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어 이미지.png
수산물 고등어

삼치, 참치 등과 같은 과에 속하는 대표적인 등푸른 생선 중 하나이다. 회로 먹을 경우 참치와 맛도 비슷하다. 한국인의 밥상에 조림, 구이나 찌개로 올라가는 국민생선이다.

구분 내용
분류(품종,구분) - 농어목 고등어과 등푸른 생선
- 10~22℃ 정도 따뜻한 바다를 좋아하는 회유성 어종
- 우리나라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어종은 태평양고등어와 망치고등어
학명 Scomber japonicus 
특징

- 겨울 월동을 위해 제주도 해안으로 남하했다가 봄에 북상하는 계절 회유를 반복

- 산란은 5~7월 제주도 등 남부 해역에서 이뤄지며 이 때 지방 함량이 가장 적어짐

- 연안에 크게 무리를 지어 서식하며 동물성 플랑크톤 및 작은 어류 등을 먹음

- 혈합육과 지방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선도의 저하가 빠름

분포 및 서식

-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의 온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

- 부어성 어종으로 표층으로부터 300m 이내의 중층에서 서식

- 계절회유를 하며, 북반구에 서식하는 종은 수온이 상승하는 여름철에 북쪽으로 이동을 하고 겨울철에는 남쪽으로 이동하여 산란

생김새

- 길이는 약 40cm 정도이며, 방추형으로 약간 측편(側偏) 되어 있음      

- 횡단면은 타원형을 이루며, 제2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뒤쪽에 몇 개의 토막지느러미가 있음

※ 출처 : 국립수산과학원, 대형선망수협, 쿡쿡TV, 해양수산부

고등어의 종류

구분 사진 내용

태평양고등어

(참고등어)

- 주요 서식지 : 우리나라, 중국, 일본 해안

- 등/배무늬 : 청색 선, 점/은백색

- 몸길이 : 30~40cm

- 주어획기 : 11~2월(9~2월 남하)

망치고등어
(점박이고등어)

- 주요 서식지 : 남해안, 중국 동쪽 해안, 일본 남부 해안

- 등/배무늬 : 청색 선, 점/깨알같은 검은 반점

- 몸길이 : 30~55cm

- 주어획기 : 7~10월(6~10월 북상)

대서양고등어

- 주요 서식지 : 노르웨이 등 유럽 및 북아메리카

- 등/배무늬 : 청흙색 선/은백색

- 몸길이 : 40~50cm

- 부레가 없으며 몸체가 날렵하고 길쭉함

 

국내산 / 수입산 고등어 비교


국내산 고등어 어획량


품목별 도매가격

이용안내

도매시장 중도매인 상회에서 소상인 및 실수요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018.1.8일 부터 깐마늘(국산)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깐마늘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2020.6.23일 부터 난지형 피마늘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난지형 피마늘 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수산물 / 고등어 / 생선,   등급 : 중품,   단위 : 10k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62,150 72,445 66,794 54,458
2월 66,331 71,376 68,786 54,338
3월 59,033 65,536 64,262 56,083
4월 55,542 39,073 69,970 58,212
5월 65,150 46,025 67,992 57,810
6월 37,710 41,099 60,906 58,509
7월 42,158 39,248 63,139 53,604
8월 - 43,026 60,547 52,218
9월 - 44,966 60,587 56,567
10월 - 51,531 58,215 56,998
11월 - 60,378 62,492 65,137
12월 - 62,330 72,095 60,904
연평균 55,475 53,736 64,697 57,124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수산물 / 고등어 / 냉동,   등급 : 중품,   단위 : 10k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53,977 55,637 54,968 45,190
2월 56,798 55,651 54,614 45,523
3월 54,301 56,137 51,475 48,114
4월 48,433 55,141 54,689 52,434
5월 49,348 56,888 56,425 54,176
6월 46,099 56,047 56,969 54,986
7월 44,728 53,614 56,010 54,649
8월 - 53,491 56,394 54,309
9월 - 53,691 55,342 54,113
10월 - 53,376 52,925 53,541
11월 - 53,907 51,924 54,205
12월 - 55,625 54,926 55,033
연평균 50,985 54,917 54,707 52,286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수산물 / 고등어 / 냉동(수입),   등급 : 중품,   단위 : 20k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84,467 78,383 74,532 69,064
2월 91,431 77,966 73,626 68,980
3월 97,318 77,853 71,800 68,980
4월 102,362 77,933 72,910 69,513
5월 103,119 78,571 72,116 70,380
6월 104,605 78,520 76,045 72,882
7월 104,875 73,899 76,734 71,310
8월 - 71,942 77,492 70,267
9월 - 72,050 77,576 73,520
10월 - 80,901 77,900 73,241
11월 - 85,800 78,245 74,362
12월 - 85,350 78,296 74,637
연평균 97,937 78,266 75,598 71,446

