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백과(카미위키)
서늘한 기후에도 잘 자라는 콩과 식물인 강낭콩은, 단백질, 지질뿐 아니라 다양한 무기질과 비타민과 같은 영양분을 고루 함유한 영양 식품으로 밥이나 떡, 빵, 과자 속에 넣어 먹고 어린 깍지 강낭콩은 채소로 활용되기도 한다.
구분 | 내용 |
외국어 표기 | Kidney bean(영어) |
---|---|
분류 | 두류 |
원산지 | 중남미 |
주요 생산지 |
- 충북 괴산, 청원 - 충남 논산, 금산, 홍성 - 전남 나주 - 경북 예천, 제천 |
특징 | 서늘한 기후에도 잘 자라고 생육 기간이 비교적 짧다. 붉은빛을 띠며 원통형에 조금 납작한 것이 특징이다. |
효능 및 영양성분 | 비타민 B 복합체가 다량 함유되어있어 면역력을 높여주며,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해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다. |
열량 | 100g당 169kcal (생것), 156kcal(삶은 것), 354kcal (마른 것) |
음식궁합 | 늙은 호박의 비타민A의 모체 베타카로티니가 많아 강낭콩의 단백질 글로블린과 함께 섭취하면 좋다. 또한 달래, 양파, 당근과 함께 섭취해도 좋다. |
활용 | 밥에 넣어 먹거나 떡, 빵, 과자의 속에 넣기도 하고, 서양 요리에서는 샐러드의 부재료로 사용된다. |
고르는 법 | 콩알이 윤기가 있고 모양이 일정하며, 선명한 적색이나 적갈색을 띠는 것을 고른다. 배꼽이 약간 튀어나와 있으면서, 배꼽 속에 흰 타원형 반점이 뚜렷한 것이 좋다. |
손질법 | 깨끗이 씻어 충분히 불린 뒤 사용한다. |
보관법 |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상온에 보관한다. |
먹는 법 | 강낭콩에는 렉틴과 트립신 억제제라는 독성물질이 들어있어,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한다. |
강낭콩이란?
- 붉은빛을 띠는 강낭콩은 서늘한 기후에도 잘 자라고 생육 기간이 비교적 짧은 콩과 식물로, 원통형에 조금 납작한 것이 특징이다. 빵이나 과자에 들어가는 백앙금은 원래 팥의 껍질을 제거하여 사용했지만, 현재 판매되는 백앙금의 대부분은 강낭콩을 이용해 만들고 있다.
- 강낭콩은 콩 중에서도 식감이 조금 퍽퍽하고 비린 맛이 있지만,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강낭콩을 밥에 넣어 먹거나 떡, 빵, 과자의 속에 넣기도 하고, 서양 요리에서는 샐러드의 부재료로 자주 사용된다. 또한 통조림이나 냉동품의 형태로 가공하여 유통하기도 하며, 줄기와 잎은 사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강낭콩의 종류
구분 | 강낭콩 1호 | 선두(경기2호) | 녹협1호(밀양2호) |
---|---|---|---|
사진 | |||
특징 |
-유한신육형으로 엽형은 장환형, 협색은 황백색, 종피색은 적색 -100립중은 29.4g이고 종실 수량은 161kg/10a -적응지역은 수량성이 비교적 높고 안정적 수량을 낸 경기, 강원지역 |
- 도복에 강하고 탄저병에 대해 저항성을 보이는 재해에 강한 품종 - 생두중이 무거운 대립 다수성이며, 성숙이 빠르고 협 및 종실에 붉은 무늬가 있어 시장기호도가 높음 - 선두의 10a당 생두 수량은 594kg - 춘파 노지재배시 파종기가 늦으면 수확기에 강우시기와 겹치므로 4월 중순까지 파종을 마치는 것이 좋음 |
- 유한신육형이고 성숙협색은 담황색 화색과 종피색은 백색이고 배축은 녹색임 |
구분 | 황협1호(밀양1호) | 황협2호(밀양3호) | 흑강 |
사진 | |||
특징 | - 유한신육형이고 성숙기의 협색은 담황색 꽃과 종피는 백색이고 배축은 녹색임 - 협채 수확기의 협은 황색이고 협단면은 타원형임 - 제1본엽은 기형엽이 발생함 - 용도는 협채소용이고 꼬투리의 신선도 유지기간이 길며, 꼬투리의 굵기는 가늘고 길이는 14cm 정도 - 온실재배한 협채소용 수량은 2,355kg/10a |
- 유한신육형이고 성숙협색은 담황색 화색과 종피색은 백색이고 배축은 녹색임 - 등숙기의 꼬투리색은 황색이고 단면은 둥근 모양임 - 용도는 협채소용이고 꼬투리가 많이 맺히며, 풋 강낭콩의 수확기간이 긴 다수성 품종 꼬투리의 굵기는 가늘고 길이는 13.7cm 정도 - 온실재배한 협채소용 수량은 2,243kg/10a |
- 한신육형이며, 꼬투리가 많고(28개/개체),다수성(생협,1,626/10a)인 품종 - 성숙한 종자의 종피색은 흑색,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음 -균핵병, 탄저병 등 내병성은 병해에 강함 - 용도는 밥밑 및 떡소, 과자등의 가공용이며 노지, 하우스 모두 재배 가능함 -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 비가림 하우스 재배시 보온시설로 출아 및 초기 생육을 촉진하는 것이 유리 |
강낭콩의 품종
왜성종 | 만성종 |
---|---|
- 직립형이고 생육기간이 50일 내외로 짧음 - 만성종 |
- 덩굴성이고 비교적 고온과 병해에는 강함 - 키가 크고 측지의 발생이 많아 생육기간과 수확기간이 길며 수량성도 높음 |
품목별 도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품목별 소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일일동향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유통단계별 거래형태
