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백과(카미위키)
검은콩은 흑태, 서리태, 서목태 등과 같은 검은빛을 띠는 콩을 통칭하는 대표적인 블랙푸드로 양질의 단백질, 지방뿐만 아니라 안토시아닌과 이소플라본이 풍부하게 함유되어있는 건강식품이다.
구분 | 내용 |
외국어 표기 | Black beans(영어) |
---|---|
분류 | 두류 |
주요 생산지 |
- 강원 고성, 양구 - 충북 제천 - 충남 태안 등 |
어원/유래 | 흑태, 서리태, 서목태 등과 같이 검은빛을 띠는 콩을 통칭한다. |
특징 | 대표적인 블랙푸드로 양질의 단백질, 지방과 안토시아닌, 이소플라본이 풍부하게 함유되어있는 건강식품이다. |
종류 (구분, 품종) |
흑태, 서리태, 서목태 등 |
효능 및 영양성분 | 안토시아닌과 이소플라본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노화 방지 효과가 있다.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춰주고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열량 | 100g당 414kcal (서리태, 마른 것), 421kcal (흑태, 마른 것) |
음식궁합 | 식초가 콩에 풍부한 단백질의 소화 흡수를 도와주며 체내 세균 억제 작용을한다. |
활용 | 검은콩은 밥에 넣어 먹기도 하고, 간장에 조려 콩자반을 만들어 먹거나 콩떡 등에 활용한다. |
고르는 법 | 껍질이 균일하게 검은색을 띠고 윤기가 나는 것이 좋다. 낱알의 굵기가 고르고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한다. |
손질법 | 깨끗이 씻어 5~10시간 정도 충분히 불려 사용한다. |
보관법 | 생수병에 넣어 서늘한 곳에 보관하면 벌레도 생기지 않고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
검은콩이란?
- 검은콩은 흑태, 서리태, 서목태 등과 같이 검은빛을 띠는 콩을 통칭한다.
- 흑태는 검은콩 가운데서 가장 크기가 크며, 서리태는 서리가 내리는 상강(10월 말) 즈음에 수확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일반 검은콩과 마찬가지로 껍질은 검은색이지만 속은 파래서 속청이라고도 부른다.
- 서목태는 크기가 작아 쥐눈이콩, 약콩으로 불리기도 한다. 검은콩은 밥에 넣어 먹기도 하고, 간장에 조려 콩자반을 만들어 먹거나 콩떡 등에 사용된다.
검은콩 품종
구분 | 흑태 | 서목태 | 서리태 |
특징 | 검은콩 중에서도 크기가 가장 크며, 속이 노란색임 | 다른 검은콩보다 크기가 작아 마치 쥐눈처럼 보인다하여 쥐눈이콩이라고 불림 | 서리가 내리는 10월말쯤 수확한다고 하여 붙여졌고, 속이 파래서 속청이라고도 불림 |
활용 | 콩밥이나, 콩자반 등에 사용됨 | 한방에서 약재로 쓰임 | 콩떡이나 콩자반, 콩밥 등에 사용됨 |
사진 |
출처 | - 농촌진흥청 - 우수 식재료 디렉토리 |
---|
품목별 도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품목별 소매가격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일일동향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유통단계별 거래형태
도매시장
- 1kg 형태로 거래됨 |
전통(소매)시장
- 600g, 700g, 720g, 1kg 등 다양한 판매 형태로 거래됨 |
대형유통업체
- 500g, 700g, 1kg, 2kg, 등 다양한 판매 형태로 거래됨 |
주요 반입되는 지역
주요 출하지역 (‘18년 기준)
ㆍ주 출하도는 ① 충청남도 ② 전라북도 ③ 강원도 순
ㆍ시 군은 ① 충남 서천군 ②충남 예산군 ③ 충남 부여군
ㆍ총 반입량 중 3개 도에서 81.12%, 3개 시군에서 42.5%가 출하
순위 | 도별 | 비율 | 순위 | 시(군, 구) | 비율 |
1 | 충청남도 | 67.1% | 1 | 충남 서천군 | 17.7% |
2 | 전라북도 | 7.1% | 2 | 충남 예산군 | 16.3% |
3 | 강원도 | 6.9% | 3 | 충남 부여군 | 11.25 |
