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유통뉴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어린이 제품·식품·놀이공원 ‘맞춤형’ 안전대책 추진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17-11-03 | 조회수 | 3552 |
---|---|---|---|---|---|
어린이가 자주 사용하는 매트 등의 제품, 즐겨 찾는 놀이공원, 먹는 음식까지 전반에 걸쳐 어린이 ‘맞춤형’ 안전대책이 마련된다.
특히, 어린이 식품의 경우 법 위반시 ‘무관용 원칙’으로 강력 대응하기로 했다.
정부는 19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5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어린이 안전대책 주요 추진과제’를 논의·확정했다.
이는 최근 일명 용가리과자로 불리는 질소과자 사고, 놀이기구 멈춤사고 등 어린이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고가 계속 발생함에 따른 것이다.
우선 정부는 어린이 제품의 생산·수입, 유통, 구매·사용 단계별 전 주기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어린이가 자주 사용하는 제품과 핑거페인트 등과 같이 논란이 되는 위해요인에 대해서는 선제적 안전성 조사를 즉시 실시하고 안전기준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소비자 단체와 협업으로 안전모니터링을 확대해 불법·불량제품의 시장유통을 차단하고 수입제품의 통관 관리도 강화할 계획이다.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어린이 연령별 맞춤형 안전사고 예방교육도 병행한다.
놀이공원과 같은 유원시설의 경우 사고 위험이 큰 시설을 집중 점검하고 무허가 유원시설 단속은 강화한다.
이와 함께 화재, 추락 등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불연·난연재료 의무 사용을 확대하고 일정높이(0.6m) 이상의 승강장에는 안전울타리 설치도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용객이 유원시설의 안전검사 결과와 사고이력 등의 정보를 쉽게 조회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은 내년 4월(1차) 구축할 방침이다.
어린이 식품은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법 위반 시 무관용 원칙에 따라 강력히 대응한다.
과자 등에 액체질소가 잔류하지 않도록 사용기준을 신설하고 위반 시 영업소를 폐쇄하는 등 처벌을 강화하기로 했다.
액체질소, 드라이아이스, 신맛이 나는 캔디 등 안전사고 우려가 있는 품목에 대해서는 취급주의 표시를 의무화할 예정이다.
어린이집, 유치원 등 어린이 시설의 위생지도·점검도 강화한다.
정부는 이날 논의된 사안에 어린이보호구역과 통학버스 대책 등 어린이 교통사고 절감 방안까지 포함한 종합대책을 내년 상반기까지 수립할 계획이다.
문의: 국무조정실 안전환경정책관실 044-200-2342
2017.10.19 국무조정실
|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일 | 조회수 |
---|---|---|---|---|
5180 | 대형유통업체 ‘반품 갑질’ 막는다…심사지침 제정 | - | 2018-01-12 | 3,206 |
5179 | 내년부터 생리대 모든 성분 표시해야 | - | 2017-12-27 | 3,155 |
5178 | 전통시장 원산지 표시, 어디가 잘할까? | - | 2017-12-15 | 3,416 |
5177 | 농식품 원산지 위반 디지털포렌식으로 잡는다 | - | 2017-11-29 | 3,415 |
5176 | 어린이 제품·식품·놀이공원 ‘맞춤형’ 안전대책 추진 | - | 2017-11-03 | 3,553 |
5175 | 2018년도 예산안 내 삶은 어떻게 바뀔까? | - | 2017-10-16 | 4,612 |
5174 | 사과·소고기 등 추석 10대 성수품 공급 1.4배 확대 | - | 2017-09-18 | 5,128 |
5173 | 공급확대·할인판매…추석 물가 잡는다 | - | 2017-09-18 | 5,208 |
5172 | 살아있는 광어·우럭 등 4종 캐나다 수출 길 열렸다 | - | 2017-09-06 | 5,654 |
5171 | 배·딸기 등 국산 신선 농산물 본격 수출 개시 | - | 2017-08-07 | 6,350 |
5170 | 빈병 반환율 껑충…보증금 제도 성공적 정착 | - | 2017-08-07 | 6,306 |
5169 | 5월 유통업체 매출 6.3% 증가…편의점 10.5% ↑ | - | 2017-06-30 | 6,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