품목별 소매가격

이용안내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경동, 영등포, 부전, 동구, 현대, 양동, 역전, 지동, 중앙, 육거리, 남부, 상남, 신정, 동문시장은 전통시장임.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2.4.4부터 축산물 소매가격은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소매가격 - 기간별) 수산물 / 고등어 / 생선,   등급 : 중품,   단위 : 1마리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2
1월 3,494
2월 3,739
3월 3,858
4월 -
5월 5,205
6월 4,778
7월 3,805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4,141
(소매가격 - 기간별) 수산물 / 고등어 / 냉동,   등급 : 중품,   단위 : 1마리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2
1월 2,979
2월 2,794
3월 3,220
4월 3,381
5월 3,382
6월 3,446
7월 3,507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3,357
(소매가격 - 기간별) 수산물 / 고등어 / 냉동(수입),   등급 : 중품,   단위 : 1손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6,107 4,518 4,494 3,743
2월 6,359 4,579 4,039 3,711
3월 6,419 4,397 4,044 3,593
4월 6,244 4,377 4,091 3,406
5월 6,389 4,461 4,073 3,667
6월 6,761 4,614 4,391 3,664
7월 6,705 4,783 4,563 3,716
8월 - 4,820 4,519 4,214
9월 - 5,033 4,877 4,130
10월 - 5,103 4,769 4,055
11월 - 5,582 4,446 3,999
12월 - 6,071 4,446 4,333
연평균 6,402 4,859 4,393 3,855
(소매가격 - 기간별) 수산물   단위 : 1마리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없습니다.
(소매가격 - 기간별) 수산물   단위 : 1마리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4,580 4,137 4,933 -
2월 5,014 3,993 5,079 -
3월 4,646 3,917 5,517 -
4월 4,731 3,641 5,218 -
5월 5,772 4,441 4,999 -
6월 4,731 3,724 4,926 -
7월 4,609 3,624 4,556 4,089
8월 - 3,862 4,303 4,176
9월 - 3,867 3,976 4,099
10월 - 4,012 4,023 4,249
11월 - 4,294 3,985 4,635
12월 - 4,703 4,167 4,680
연평균 4,815 4,012 4,611 4,371
(소매가격 - 기간별) 수산물   단위 : 1마리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4,053 4,443 4,520 -
2월 4,150 4,442 4,184 -
3월 4,423 4,281 4,240 -
4월 4,291 3,929 4,468 -
5월 4,315 3,667 4,584 -
6월 4,426 4,128 4,542 -
7월 4,237 4,030 4,756 -
8월 - 3,919 4,465 3,941
9월 - 3,899 4,229 4,463
10월 - 4,164 4,254 4,066
11월 - 4,314 4,377 4,251
12월 - 4,252 4,299 4,259
연평균 4,285 4,122 4,427 4,157
(소매가격 - 기간별) 수산물   단위 : 1손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1월 8,446 6,608 -
2월 8,627 6,667 -
3월 8,430 6,698 -
4월 8,429 6,620 -
5월 8,149 6,539 -
6월 8,541 6,638 -
7월 8,614 6,911 -
8월 - 6,942 6,904
9월 - 7,276 6,653
10월 - 7,323 6,341
11월 - 7,578 6,511
12월 - 8,048 6,803
연평균 8,451 6,984 6,595

