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백과(카미위키)
콩에는 섬유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대장 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변비를 개선시켜주고요~ 콩은 양질의 단백질이면서 비타민E가 풍부해 기미 생성을 방지해주고, 이소폴라본 성분은 노화예방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콩의 열량은 100g당 약 400kcal로 높은 편이지만, 식이섬유가 풍부해 포만감을 줘 과식을 막아줍니다.
구분 | 내용 |
학명 | Glycine max (L.) Merr. |
---|---|
영명 | Soybean, bean |
원산지 | 중국, 시베리아의 아무르강 유역 |
정의 |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
기원 및 분포 | - 콩의 원산지는 중국과 시베리아의 아무르강 유역이며, 야생형·중간형·재배형이 널리 분포함 - 만주지방 및 한반도를 이차적 분화의 중심지로 추정함 - 한국, 중국, 만주, 아메리카, 유럽 등 전 세계에 분포함 - 콩은 우리가 먹는 곡식 중 유일하게 한반도가 발상지이며, 동북아시아 중 중국 만주지방과 한반도 지역이 원산지로 한반도의 콩 재배 연한은 약 3,000년 전으로 추정됨 - 한반도와 만주를 중심으로 재배되던 콩은 18세기 서양에 전파되었으며, 특히 미국에 도입된 이래 전 세계로 확산됨 - 세계 1, 2차 대전 당시 식량난으로 어려움을 겪던 인류에게 유지자원과 단백질을 제공하며 인류의 영양원 역할을 했던 콩은 전체 영양성분 중 40% 내외가 단백질로 구성되며, 20%에 달하는 지방은 대부분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음 |
국내 전파 | 「삼국사기」에 콩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재배되었음을 알 수 있음 |
모양 | - 줄기의 높이는 60cm에 달하고 잎과 더불어 갈색 털이 있음 - 잎의 모양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함 - 꽃은 자줏빛이 도는 홍색 또는 백색이며, 꽃받침은 종 모양임 |
재배적 특징 | - 콩의 발아를 위한 적정한 온도는 약 30℃ 정도로 보고 있음 - 다른 작물에 비하여 많은 수분을 요구하는 작물로, 발아를 위해 씨앗 무게의 50% 정도의 수분 함량이 필요함 - 표면 토양층이 깊고 토양 수분 보유력이 높으며, 토양 산도가 중성인 토양이 좋음 - 생육기간 : 가장 짧은 것은 75일, 가장 긴 것은 200일 정도 - 생육적온 : 25~30℃(지표적온 : 15℃) |
특성 | - 대두(大豆)라고도 하며, 식용작물로서 널리 재배 - 줄기는 높이가 60~100cm이고, 곧게 서며 덩굴성인 품종도 있음 -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 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 |
소비형태 | - 가공하여 두부, 된장, 간장, 콩가루, 과자 콩기름 등으로 이용 - 인조버터의 제조 원료와 사료, 비료, 각종 공업원료로 사용 - 콩나물로 재배하여 이용 |
※ 출처 : 농촌진흥청, 경기도농업기술원
국내에서 육성되는 콩 품종
종류 | 사진 | 주요 특성 |
---|---|---|
두루올 | - 조생종이며, 생육일수는 100일 내외임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 강하며, 비나 바람에 강함 - 잎 모양은 난형이며, 꽃은 백색임 |
|
미소 | - 콩 비린내에 관여하는 효소 활성이 나타나지 않는 비린내 없는 콩임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 강하며, 두부 가공 적성이 우수함 - 잎 모양은 난형이며, 꽃은 백색임 |
|
대찬 | - 착생 부위가 높으면서도 비나 바람에 강함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 강함 - 메주 및 청국장 가공 적성이 우수함 - 성숙기는 10월 13일이며, 100립 무게는 24.5g - 꼬투리 착생부위가 높으면서도 도복에 강함 |
|
해원 |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 강하며, 종실병해 및 비나 바람에도 강함 - 잎 모양은 피침형이며, 꽃은 자색임 - 황색 소립종이며, 콩알 무게가 지나치게 감소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적기에 파종해야 함 |
|
선풍 | - 황색 대립종임 - 불마름병과 모자이크바이러스병에 저항성이 강함 - 장류와 두부 가공 적성이 우수함 - 성숙기는 10월 19일이며, 종피색과 배꼽색은 황색 |
|
새금 | - 황색 중대립종임 - 불마름병과 모자이크바이러스병에 저항성이 강함 - 장류와 두부 가공 적성이 우수함 - 성숙기는 10월 17일이며, 황색이고 중대립 - 주로 장류 및 두부용으로 사용 |
|
늘찬 | - 황색 대립종이며 종실 품위가 우수함 - 불마름병 등 잎 발생 병해와 비나 바람에 강함 - 청국장 및 메주 가공적성이 양호함 |
|