도매시장
- 대부분 20kg 그물망 벌크형태로 반입됨 |
전통(소매)시장
- 전통(소매) 시장의 경우, 주로 건조/가공한 형태로 500g단위, 1kg(진공소포장)단위 등 다양한 판매 형태로 거래됨 |
대형유통업체
- 400g 또는 500g 단위로 그물망에 콩깍지 벌크형태로 판매되거나 건조/가공하여 플라스틱 포장하여 판매됨. |
주요 반입되는 지역
주요 출하지역(‘18년 기준)
※ 콩류로 통합하여 출하분석을 실시하고 있어 콩류 통합하여 자료 작성
- 주 출하도는 ① 충청남도 ② 전라북도 ③ 강원도 순
- 시 군은 ① 충남 서천군 ② 충남 예산군 ③ 충남 부여군 순
- 총 반입량 중 3개 도에서 81.1%, 3개 시군에서 42.5%가 출하
순위 | 도별 | 비율 | 순위 | 도별 | 비율 |
---|---|---|---|---|---|
1 | 충청남도 | 67.1% | 6 | 충청북도 | 3.9% |
2 | 전라북도 | 7.1% | 7 | 전라남도 | 1.4% |
3 | 강원도 | 6.9% | 8 | 광주광역시 | 0.5% |
4 | 서울특별시 | 5.5% | 9 | 경상남도 | 0.3% |
5 | 경기도 | 4.3% | 10 | 대구광역시 | 0.3% |
지역별 출하비율 및 월별 반입량 점유율(18년 기준)
월별 주요 출하지역(‘18년 기준)
월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출하지 (물량순) |
전북 고창군 |
경기 이천시 |
충남 서천군 |
충남 부여군 |
충남 부여군 |
충남 예산군 |
충남 서천군 |
충남 공주시 |
충남 서산시 |
강원 춘천시 |
충남 예산군 |
전북 고창군 |
출처 |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2018년 출하지 분석집) |
---|
품목별 유통실태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강낭콩 고르는 법
- 콩알이 윤기가 있고 모양이 일정하며, 선명한 적색이나 적갈색을 띠는 것을 고른다.
- 콩 가운데 배꼽이 약간 튀어나와 있으면서, 배꼽 속에 흰 타원형 반점이 뚜렷한 것이 좋다.
- 깍지가 붙어있는 강낭콩을 구매한다면 껍질이 마르지 않고 촉촉하며, 부러뜨렸을 때 줄기가 남지 않는 것이 신선한 강낭콩이다.
- 껍질 표면에 반점이 있거나 주름이 있는 것은 오래된 것으로 피하는 것이 좋다.
-국산 강낭콩은 대체로 크기가 고르고 배꼽 속에 타원형 반점이 뚜렷한 편인 반면 수입 강낭콩은 콩알이 작고 긴 편이며 배꼽 주위가 검은색으로 둘러싸여 있고, 반점이 뚜렷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강낭콩 보관방법
-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상온에 보관한다.
- 깍지가 있는 강낭콩은 밀봉하여 냉장고에 보관하되, 장기보관은 껍질을 벗기고 데친 후 보관한다.
- 냉동실에 보관한 콩을 사용할 때는 바로바로 꺼내 가열하여 용도에 맞게 활용하면 된다.
강낭콩 활용법
용도 | 활용 메뉴 |
---|---|
밥, 죽, 스튜 | 강낭콩밥,강낭콩호박죽, 강낭콩수프, 강낭콩 토마토스튜 |
샐러드 | 각종 샐러드의 부재료 |
조림, 찜 | 강낭콩 조림 |
기타 | 경단, 강낭콩크래커, 강낭콩퓌레, 강낭콩 비프칠리소스, 쉐이크 , 상투과자(앙금과자), 강낭콩배기 쿠키, 강낭콩배기 파운드케익 |
출처 | - 대한민국 식재총람 -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 농사로 농업경영 매뉴얼)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식품정보누리, 농식품백과사전) |
---|
이런 효능이
구분 | 사진 | 특징 |
---|---|---|
붉은색 강낭콩 |
- 콩 종류 중에서도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편으로, 밥보다는 샐러드에 넣어 먹으면 영양소 비율을 맞춰 먹을 수 있음 - 비타민 A, B, C 가 풍부하고 섬유질이 많이 들어 있어 장 건강이 안 좋은 사람들에게 특히 좋음 - 성장발육을 돕는 필수 아미노산 라이신과 트립토판이 많아 성장기 어린이들이 챙겨 먹으면 건강에 도움이 됨 -설사나 만성위염에도 도움이 됨 |
|
흰 강낭콩 |
-미 해군의 영양 보충 식량으로 사용되어 '해군콩' 이라는 이름이 붙여짐 -미국과 이탈리아에서 다이어트 식품으로 유명하며, 식이섬유가 포만감을 줘 운동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을 줌 - 파세올라민이라는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탄수활물 흡수를 줄여주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음 |
이런 영양이
출처 | - 대한민국 식재총람 -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 농사로 농업경영 매뉴얼)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식품정보누리, 농식품백과사전) |
---|
미디어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
동영상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