일일동향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냉동, 2025-07-10,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제주해역, 남해동부해역에서 주로 어획됨
    ● 월명기로 생선 어획량이 없어 냉동품 위주로 거래되나 폭염으로 거래가 부진하여 보합세  
    ● 도매가격은 냉동 중품 10kg당 37,900원선에 거래됨
    ● 향후에는 폭염에 따른 선호도 감소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7-09, 서울지역

작성자 : 배소은 조사원

    ● 주로 부산, 통영, 제주도 등지에서 어획됨
    ● 금주, 달이 가장 밝은 보름이 가까워지며 어획이 어려워지면서 금일 시장 내 가격 오름세 
    ● 도매가격 10kg 중품기준 전일대비 5~7천원 상승한 가격에 거래됨
    ● 향후 보름이 지나면 어획이 다시 늘어날 전망이나 금주는 공급이 적어 가격은 강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7-09, 광주지역

작성자 : 정승원 조사원

    ● 제주 해역, 남해, 여수, 부산 지역에서 주로 어획됨
    ● 고온으로 상품성 있는 물량이 부족하고, 금어기 종료 후에도 시장 반입량 크게 늘지 않아 가격 상승세 지속
    ● 도매가격은 생선 중품 10kg당 48,000원 대에 거래
    ● 월명기를 맞아 어획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계절적 영향과 경기 위축으로 고등어 수요는 감소세, 가격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7-09,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제주 해역, 남해동부 해역에서 주로 어획됨
    ● 금일부터 월명기가 시작되면서 시장내 생물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여 강보합세  
    ● 도매가격은 생선 중품 10kg당 40,6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는 월명기 영향으로 생물 보다는 냉동저장품 위주로 거래될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7-07,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제주 해역, 남해동부 해역에서 주로 어획됨
    ● 주말 대기물량 반입으로 시장내 반입량은 증가하나, 계속되는 폭염으로 생선류 소비 부진으로 약보합세  
    ● 도매가격은 생선 중품 10kg당 전주대비 500원 내린 39,6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는 월명기에 따른 어획량 감소로 강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7-04,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제주 해역, 남해동부 해역에서 주로 어획됨
    ● 최근 선망 어선들의 전갱이 어획량이 증가하며, 대체품으로 소비도 원활하여 생물 고등어는 약보합세  
    ● 도매가격은 생선 중품 10kg당 전일대비 400원 내린 40,1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소비량 감소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7-03, 광주지역

작성자 : 정승원 조사원

    ● 제주 해역, 남해, 여수, 부산 지역에서 주로 어획됨
    ● 금어기 종료되고 금주들어 물량 반입은 늘었으나 수요는 높지 않아 가격 소폭 내림세
    ● 도매시장 가격 기준 10kg 40,000원 선에 거래됨
    ● 계절적 영향 및 경기 부진으로 인한 고등어 수요 감소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7-02,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제주 해역, 남해동부 해역에서 주로 어획됨
    ● 무더위 영향으로 시장내 소비는 한산하나, 최근 산지해역 일기불순 등으로 어획량이 감소하여 강보합세  
    ● 도매가격은 생선 중품 10kg당 전일대비 300원 오른 40,2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는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소비 침체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6-26,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제주 해역, 남해동부 해역에서 주로 어획됨
    ● 시장내 고정 수요는 계속되나, 산지 해역 우천과 풍랑으로 조업이 부진하여 강보합세  
    ● 도매가격은 생선 중품 10kg당 전일대비 300원 오른 39,900원 선에 거래됨
    ● 당분간은 냉동저장품 보다는 생물 위주로 거래될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6-25,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제주 해역, 남해동부 해역에서 주로 어획됨
    ● 최근 계속되는 우천(장마)영향으로 시장내 선호도 감소와 거래 감소로 약보합세  
    ● 도매가격은 생선 중품 10kg당 전일대비 200원 내린 39,6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당분간은 장마에 따른 거래 부진으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6-24,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제주 해역, 남해동부 해역에서 주로 어획됨
    ● 산지 해역 기상악화에 따른 어획량 감소와 중,대형품의 어획부진으로 강보합세  
    ● 도매가격은 생선 중품 10kg당 전일대비 200원 오른 39,8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산지 해역 강우와 일기불순에 따른 어획량 감소로 강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6-23, 서울지역