천산 | - 100립중은 24.8g으로 중립종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고 바이러스에 강함 - 등숙기간이 길고, 도복에 강하며, 탈립이 되지 않음 - 단백질함량이 높고 두부 가공적성이 높음 |
|
금강 | - 100립중은 24.8g으로 중립종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고 바이러스에 강함 - 등숙기간이 길고, 도복에 강하며, 탈립이 되지 않음 - 단백질함량이 높고 두부 가공적성이 높음 |
|
청미인 | - 개화기는 8월 1일이고 성숙기는 10월 22일 - 경장은 67cm이며 분지 수는 다소 많고 협수는 37개 정도 - 100립 무게는 34.3g으로 무거운 대립종 - 불마름병 및 콩 모자이크바이러스병에 강함 |
|
청두1호 | - 성숙기는 10월 6일로 일품검정콩에 비하여 9일 정도 늦은 중생종 - 개체 당 협수는 35개 정도이며 2립협과 3립협 비율도 높음 - 100립중은 23.6g으로 소립 - 제주를 제외한 전국 지역 재배가 가능한 품종 - 내탈립성이 약하므로 수확시기가 지연되지 않아야함 |
|
청자3호 | - 개화기는 7월 30일이며 성숙기는 10월 10일로 만숙 품종 - 경장은 66cm 정도로 작으며 도복에는 비교적 강한 특성을 갖음 - 100립중은 32.1g으로 대립종 |
|
중모3009호 | - 개화기는 8월 2일이며 성숙기는 10월 19일 - 경장은 86cm로 청자콩보다 12cm정도 길며 협수는 약간 많고 100립중은 29.3g으로 가벼운 대립종 - 불마름병에 저항성이 강함 |
|
대망 | - 대망품종의 신육형은 유한형이며, 엽형은 난형이고, 꽃색은 백색, 종피색은 담록색 - 100립중은 31.4g으로 대립종 - 포장에서의 불마름병의 이병이 적고, 검은뿌리썩음병에도 강함 |
|
소진 | - 종피색은 황색이고, 배꼽색은 담갈색 - 성숙 후 꼬투리의 탈립은 잘되지 않는 편 - 개화기는 7월 31일경이며 성숙기는 10월 8일 전후인 중만생종 - 줄기 길이는 52cm로 풍산나물콩보다 다소 작고, 도복에 강하며, 개체당 꼬투리 수는 58개 |
|
만수 | - 만수는 유한 신육형이며, 잎모양은 난형이고 꽃색은 자색 - 종자는 구형으로 종피색이 담녹색이며 성숙후 꼬투리의 개열이 잘 안됨 - 만수의 개화기는 평균 7월 22일이고 성숙기는 10월 5일 - 종자 100립의 무게가 26.5g으로 대립 |
|
중모3011호(밀양228호) | - 개화기는 8월 12일로 대비품종인 청자3호보다 14일 늦고 성숙기는 11월 17일로 늦다. - 경장은 80cm로 청자3호보다 15cm 크고, 분지수는 다소 많고 도복은 5.6으로 약하고, 협수는 31개 정도다. - 100립 무게는 66.4g으로 청자3호보다 32.0g 무거운 대립종이다. |
|
녹원(밀양153호) | - 녹원의 개화기는 6월 20일이며 풋협 수확기는 8월에 수확되는 조숙종이다. - 경장은 34cm로 마디수는 적으나 협수는 많아 가지형 풋콩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 녹원은 단경으로 도복에 강하며 100립중이 75.4g으로 무거운 대립종이다. |
|
선유 | - 유한 신육형이며 엽형은 환형이고, 꽃색은 자색이다. 모용색은 회색이고 종피색 및 배꼽색은 황색이며 입형은 구형으로서 성숙후 협의 개열이 잘 안된다. - 경장은 15cm로 작으며 도복에는 강하나 100립중은 29.6g으로 대립종이다. |
|
장원콩 | - 장원콩의 꽃색은 자색, 엽형은 피침형이며, 종실의 모양은 구형이다. 종피색과 배꼽색은 황색이고 모용색은 회색이며 성숙 꼬투리색은 갈색이다. - 장원콩의 개화기는 7월 24일, 성숙기는 9월 30일로 중생종이다. - 100립중은 26.9g이며 종자의 크기가 균일한 특성을 갖고 있다. |
※ 출처 : 농촌진흥청
콩의 종류 및 특징
구분 | 강낭콩 | 완두콩 | 검정콩 | 노란콩(백태) |
---|---|---|---|---|
사진 | ||||
특징 | - 섬유소가 함유되어 있어 대장 기능 개선에 효과적임 - 콜레스테롤과 결합하여 체외로 배출하는데 도움을 줌 |
- 두뇌활동에 활기를 주는 비타민 B1이 풍부함 - 무기력증 및 피로회복에 효과적임 |
- 낟알 껍질이 검정색임 - 일반 콩에 비해 노화방지 성분이 많음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임 |
- 항암 작용을 비롯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줌 - 지방합성을 억제함으로써 변비 예방에 효과적임 |
크기 및 무게에 따른 구분
• 100알의 무게를 기준으로 하며 극대립, 대립, 중립, 소립, 극소립으로 구분함
품종 | 극대립 | 대립 | 중립 | 소립 | 극소립 |
---|---|---|---|---|---|
무게(g) | 35g 이상 | 25~34.9g | 15~24.9g | 10~14.9g | 9.9g 이하 |
길이, 넓이, 두께의 비율에 따른 구분
구형, 편구형, 타원형, 편타원형, 장타원형, 장편타원형 등으로 구분
색이나 무늬에 따른 구분
크게 단일색과 줄무늬나 반점을 갖고 있는 얼룩색으로 구분
구분 | 단일색 | 얼룩콩 |
---|---|---|
품종 | 황색콩, 청태, 밤콩, 검정색콩 등 | 우렁콩, 매눈이콩, 선비제비콩, 아주까리콩 등 |
* 출처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원산지식별정보
품목별 도매가격
이용안내
