됨

 

 

 

 

 

 

 

 

 

▣ 국내육성 주요품종 : 만생종

 

 

 

품종명 사진 주요특성
미황

ㆍ숙기는 10월 하순, 과중은 500g, 당도는 12.7브릭스

ㆍ과피색은 밝은 황갈색으로 외관이 수려함

ㆍ식미가 우수하며 저장력은 신고보다 강함

추황

ㆍ숙기는 10월 중·하순, 과중은 400~500g, 당도는 14.1브릭스

ㆍ과피에 과분이 많아 촉감이 다소 거칠게 느껴짐

ㆍ과즙이 많고 당도가 매우 높으며 식미가 우수함

만수

ㆍ숙기는 10월 하순, 과중은 700g, 당도는 12.4브릭스

ㆍ식미는 수확 당시보다는 저장 1개월부터 고유 특성을 발휘하여 맛이 더욱 좋아짐

만황

ㆍ숙기는 10월 하순, 과중은 563g, 당도는 14브릭스

ㆍ단맛과 신맛이 잘 조화되며 식미가 매우 우수함

ㆍ저온 저장시 익년 7월까지 장기 저장이 가능함

 

 

 

 

 

 

▣ 일본 도입 품종

 

 

 

조생종 ㆍ장수, 신수, 희수, 애감수, 축수, 행수
중생종 ㆍ장십랑, 풍수, 남수, 신고
만생종 ㆍ금촌추, 만삼길

 

 

 

 

 

 

▣ 주요 재배품종

 

 

 

신고 특징 원황 특징

ㆍ단단함

ㆍ당도가 높고 맛이 좋음

ㆍ저장성이 강함

ㆍ국내에서 가장 많이 재배됨

ㆍ당도는 11브릭스

ㆍ조생종으로 빨리 물러짐

ㆍ신고보다 연한 노란색을 띰

ㆍ저장성이 약함

ㆍ추석 명절 전에 출하됨

ㆍ당도는 13.4브릭스

 

 

 

 

 

 


 

 

 

 


출처
※ 출처 : 농촌진흥청/충청북도농업기술원/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품목별 도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품목별 소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일일동향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유통단계별 거래형태


 

 

 

▣ 도매시장

 

 


 

 

 

 

 

 

▣ 전통(소매)시장

 

 

 

 

 

 

 

 


▣ 대형유통업체

 

 

 

 

 

 

 

 

주요 반입되는 지역


 

 

▣ 주요 출하지역 (‘21년 가락시장 기준)

 

 

ㆍ주 출하도는 ① 경기도 ② 충청남도 ③ 전라남도 순

ㆍ시 군은 ① 경기 안성시 ② 전남 나주시 ③ 충남 천안시 순

ㆍ총 반입량 중 3개 도에서 80.9%, 3개 시군에서 43.3%가 출하
 

 

 

 

 

 

 

 

 

 

▣ 지역별 출하 비율 및 출하 지역 분포('21년 기준)

 

 

 

 

 

 

 

 

 

▣ 월별 주요 출하지역 (‘21년 기준)

 

 

월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시군별

경기

안성시

경기

안성시

경기

안성시

경기

안성시

경기

안성시

경기

안성시

경기

안성시

경북

상주시

전남

나주시

전남

나주시

충남

연기군

경기

여주시

구성비

(%)

27.4 27.7 24.4 24.4 32.6 36.5 37.7 39.1 38.0 28.5 13.2 20.8

 


품목별 유통실태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

 

 

 



▣ 고르는 Tip

 

 

색깔 ㆍ밝고 선명한 황갈색을 띠는 것
모양 ㆍ탱글탱글 윤기가 나면서 동그란 것
크기 ㆍ보통 성인 남성 주먹을 맞댄 크기로 650~700g 정도인 것
향기 ㆍ단맛과 싱그러운 맛을 겸한 향긋한 냄새가 나는 것
껍질의 두께 ㆍ껍질의 두께가 얇고 육질이 단단한 것

 

 

 



▣보관은 이렇게

 

 

• 신문지에 한 개씩 낱개 포장해서 비닐에 넣어 보관하면 수분이 증발하지 않고 습도가 조절되어

  신선함이 오랫동안 유지됨
 

• 상온에 보관하면 노화 속도가 빨라져 영양이 빠져나가고 맛도 떨어지므로 냉장 보관 하는 것이 좋음
 

• 수분이 80% 이상인 과실류를 건조한 환경에 두면 과육이 말라 품질이 떨어지므로 습도가 유지되는 공간이나

 산소가 투과되는 비닐 포장이나 신문에 싸서 보관해야함
 

• 껍질을 깎은 후 색이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막으려면 소금물에 담가 효소의 작용을 막아주어야 함
 

• 배를 사과와 함께 보관하면 사과에서 에틸렌가스가 배출되어 배가 쉽게 물러지므로 따로 보관해야 함
 

 

 

 

 

▣활용은 이렇게

 

 

 

< 남은 과일로 만드는 홈메이드 칵테일 ‘배 벨리니 칵테일’ >

 

 

(준비재료)
배 3개, 꿀 60 ㎖, 물 240㎖,
석류알 약간, 스파클링 와인 또는 탄산수

 

1. 껍질과 씨를 제거한 배를 큰 덩어리로 썰어

   꿀, 물과 함께 냄비에 넣어줌
 

2. 배가 물렁해질 때까지 약 10분에서 12분 정도 끓여줌
 

3. 2의 내용물을 식힌 후 블렌더 컨테이너에 넣어줌
 

4. 컨테이너의 뚜껑을 잘 덮고 전원 버튼을 올려준 후,     약 40초 간 블렌딩함
 

5. 4의 내용물 60㎖를 컵에 옮겨 담은 후,

   스파클링 와인을 180㎖ 부어줌
*무알코올로 즐기고 싶다면, 와인 대신 탄산수를 넣음

 

6. 석류알을 넣어 마무리 함

 

 

 

배 먹는 꿀팁

 

 

• 냉장고에 얼지 않을 정도로 보관해두었다가 꺼내서 차갑게 먹으면 더욱 시원하면서도 단맛이 남
 

• 육류와 궁합이 잘 맞아 고기를 재우거나 고기 요리로 식사 후 디저트로 먹어도 소화 흡수가 잘 됨
 

• 배의 껍질에는 항암효과가 있는 플라보노이드과 과육보다 7~8배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익히거나 쪄서 먹을 때는

  껍질째 조리하는 것이 좋음
 

 

 

 


출처
농식정보누리 건강레시피/리얼푸드/농사로

 

 

 

▣ 이런 효능이

 

 

기관지 질환 예방


ㆍ항산화 물질인 루테올린 성분이 풍부해 기침, 기관지염,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을 예방함
 

 

 

소화 촉진
 

ㆍ단백질 소화효소도 풍부하기 때문에 기름진 음식이나 고기를 섭취한 후 후식으로 먹으면

   소화에 도움이 됨
 

 

항암 효과
 

ㆍ식이섬유가 풍부한 배는 암을 유발하는 발암물질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 암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

 

 

혈관계 질환 예방
 

ㆍ펙틴과 칼륨 성분이 풍부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체내 나트륨을 배출시켜

   고혈압, 동맥경화 등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임
 

 

숙취 해소
 

ㆍ아스파라긴산이 풍부해 체내의 알코올 성분의 분해를 도와 숙취 해소에 도움이 되며,

   수분 함량도 많아 숙취로 인한 갈증 해소에도 효과적임

 

 

 

 

▣ 이런 영양이

 

 

 

 

 


출처
농촌진흥청 농식품정보종합시스템

미디어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



동영상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