작성자 : 배소은 조사원

    ● 주로 제주도에서 많이 어획되며, 통영, 여수 등지에서도 어획됨
    ● 주말 남부지방 집중호우로 어획 여건이 좋지않아 반입된 물량 질이 좋지 않음
    ● 도매가격 10kg 중품기준 전주 약 33,000원 선에 거래되었으며, 금일 규격인 작은 생물만 반입됨
    ● 향후 장마가 시작되어 어획 여건이 좋지 않을 전망으로 규격에 맞는 품질은 강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6-23,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제주해역, 남해동부해역에서 주로 어획됨
    ● 주초를 맞아 고정수급처의 주문량은 소폭 증가하나, 지난주말 산지해역 강풍과 강우로 어획량이 감소하여 강보합세  
    ● 도매가격은 생선 중품 10kg당 전주대비 2,300원 오른 39,600원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장마 등 산지해역 일기불순으로 강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6-17,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제주해역, 남해동부해역에서 주로 어획됨
    ● 금어기 종료후 시장내 주문량 증가로 전일대비 강보합세  
    ● 도매가격은 생선 중품 10kg당 38,5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어선들의 어획량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6-16, 서울지역

작성자 : 배소은 조사원

    ● 주로 제주, 통영, 목포 등지에서 어획됨
    ● 주말 기상상황이 좋지않아 시장 내 반입 물량이 적었던 편으로 가격 소폭 오름세
    ● 도매가격 10kg 중품기준 전주대비 올라 약 55,000원 선에 거래됨
    ● 남부 지방의 날씨가 좋지 않아, 기상이 호전되기 전까지는 강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6-16,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제주해역, 남해동부해역에서 주로 어획됨
    ● 2개월간의 금어기/휴어기가 종료되고 어선들의 출어가 시작되나, 산지해역 기상악화로 생선 반입량은 소량임  
    ● 도매가격은 생선 중품 10kg당 38,3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는 어선들의 어획작업 증가로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수입산(염장), 2025-07-11, 서울지역

작성자 : 배소은 조사원

    ● 주로 노르웨이에서 수입됨
    ● 국내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수입산 가격은 보합세를 유지
    ● 소매가격 한손 대자기준 약 8천원 선에 거래됨
    ● 염장은 생물대비 장기 저장이 가능하여 국내산 어한기에 따라 가격 소폭 변동 전망

(소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생선, 2025-07-03,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제주 해역, 남해동부 해역에서 주로 어획됨
    ● 금주 부산지역 폭염 영향으로 선도 저하와 소비 감소로 약보합세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생선 중품 마리당 2,82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생선 소비량 감소로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수산물/ 고등어/ 국산(신선 냉장), 2025-06-20, 광주지역

작성자 : 신지은 조사원

    ● 제주 해역, 남해, 여수, 부산 지역에서 주로 어획됨
    ● 금어기가 종료되었으나 아직 원활하게 물량이 반입되고 있지 않아 수요대비 공급이 감소하여 강보합세  
    ● 전통시장 1마리 상품(大) 기준 5,660원 선에 거래됨
    ● 향후, 장마, 폭우 등 조업의 어려움이 예상되어 보합권 내 등락 전망

유통단계별 거래형태

도매시장

 

전통(소매)시장

 

대형유통업체

주요 반입되는 지역

주요 출하지역

ㆍ주 출하도는 ① 부산광역시 ② 노르웨이 ③ 경상남도 순

ㆍ시 군은 ① 부산 부산진구 ② 노르웨이 ③ 경남 사천시 순

ㆍ총 반입량 중 3개 도에서 87.56%, 3개 시군에서 82.43%가 출하

 

 

지역별 출하비율 및 반입량

 

월별 반입량 ('21년 기준)