● 도매시장 중도매인 상회에서 소상인 및 실수요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018.1.8일 부터 깐마늘(국산)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깐마늘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 ● 2020.6.23일 부터 난지형 피마늘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난지형 피마늘 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콩 / 흰 콩(국산), 등급 : 상품, 단위 : 40kg
구분 | 2025 | 2024 | 2023 | 2022 |
---|---|---|---|---|
1월 | 229,644 | 218,418 | 218,110 | 234,846 |
2월 | 230,040 | 218,084 | 214,880 | 233,130 |
3월 | 231,810 | 221,250 | 212,800 | 233,567 |
4월 | 231,663 | 221,343 | 210,600 | 233,122 |
5월 | - | 220,570 | 210,220 | 237,419 |
6월 | - | 221,684 | 211,400 | 239,510 |
7월 | - | 221,983 | 212,419 | 239,000 |
8월 | - | 222,200 | 214,527 | 239,000 |
9월 | - | 221,744 | 218,211 | 239,000 |
10월 | - | 221,170 | 219,632 | 241,337 |
11월 | - | 224,086 | 220,264 | 232,655 |
12월 | - | 229,800 | 219,400 | 220,114 |
연평균 | 230,808 | 221,860 | 215,147 | 235,175 |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콩 / 흰 콩(수입), 등급 : 중품, 단위 : 35kg
구분 | 2025 | 2024 | 2023 | 2022 |
---|---|---|---|---|
1월 | 121,956 | 126,582 | 128,400 | 127,260 |
2월 | 122,200 | 125,832 | 127,170 | 127,489 |
3월 | 122,020 | 125,060 | 126,055 | 127,362 |
4월 | 122,211 | 124,981 | 125,460 | 129,371 |
5월 | - | 125,670 | 125,600 | 131,105 |
6월 | - | 125,800 | 125,448 | 131,860 |
7월 | - | 125,974 | 125,400 | 131,848 |
8월 | - | 125,314 | 125,973 | 132,327 |
9월 | - | 123,633 | 126,916 | 132,600 |
10월 | - | 121,910 | 126,800 | 133,168 |
11월 | - | 121,143 | 126,418 | 132,109 |
12월 | - | 121,260 | 125,600 | 130,067 |
연평균 | 122,099 | 124,454 | 126,258 | 130,576 |
품목별 소매가격
이용안내
●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경동, 영등포, 부전, 동구, 현대, 양동, 역전, 지동, 중앙, 육거리, 남부, 상남, 신정, 동문시장은 전통시장임.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2.4.4부터 축산물 소매가격은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소매가격 - 기간별) 식량작물 / 콩 / 흰 콩(국산), 등급 : 상품, 단위 : 500g
구분 | 2025 | 2024 | 2023 | 2022 |
---|---|---|---|---|
1월 | 5,357 | 4,833 | 5,621 | 5,454 |
2월 | 5,266 | 5,157 | 5,570 | 5,838 |
3월 | 5,357 | 5,365 | 5,508 | 5,834 |
4월 | 5,351 | 5,375 | 5,481 | 5,809 |
5월 | - | 5,353 | 5,335 | 5,804 |
6월 | - | 5,319 | 5,289 | 5,807 |
7월 | - | 5,337 | 5,266 | 5,734 |
8월 | - | 5,219 | 5,196 | 5,488 |
9월 | - | 5,198 | 5,051 | 5,386 |
10월 | - | 5,210 | 4,940 | 5,420 |
11월 | - | 5,091 | 4,918 | 5,381 |
12월 | - | 5,224 | 4,838 | 5,397 |
연평균 | 5,332 | 5,222 | 5,253 | 5,611 |
일일동향
(중도매거래) 식량작물/ 콩/ 흰 콩(수입), 2025-04-09, 서울지역
작성자 : 윤지인 조사원● 흰콩의 국내 작황이 좋지 않아 국내수입 의존도가 높아짐. 환율상승으로 국내 판매가격 상승
● 도매 시장 기준 35kg 수입이 114,000원 선에 거래되며 오름세
● 국제 정세로 인해 환율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형성된 고가에서 보합세 전망
(중도매거래) 식량작물/ 콩/ 흰 콩(국산), 2025-03-28, 대전지역
작성자 : 황선실 조사원● 전북, 전남지역 등지에서 반입됨