4 | 서울특별시 | 5.5% | 4 | 서울 송파구 | 5.4% |
5 | 경기도 | 4.3% | 5 | 충남 보령시 | 4.1% |
지역별 출하비율 및 반입량(‘18년 기준)
월별 주요 출하지역(‘18년 기준)
월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출하지 (물량순) |
고창군 부여군 |
이천시 서천군 |
서천군 부여군 |
부여군 나주시 |
부여군 서천군 |
예산군 서천군 |
서천군 송파구 |
공주시 인제군 |
서산시 서천군 |
춘천시 홍천군 |
예산군 전주시 |
고창군 전주시 |
출처 |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
---|
품목별 유통실태
※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품목입니다검은콩 고르는 tip
- 검은콩은 껍질이 균일하게 검은색을 띠고 윤기가 나는 것이 좋다. 낱알의 굵기가 고르고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한다. 국산 검은콩은 보통 낱알이 굵고 손상된 낱알 거의 없다. 또한 배꼽 속의 눈 모양이 회색이며 그 속에 갈색 선이 뚜렷하게 보이는 편이다.
- 반면 수입 검은콩은 낱알이 작고 손상된 낱알이 보이며, 배꼽 속에 갈색 선이 희미한 편으로 구입 시 꼼꼼히 비교 후 구매하는 것이 좋다.
손질은 이렇게
- 깨끗이 씻어준 콩을 큰 볼에 넣어주고, 볼에 물을 콩이 잠길 만큼 넉넉히 넣어주어 충분히 불린 뒤 사용한다. 콩 조림 등을 할 때는 요리 전 5~10시간 정도 충분히 불려야 콩 조직이 부드러워진다.
- 급하게 불려야 할 경우에는 따뜻한 물에 불려주면 불리는 시간을 조금 단축할 수 있다.
보관은 이렇게
- 콩은 통풍이 잘 되도록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18~22℃의 상온에서 3개월 정도 보관이 가능하다. 생수병에 넣어 서늘한 곳에 보관하면 벌레도 생기지 않고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 불려놓은 콩은 물기를 제거하고 냉동실에 보관하여 필요할 때마다 꺼내어 바로 쓸 수 있다.
활용은 이렇게
용도 | 활용메뉴 |
---|---|
밥, 죽, 면, 수제비 | 콩밥, 검은콩수프, 검은콩국수, 검은콩 밥, 검은콩 수제비 |
찌개 | 검은콩 비지찌개 |
샐러드 | 각종 샐러드에 활용 (토핑 등) |
볶음 | 검은콩 멸치볶음 |
전 | 검은콩전 |
조림 | 콩자반 |
기타 | 검은콩 차, 검은콩 두부, 검은콩 쉐이크, 검은콩 라떼, 검은콩 케이크/브라우니, 검은콩 찰떡, 검은콩 강정 |
출처 | -대한민국 식재총람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식품정보누리) |
---|
이런 효능이
- 검은색을 띠는 색소로 주로 검정콩 껍질에 많은 안토시아닌과 이소플라본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원활한 혈액순환과 노화를 방지시켜줌
-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 불리는 이소플라본은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효능은 물론, 비타민이 풍부한 해조류와 함께 먹으면 폐경기 증후군 완화에 도움을 주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
- 검은콩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고 심장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켜줌
- 비타민 B1과 비타민 B12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줌
- 한방에서는 검정콩과 팥을 볶아 가루로 만들어 독을 제거하는데 사용하기도 함
이런 영양이 영양성분(100g / 검은콩, 생것)
출처 | - 농촌진흥청 |
---|
미디어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