표준규격 출하율

부류별
표준규격포장 출하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전체 73.6 75.7 76.5 76.8 77.2 80.5 84.5 85.3 84.2 80.6
과일류 98.5 95.4 94.1 96.8 97.2 97.5 97.2 98.2 98.1 94.4
과채류 78.4 72.7 68.8 74.4 75.4 80.1 85.2 87.8 78.0 79.5
양념류 26.6 29.4 38.6 55.9 70.0 70.0 71.3 71.5 71.0 66.0
엽근채류 74.1 78.3 78.9 76.8 63.6 73.5 79.8 78.5 83.9 78.3
서 류 95.4 96.7 93.7 93.7 96.6 97.1 98.4 99.5 95.6 88.4
화훼류 82.9 85.0 88.2 84.9 87.5 88.2 91.2 92.3 92.9 96.4
품목별
표준규격포장 출하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사 과 99.0 99.0 94.5 95.5 97.2 98.8 97.0 96.4 97.0 82.6
97.8 98.5 98.7 95.6 89.1 92.7 96.2 99.7 99.3 99.0
단 감 98.2 98.7 99.5 99.6 99.9 100.0 99.5 99.6 97.7 98.9
감 귤 99.0 87.8 88.6 98.6 99.1 98.2 96.1 97.1 98.9 99.8
복숭아 99.3 100.0 100.0 98.6 99.6 100.0 98.2 99.2 96.9 98.3
자 두 92.0 91.7 93.7 100.0 97.0 99.8 100.0 100.0 99.7 99.7
포 도 97.9 98.5 95.7 94.5 98.9 97.7 99.2 99.6 98.5 97.3
참다래 94.9 97.2 80.7 78.8 93.7 92.1 100.0 100.0 100.0 96.4
풋고추 98.7 99.6 100.0 98.2 99.2 96.8 98.2 99.4 99.8 99.9
오 이 91.8 93.7 94.8 91.7 98.2 96.9 92.4 83.2 90.8 81.4
호 박 93.3 95.1 94.3 96.1 97.8 95.9 92.8 98.0 89.4 83.9
가 지 92.5 94.7 87.5 72.3 95.5 91.1 94.9 99.8 96.4 88.6
토마토 99.1 99.4 97.0 98.9 99.8 98.0 98.9 100.0 94.8 95.2
방울토마토 98.2 100.0 96.0 96.7 88.9 99.4 97.8 99.4 98.7 96.1
참외 98.9 99.9 98.0 97.8 96.9 99.3 100.0 100.0 100.0 99.4
딸기 72.8 71.7 79.7 76.3 64.1 72.7 95.2 97.2 90.1 79.2
수박 12.7 7.9 9.0 1.8 12.0 9.6 12.8 6.6 2.6 10.0
조롱수박 100.0 100.0 100.0 50.0 - - - - - -
메 론 95.4 96.8 93.0 94.6 98.9 91.9 99.6 100.0 89.7 98.3
피 망 98.3 99.0 98.8 99.1 99.8 100.0 99.7 99.7 99.9 95.3
건고추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양 파 29.2 34.0 52.3 71.4 91.8 95.1 96.1 95.9 99.2 96.6
마 늘 85.0 91.7 76.7 58.8 73.1 84.3 93.6 100.0 97.2 95.2
대 파 0.2 0.3 0.0 0.0 0.0 0.0 0.0 0.3 0.2 0.2
쪽 파 28.7 25.6 19.9 24.5 18.4 39.2 29.4 21.6 5.6 17.9
81.2 89.4 90.3 86.6 97.1 97.5 97.4 98.9 95.8 94.7
열 무 41.1 34.1 28.7 25.0 38.8 47.1 38.2 23.6 8.8 -
총각무 0.0 0.0 0.0 0.0 0.0 0.2 2.4 0.0 0.0 0.4
배 추 69.0 72.4 67.4 71.2 42.1 73.5 76.0 74.0 94.3 87.0
얼갈이배추 41.3 45.7 50.4 43.1 43.4 56.6 62.2 61.2 43.6 -
양배추 98.0 97.4 92.7 88.5 20.1 57.8 70.0 83.7 84.5 78.4
당 근 87.9 79.8 60.5 76.4 96.9 97.7 98.1 98.9 95.3 89.9
시금치 54.4 52.5 58.4 55.1 83.1 72.2 66.3 48.8 72.4 77.0
상 추 93.5 95.3 82.8 85.9 97.6 96.4 94.5 95.8 97.6 78.0
깻 잎 78.8 70.1 62.5 71.9 85.7 83.0 83.2 92.5 85.6 73.4
부 추 40.2 51.6 61.7 50.3 16.2 34.5 34.8 15.9 38.8 27.6
쑥 갓 78.7 85.3 89.0 92.6 96.9 99.4 98.8 100.0 92.5 94.7
미나리 56.1 45.8 51.5 52.6 40.2 49.7 47.8 25.3 14.9 6.7
감 자 99.1 99.9 95.4 96.2 98.3 100.0 99.1 100.0 99.5 94.7
고구마 80.9 85.9 89.4 87.2 92.4 89.7 96.4 98.1 86.3 82.8
국 화 79.8 82.1 86.7 82.6 86.5 86.5 88.2 89.4 90.6 96.0
카네이션 95.3 98.2 98.7 91.1 94.5 94.8 96.6 99.0 97.7 99.3
장 미 86.7 88.4 88.3 89.1 91.6 92.6 96.9 97.5 98.3 97.3
백 합 87.7 87.5 88.4 88.3 81.1 81.2 90.7 93.6 92.9 93.4
글라디올라스 78.1 67.1 71.8 68.5 69.0 73.7 79.7 92.1 85.9 88.0
거베라 98.8 99.1 99.6 93.6 92.3 98.5 91.2 99.3 98.2 99.5