● 국산 콩 도매가격은 수확기 이후 상승하였으나, 소비부진으로 보합세
● 도매가격 40kg 기준 상품 229,000원, 중품 216,000원 내외로 거래됨
● 여름철 콩국수 등 소비증가로 거래가격에 영향이 있겠으나, 정부 수매물량 방출로 보합세 전망
유통단계별 거래형태
도매시장
- 주로 35kg 포대 또는 7kg 단위 판매 형태로 거래됨 |
전통(소매)시장
- 1kg 단위, 한 근(600g) 단위 등 다양한 판매 형태로 거래됨 |
대형유통업체
- 1.5kg 플라스틱 포장, 500g 진공 소포장 등 다양한 판매 형태로 거래됨 |
주요 반입되는 지역
주요 출하지역(‘16년 기준)
- 주 출하도는 ① 충청남도 ② 강원도 ③ 서울특별시 순
- 시·군은 ① 충남 서천군 ② 충남 예산군 ③ 충남 부여군 순
- 총반입량 중 3개 도에서 78.59%, 3개 시·군에서 40.46%가 출하됨
※ 출처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지역별 출하비율 및 월별 반입량 점유율(‘16년 기준)
※ 출처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월별 주요 출하지역(‘16년 기준)
월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출하지 (물량순) |
당진군 - |
송파구 대구 북구 |
보성군 부여군 |
부여군 송파구 |
부여군 송파구 |
예산군 서천군 |
서천군 송파구 |
인제군 공주시 |
서산시 공주시 |
홍천군 춘천시 |
춘천시 홍천군 |
고창군 부여군 |
※ 출처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최근 5개년 생산동향(전국)
구분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면적(ha) | 71,422 | 77,849 | 80,842 | 80,031 | 74,652 |
10a당 생산량(kg) | 147 | 166 | 152 | 193 | 187 |
생산량(천톤) | 105,345 | 129,394 | 122,519 | 154,067 | 139,267 |
* 출처 : 통계청
금년 콩 단수 전년 대비 5.6% 감소 전망
- 전남, 제주 지역의 생육상황은 양호
- 중부지역은 등숙기1) 가뭄 심화로 임실률2)이 떨어져 작황피해 발생
- 콩의 예상품질도 크기, 외관, 색택에 있어 작년보다 좋지 않을 것으로 추정
* 출처 : 농촌경제연구원(KREI)
병충해
사진 | 내용 |
노린재류(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 농작물의 잔재 및 낙엽 속에서 어른벌레로 겨울나기함 - 연 3회 발생 방제 - 관리하는 수단은 농약, 유인제, 친환경유기농자재 - 노린재의 활동은 오후 2~4시 사이에 가장 활발 - 오후에 약제를 살포하면 노린재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기에 오전시간대 또는 오후 5~6시 이후에 약재를 살포 - 주로 문제가 되는 노린재종류는 톱 다리 개미허리노린재와 풀색노린재이며 꼬투리가 비대하는 시기에 침으로 즙액을 빨아 가해를 하며 피해를 받은 콩꼬투리는 빈 깍지가 되거나 제대로 자라지 못함 - 종류에 따라 1년에 2~3회 발생하는데, 이동이 쉽고 농약에 견디는 힘이 강해 살충제도 효과가 적으며, 특히 여러 농가가 함께 동시에 방제해야 함 |
|
콩잎말이명나방 - 유충으로 월동하여 1회는 6월, 2회는 7~8월, 3회는 9월에 발생 - 2~3장의 잎을 세로로 말아 그 속에서 갉아먹음 - 잎을 건드리면 유충이 밖으로 나와 땅에 떨어짐 - 연 3회 발생 방제 - 7월 중순~8월 중순사이가 부화 최성기 - 이 기간에 약제를 3회 살포 |
|
먹뿌리썩음병 - 배수가 불량하거나 지하수위가 높은 논에서 수년간 콩을 연작할 때 심한 피해를 줄 수 있음 - 초기증상은 발병한 곳 주위에 적갈색의 무늬가 형성되고 병이 확대되면 흑갈색으로 변하며, 가는 뿌리는 썩어 없어지고 원뿌리만 남게 됨 방제 - 방제가 매우 힘든 병해충의 하나로 현재 등록된 농약은 없으며 발병한 식물체는 보는 즉시 뽑아주어 병의 전파를 예방하는 것이 좋음 |
※ 출처 : 농촌진흥청
출하 동향
구분 | 산지 공판장 | 대형유통업체 | 2차 가공업체(두부 등) |
출하비율(%) | 50% | 30% | 20% |
생육상황
- 생육상황과 탈곡과정
표준규격 출하율
부류별
구분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
전체 | 73.6 | 75.7 | 76.5 | 76.8 | 77.2 | 80.5 | 84.5 | 85.3 | 84.2 | 80.6 |
과일류 | 98.5 | 95.4 | 94.1 | 96.8 | 97.2 | 97.5 | 97.2 | 98.2 | 98.1 | 94.4 |
과채류 | 78.4 | 72.7 | 68.8 | 74.4 | 75.4 | 80.1 | 85.2 | 87.8 | 78.0 | 79.5 |
양념류 | 26.6 | 29.4 | 38.6 | 55.9 | 70.0 | 70.0 | 71.3 | 71.5 | 71.0 | 66.0 |
엽근채류 | 74.1 | 78.3 | 78.9 | 76.8 | 63.6 | 73.5 | 79.8 | 78.5 | 83.9 | 78.3 |
서 류 | 95.4 | 96.7 | 93.7 | 93.7 | 96.6 | 97.1 | 98.4 | 99.5 | 95.6 | 88.4 |
화훼류 | 82.9 | 85.0 | 88.2 | 84.9 | 87.5 | 88.2 | 91.2 | 92.3 | 92.9 | 96.4 |
품목별
구분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
사 과 | 99.0 | 99.0 | 94.5 | 95.5 | 97.2 | 98.8 | 97.0 | 96.4 | 97.0 | 82.6 |
배 | 97.8 | 98.5 | 98.7 | 95.6 | 89.1 | 92.7 | 96.2 | 99.7 | 99.3 | 99.0 |
단 감 | 98.2 | 98.7 | 99.5 | 99.6 | 99.9 | 100.0 | 99.5 | 99.6 | 97.7 | 98.9 |
감 귤 | 99.0 | 87.8 | 88.6 | 98.6 | 99.1 | 98.2 | 96.1 | 97.1 | 98.9 | 99.8 |
복숭아 | 99.3 | 100.0 | 100.0 | 98.6 | 99.6 | 100.0 | 98.2 | 99.2 | 96.9 | 98.3 |
자 두 | 92.0 | 91.7 | 93.7 | 100.0 | 97.0 | 99.8 | 100.0 | 100.0 | 99.7 | 99.7 |
포 도 | 97.9 | 98.5 | 95.7 | 94.5 | 98.9 | 97.7 | 99.2 | 99.6 | 98.5 | 97.3 |
참다래 | 94.9 | 97.2 | 80.7 | 78.8 | 93.7 | 92.1 | 100.0 | 100.0 | 100.0 | 96.4 |
풋고추 | 98.7 | 99.6 | 100.0 | 98.2 | 99.2 | 96.8 | 98.2 | 99.4 | 99.8 | 99.9 |
오 이 | 91.8 | 93.7 | 94.8 | 91.7 | 98.2 | 96.9 | 92.4 | 83.2 | 90.8 | 81.4 |
호 박 | 93.3 | 95.1 | 94.3 | 96.1 | 97.8 | 95.9 | 92.8 | 98.0 | 89.4 | 83.9 |
가 지 | 92.5 | 94.7 | 87.5 | 72.3 | 95.5 | 91.1 | 94.9 | 99.8 | 96.4 | 88.6 |
토마토 | 99.1 | 99.4 | 97.0 | 98.9 | 99.8 | 98.0 | 98.9 | 100.0 | 94.8 | 95.2 |
방울토마토 | 98.2 | 100.0 | 96.0 | 96.7 | 88.9 | 99.4 | 97.8 | 99.4 | 98.7 | 96.1 |
참외 | 98.9 | 99.9 | 98.0 | 97.8 | 96.9 | 99.3 | 100.0 | 100.0 | 100.0 | 99.4 |
딸기 | 72.8 | 71.7 | 79.7 | 76.3 | 64.1 | 72.7 | 95.2 | 97.2 | 90.1 | 79.2 |
수박 | 12.7 | 7.9 | 9.0 | 1.8 | 12.0 | 9.6 | 12.8 | 6.6 | 2.6 | 10.0 |
조롱수박 | 100.0 | 100.0 | 100.0 | 50.0 | - | - | - | - | - | - |
메 론 | 95.4 | 96.8 | 93.0 | 94.6 | 98.9 | 91.9 | 99.6 | 100.0 | 89.7 | 98.3 |
피 망 | 98.3 | 99.0 | 98.8 | 99.1 | 99.8 | 100.0 | 99.7 | 99.7 | 99.9 | 95.3 |
건고추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양 파 | 29.2 | 34.0 | 52.3 | 71.4 | 91.8 | 95.1 | 96.1 | 95.9 | 99.2 | 96.6 |
마 늘 | 85.0 | 91.7 | 76.7 | 58.8 | 73.1 | 84.3 | 93.6 | 100.0 | 97.2 | 95.2 |
대 파 | 0.2 | 0.3 | 0.0 | 0.0 | 0.0 | 0.0 | 0.0 | 0.3 | 0.2 | 0.2 |
쪽 파 | 28.7 | 25.6 | 19.9 | 24.5 | 18.4 | 39.2 | 29.4 | 21.6 | 5.6 | 17.9 |
무 | 81.2 | 89.4 | 90.3 | 86.6 | 97.1 | 97.5 | 97.4 | 98.9 | 95.8 | 94.7 |
열 무 | 41.1 | 34.1 | 28.7 | 25.0 | 38.8 | 47.1 | 38.2 | 23.6 | 8.8 | - |
총각무 | 0.0 | 0.0 | 0.0 | 0.0 | 0.0 | 0.2 | 2.4 | 0.0 | 0.0 | 0.4 |
배 추 | 69.0 | 72.4 | 67.4 | 71.2 | 42.1 | 73.5 | 76.0 | 74.0 | 94.3 | 87.0 |
얼갈이배추 | 41.3 | 45.7 | 50.4 | 43.1 | 43.4 | 56.6 | 62.2 | 61.2 | 43.6 | - |
양배추 | 98.0 | 97.4 | 92.7 | 88.5 | 20.1 | 57.8 | 70.0 | 83.7 | 84.5 | 78.4 |
당 근 | 87.9 | 79.8 | 60.5 | 76.4 | 96.9 | 97.7 | 98.1 | 98.9 | 95.3 | 89.9 |
시금치 | 54.4 | 52.5 | 58.4 | 55.1 | 83.1 | 72.2 | 66.3 | 48.8 | 72.4 | 77.0 |
상 추 | 93.5 | 95.3 | 82.8 | 85.9 | 97.6 | 96.4 | 94.5 | 95.8 | 97.6 | 78.0 |
깻 잎 | 78.8 | 70.1 | 62.5 | 71.9 | 85.7 | 83.0 | 83.2 | 92.5 | 85.6 | 73.4 |