포장화율

부류별
포장화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전체 92.9 92.4 94.6 93.8 91.8 92.0 93.0 93.2 92.0 92.1
과일류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과채류 85.3 76.6 78.5 84.4 83.2 84.3 89.2 92.1 88.2 93.0
양념류 75.4 76.9 74.5 81.6 84.0 82.3 82.5 82.0 80.9 72.5
엽근채류 95.5 97.0 98.9 96.3 93.1 94.1 94.0 93.0 93.3 96.3
서 류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화훼류 99.7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품목별
포장화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사 과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단 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감 귤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숭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 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포 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참다래 100.0 100.0 100.0 100.0 97.1 100.0 100.0 100.0 100.0 100.0
풋고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오 이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호 박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가 지 100.0 100.0 100.0 100.0 100.0 - 100.0 100.0 100.0 100.0
토마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방울토마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참 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딸 기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99.4
수 박 22.3 9.6 29.0 24.8 31.1 11.1 17.6 19.0 32.6 45.6
조롱수박 100.0 100.0 100.0 100.0 - - - - - -
메 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피 망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건고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양 파 96.3 99.1 97.5 99.8 100.0 100.0 99.7 100.0 99.9 100.0
마 늘 100.0 100.0 99.0 100.0 100.0 96.1 99.1 100.0 98.1 100.0
대 파 0.2 0.6 8.3 6.2 19.5 7.5 2.1 6.4 11.1 4.1
쪽 파 38.0 35.0 56.8 54.5 34.5 66.0 53.2 36.0 39.7 35.7
배 추 100.0 100.0 100.0 100.0 99.7 100.0 100.0 100.0 100.0 100.0
얼갈이배추 68.2 76.7 90.7 84.3 90.2 85.2 84.2 90.3 98.3 -
양배추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93.0 95.9 99.8 94.4 98.8 98.4 97.7 99.7 96.9 99.1
열 무 69.4 77.7 77.5 76.2 57.3 82.2 78.6 73.2 75.2 -
총각무 0.0 0.0 32.4 31.7 1.1 6.4 2.4 1.1 20.7 4.9
당 근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금치 98.1 99.6 99.5 98.0 93.5 91.2 90.6 88.4 99.6 93.8
상추 99.8 100.0 99.8 99.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깻 잎 100.0 100.0 100.0 100.0 100.0 99.9 100.0 99.2 99.6 99.7
부 추 96.2 98.5 92.5 74.2 41.5 59.7 44.3 22.0 54.1 96.8
쑥 갓 97.7 100.0 99.8 99.8 99.6 100.0 100.0 100.0 98.5 99.1
미나리 93.0 91.3 94.7 91.6 94.8 95.6 85.1 75.9 84.9 92.3
감 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고구마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국 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카네이션 100.0 100.0 100.0 96.6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장 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백 합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글라디올라스 78.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거베라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품목별 유통실태