부 추 | 40.2 | 51.6 | 61.7 | 50.3 | 16.2 | 34.5 | 34.8 | 15.9 | 38.8 | 27.6 |
쑥 갓 | 78.7 | 85.3 | 89.0 | 92.6 | 96.9 | 99.4 | 98.8 | 100.0 | 92.5 | 94.7 |
미나리 | 56.1 | 45.8 | 51.5 | 52.6 | 40.2 | 49.7 | 47.8 | 25.3 | 14.9 | 6.7 |
감 자 | 99.1 | 99.9 | 95.4 | 96.2 | 98.3 | 100.0 | 99.1 | 100.0 | 99.5 | 94.7 |
고구마 | 80.9 | 85.9 | 89.4 | 87.2 | 92.4 | 89.7 | 96.4 | 98.1 | 86.3 | 82.8 |
국 화 | 79.8 | 82.1 | 86.7 | 82.6 | 86.5 | 86.5 | 88.2 | 89.4 | 90.6 | 96.0 |
카네이션 | 95.3 | 98.2 | 98.7 | 91.1 | 94.5 | 94.8 | 96.6 | 99.0 | 97.7 | 99.3 |
장 미 | 86.7 | 88.4 | 88.3 | 89.1 | 91.6 | 92.6 | 96.9 | 97.5 | 98.3 | 97.3 |
백 합 | 87.7 | 87.5 | 88.4 | 88.3 | 81.1 | 81.2 | 90.7 | 93.6 | 92.9 | 93.4 |
글라디올라스 | 78.1 | 67.1 | 71.8 | 68.5 | 69.0 | 73.7 | 79.7 | 92.1 | 85.9 | 88.0 |
거베라 | 98.8 | 99.1 | 99.6 | 93.6 | 92.3 | 98.5 | 91.2 | 99.3 | 98.2 | 99.5 |
포장화율
부류별
구분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
전체 | 92.9 | 92.4 | 94.6 | 93.8 | 91.8 | 92.0 | 93.0 | 93.2 | 92.0 | 92.1 |
과일류 | 100.0 | 100.0 | 100.0 | 99.9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과채류 | 85.3 | 76.6 | 78.5 | 84.4 | 83.2 | 84.3 | 89.2 | 92.1 | 88.2 | 93.0 |
양념류 | 75.4 | 76.9 | 74.5 | 81.6 | 84.0 | 82.3 | 82.5 | 82.0 | 80.9 | 72.5 |
엽근채류 | 95.5 | 97.0 | 98.9 | 96.3 | 93.1 | 94.1 | 94.0 | 93.0 | 93.3 | 96.3 |
서 류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화훼류 | 99.7 | 100.0 | 100.0 | 99.9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품목별
구분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
사 과 | 100.0 | 100.0 | 100.0 | 99.9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배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단 감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감 귤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복숭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자 두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포 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참다래 | 100.0 | 100.0 | 100.0 | 100.0 | 97.1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풋고추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오 이 | 100.0 | 100.0 | 100.0 | 99.9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호 박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가 지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 100.0 | 100.0 | 100.0 | 100.0 |
토마토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방울토마토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참 외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딸 기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99.4 |
수 박 | 22.3 | 9.6 | 29.0 | 24.8 | 31.1 | 11.1 | 17.6 | 19.0 | 32.6 | 45.6 |
조롱수박 | 100.0 | 100.0 | 100.0 | 100.0 | - | - | - | - | - | - |
메 론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피 망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건고추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양 파 | 96.3 | 99.1 | 97.5 | 99.8 | 100.0 | 100.0 | 99.7 | 100.0 | 99.9 | 100.0 |
마 늘 | 100.0 | 100.0 | 99.0 | 100.0 | 100.0 | 96.1 | 99.1 | 100.0 | 98.1 | 100.0 |
대 파 | 0.2 | 0.6 | 8.3 | 6.2 | 19.5 | 7.5 | 2.1 | 6.4 | 11.1 | 4.1 |
쪽 파 | 38.0 | 35.0 | 56.8 | 54.5 | 34.5 | 66.0 | 53.2 | 36.0 | 39.7 | 35.7 |
배 추 | 100.0 | 100.0 | 100.0 | 100.0 | 99.7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얼갈이배추 | 68.2 | 76.7 | 90.7 | 84.3 | 90.2 | 85.2 | 84.2 | 90.3 | 98.3 | - |
양배추 | 99.9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무 | 93.0 | 95.9 | 99.8 | 94.4 | 98.8 | 98.4 | 97.7 | 99.7 | 96.9 | 99.1 |
열 무 | 69.4 | 77.7 | 77.5 | 76.2 | 57.3 | 82.2 | 78.6 | 73.2 | 75.2 | - |
총각무 | 0.0 | 0.0 | 32.4 | 31.7 | 1.1 | 6.4 | 2.4 | 1.1 | 20.7 | 4.9 |
당 근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시금치 | 98.1 | 99.6 | 99.5 | 98.0 | 93.5 | 91.2 | 90.6 | 88.4 | 99.6 | 93.8 |
상추 | 99.8 | 100.0 | 99.8 | 99.2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깻 잎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99.9 | 100.0 | 99.2 | 99.6 | 99.7 |
부 추 | 96.2 | 98.5 | 92.5 | 74.2 | 41.5 | 59.7 | 44.3 | 22.0 | 54.1 | 96.8 |
쑥 갓 | 97.7 | 100.0 | 99.8 | 99.8 | 99.6 | 100.0 | 100.0 | 100.0 | 98.5 | 99.1 |
미나리 | 93.0 | 91.3 | 94.7 | 91.6 | 94.8 | 95.6 | 85.1 | 75.9 | 84.9 | 92.3 |
감 자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고구마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국 화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카네이션 | 100.0 | 100.0 | 100.0 | 96.6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장 미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백 합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글라디올라스 | 78.1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거베라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품목별 유통실태
번호 | 품목 | 연도 | 관련자료 |
---|---|---|---|
26 | 콩 | 2023 년 | 자료 다운로드 |
25 | 콩 | 2022 년 | 자료 다운로드 |
24 | 콩 | 2021 년 | 자료 다운로드 |
23 | 콩 | 2020 년 | 자료 다운로드 |
22 | 콩 | 2019 년 | 자료 다운로드 |
21 | 콩 | 2018 년 | 자료 다운로드 |
20 | 콩 | 2017 년 | 자료 다운로드 |
19 | 콩 | 2016 년 | 자료 다운로드 |
18 | 콩 | 2015 년 | 자료 다운로드 |
17 | 콩 | 2014 년 | 자료 다운로드 |
16 | 콩 | 2013 년 | 자료 다운로드 |
15 | 콩 | 2012 년 | 자료 다운로드 |
14 | 콩 | 2011 년 | 자료 다운로드 |
13 | 콩 | 2010 년 | 자료 다운로드 |
12 | 콩 | 2009 년 | 자료 다운로드 |
11 | 콩 | 2008 년 | 자료 다운로드 |
10 | 콩 | 2007 년 | 자료 다운로드 |
9 | 콩 | 2006 년 | 자료 다운로드 |
8 | 콩 | 2005 년 | 자료 다운로드 |
7 | 콩 | 2004 년 | 자료 다운로드 |
구분 | 내용 | ||||||
백태콩 고르는 TIP | - 품종 고유의 특성을 가지며 크기별로 잘 선별된 것이 좋음 - 껍질이 얇고 두꺼움 없이 고른 것을 골라야 함 - 상처가 없고 이물질이 없는 것일수록 좋음 - 품종 고유의 낟알 모양을 하고 있으며, 보통의 숙도를 가진 것 - 단단하고, 부드러우며, 낟알이 고른 것
|
||||||
---|---|---|---|---|---|---|---|