품목별 유통실태 정보 - 번호, 품목, 연도, 관련자료로 구성
번호 품목 연도 관련자료
7 고등어 2016 년 자료 다운로드
6 고등어 2015 년 자료 다운로드
5 고등어 2014 년 자료 다운로드
4 고등어 2013 년 자료 다운로드
3 고등어 2012 년 자료 다운로드
2 고등어 2011 년 자료 다운로드
1 고등어 2010 년 자료 다운로드

고등어 고르는 Tip

생물 고등어 냉동/냉장

• 눈은 투명하고 아가미는 선홍색인 것

• 등색이 푸르게 윤택이 나고 살이 단단한 것

• 옆구리의 깨알 같은 반점이 없는 것

• 꼬리가 꼿꼿하고 껍질이 암청색인 것

• 몸이 상하로 길고 좌우로 짧은 타원형인 것

• 등은 푸른색의 짙은 줄무늬가 있고, 배는 은백색을 띠는 것

• 배부위가 통통하며 탄력이 있는 것

• 옆구리의 깨알같은 반점이 없는 것

• 구부러지지 않고 살이 뼈에 밀착되어 있는 것

• 해동 후 육질이 치밀한 것

• 탄력이 없고 살이 무른 것

• 냄새가 나는 것은 싱싱하지 않은 것

 

보관은 이렇게

• 내장을 제거하지 않고 사온 고등어는 아가미와 내장을 제거하고 적당한 크기로 나눔

• 한 번 조리할 분량만큼 비닐 팩이나 밀폐용기에 담아 단기는 냉장, 장기는 냉동실에 보관

 

손질은 이렇게

• 가위로 지느러미와 꼬리를 제거하고 칼로 머리를 자른 후 배를 가르고 내장을 제거

• 물로 깨끗이 헹군 뒤 용도에 맞게 자름

• 굽기 약 1시간 전에 소금을 뿌려두면 수분이 빠져나가 살이 단단해지고 맛이 좋아짐

 

활용은 이렇게

용도 활용메뉴
조림 및 찜 고등어무조림, 묵은지고등어조림, 고등어쪽파조림, 자반고등어찜
구이 고등어양념구이, 고등어소금구이, 된장고등어구이, 고등어간장구이
고등어회, 고등어회무침
꼬치 및 강정 고등어마늘꼬치, 고등어강정
파스타 및 샌드위치 고등어파스타, 고등어샌드위치

 

고등어 음식 궁합

• 무의 매운 성분인 이시아네이트 등이 생선 비린내를 가시게 하고 비타민C와 소화효소가 고등어의 영양을 보완함


이런 효능이

두뇌 건강

ㆍ EPA와 DHA가 풍부하여 두뇌가 활발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며, 노인성 치매 예방에도 좋음

콜레스테롤 감소와 눈 건강 개선

ㆍ 고등어에는 오메가-3와 지방산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체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주며, 좋은 콜레스테롤은 증가시켜 줌

ㆍ 안구염증을 억제하여 안구를 촉촉하게 유지 시켜주며 안구건조증에도 효과적임

당뇨병 개선

ㆍ 고등어에 함유된 불포화 지방산은 내장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당뇨병 환자의 혈당수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함

피부미용과 빈혈 개선에 도움

ㆍ 비타민B2와 철분을 많이 함유해 피부 미용과 빈혈을 개선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

면역력 강화

ㆍ 고등어에 들어있는 셀레늄이라는 성분은 신체의 저항력과 면역력을 증진시켜주어 감기나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줌

 

이런 영양이


미디어





2012년 10월 06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



동영상

데이터가 없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