실온보관 | - 보관은 3개월 정도로 18~22℃ 실온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음 - 수분 함량을 적당히 유지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음 - 생수병에 넣은 후 서늘한 곳에 보관하면 벌레가 생기지 않고, 장기 보관이 가능함 |
||||||
유의사항 | - 씻어서 불린 콩은 물기를 제거한 후 냉동실에 보관해야 바로 사용이 가능함 - 콩을 담아둔 자루나 용기에 습기가 차지 않았는지 확인해야 함 - 자루나 용기 밑바닥에 소금을 뿌려 보관하면 장기 보관이 가능함 - 김치냉장고에 두면 습기가 생기므로 그냥 서늘한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음 - 콩을 담아둔 자루나 용기에 습기가 차지 않았는지 확인 후에 밑바닥에 소금을 뿌려 보관하면 장기적으로 보관이 가능 - 씻어 불린 콩은 물기를 제거하고 냉동실에 보관해야 바로 쓸 수 있음 |
이런 효능이
구분 | 내용 |
변비 개선 효과 | - 콩에 함유된 풍부한 섬유질이 대장 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변비를 개선해 줌 - 변비가 심하면 콩을 갈아 거르지 말고 건더기까지 함께 섭취하면 좋음 |
---|---|
혈당 조절에 도움 | - 섬유질이 풍부하여 당의 체내 흡수가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함 - 트립신 억제제와 레시틴은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당뇨 환자에게 도움을 줌 |
피부미용 및 노화 예방 효과 | - 콩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성분은 피부에 좋은 콜라겐을 촉진해 피부를 탄력 있게 만들어 줌 - 콩은 양질의 단백질이면서 비타민 E가 풍부해 기미 생성을 방지하며, 콩에 함유된 이소폴라본 성분은 노화 예방에 효과적임 - 이소플라본 성분은 노화예방에 좋음 |
탈모 예방 및 항암 효과 | - 콩에는 모발을 건강하게 만들어주는 비타민 B와 모발이 잘 자랄 수 있게 하는 시스테인 성분이 풍부해 탈모 예방에 효과적임 - 콩에 함유된 이소플라본 성분은 모근을 강화하고, 모발을 강화시켜 탈모예방에 도움이 되며, 암세포의 증식과 생성을 억제시켜주는 항암효과도 있음 |
다이어트에 도움 | - 콩의 열량은 100g당 약 400kcal로 높은 편이지만, 식이섬유가 풍부해 포만감을 줘 과식을 막음 |
혈액순환개선 | - 식이섬유는 혈관 내 콜레스테롤 제거에 도움을 줌 |
골다공증 예방 및 골격 강화 | -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은 여성이 폐경기로 인해 에스트로겐이 부족할 때 투여하면 골다공증을 예방 - 콩에는 칼슘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칼슘의 경우 뼈를 튼튼하게 하며, 골다공증 예방에 큰 도움을 줌 |
붓기예방 | - 콩물에 남아 있는 식이섬유가 혈관을 깨끗하게 만들어 혈액순환이 원활해지기에 붓기 예방에 좋음 |
심혈관질환 예방 및 콜레스테롤 개선 | - 콩에는 칼륨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나트륨의 배출을 촉진하여 혈압과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춰주며, 심혈관질환에 도움을 줌 |
항산화작용 및 여성질환 예방 | - 콩에는 안토시아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콜라겐을 촉진하여 피부미용과 노화방지에 도움을 주고, 피부에 탄력과 윤기를 주어 피부세포의 노화를 막아줌 - 콩을 대표하는 기능성 물질인 이소플라본은 식물성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으로서 여성의 유방암 감소, 폐경기 증상 완화, 전립선질환 예방, 골다공증 방지 등에 효과가 있음 |
이런 영양이 (100g 기준/ 일반 콩, 마른 것)
영양분 | 함량 | 영양분 | 함량 | 영양분 | 함량 | |||
에너지 | Kcal | 120 | 총식이섬유 | g | - | 나이아신 | mg | 2.2 |
수분 | g | 9.7 | 수용성식이섬유 | g | - | 비타민C | mg | 0 |
단백질 | g | 36.2 | 불용성식이섬유 | g | - | 칼슘 | mg | 245 |
지질 | g | 17.8 | 비타민A(RE) | RE | - | 인 | mg | 620 |
회분 | g | 5.6 | 비타민A(레티놀) | ㎍ | - | 철 | mg | 6.5 |
탄수화물 | g | 30.7 | 비타민A(베타카로틴) | ㎍ | - | 나트륨 | mg | 1340 |
식염상당량 | g | - | 비타민B1 | mg | 0.53 | 칼륨 | mg | 2 |
폐기율 | % | - | 비타민B2 | mg | 0.28 | 섬유소 | g | 5 |
출처 | 농촌진흥청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 한국식품연구원 |
---|
미디어
2012년 06월 23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4년 11월 22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