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
소비자상식
소비자상식
삼계탕 ‘7문 7답’…알고 먹으면 더 맛있다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18-07-19 | 조회수 | 1664 |
---|---|---|---|---|---|
농진청, 유래와 역사·맞는 체질 등 삼계탕 관련 궁금증 해소
농촌진흥청은 초복을 하루 앞두고 우리나라의 대표 보양식인 삼계탕에 대한 소비자의 궁금증을 풀어봤다.
◇ 계삼탕? 삼계탕?
주재료가 닭이고 부재료가 인삼이었기에 본래 ‘계삼탕’으로 불렸다. 닭보다 인삼이 귀하다는 인식이 생기면서부터는 지금의 이름인 ‘삼계탕’으로 불렀다.
◇ 왜 복날 먹을까?
삼복은 일 년 중 가장 더운 기간이다. 땀을 많이 흘리고 체력 소모가 큰 여름, 몸 밖이 덥고 안이 차가우면 위장 기능이 약해져 기력을 잃고 병을 얻기 쉽다. 닭과 인삼은 열을 내는 음식으로 따뜻한 기운을 내장 안으로 불어넣고 더위에 지친 몸을 회복하는 효과가 있다.
◇ 삼계탕 역사는?
사육한 닭에 대한 기록은 청동기 시대부터지만, 삼계탕에 대한 기록은 조선 시대 문헌에서조차 찾기 힘들다. 조선 시대의 닭 요리는 닭백숙이 일반적이었다. 일제강점기 들어 부잣집에서 닭백숙, 닭국에 가루 형태의 인삼을 넣는 삼계탕이 만들어졌다. 지금의 삼계탕 형태는 1960년대 이후, 대중화 된 것은 1970년대 이후다.
◇ 닭백숙과 차이는?
조리법에 큰 차이는 없지만, 닭이 다르다. 백숙은 육계(고기용 닭)나 10주령 이상의 2kg 정도인 토종닭을 사용한다. 삼계탕용은 28~30일 키운 800g 정도의 영계(어린 닭)를 사용한다.
◇ 토종닭으로 삼계탕을 끓일 수 있다는데?
농진청은 한국 재래닭을 수집해 품종을 복원하고 이를 교배해 ‘우리맛닭’을 개발했다. 특히 ‘우리맛닭 2호’는 육질이 부드럽고 초기 성장이 빨라 5주령 정도 키워 토종 삼계용으로 요리하기에 알맞다.
◇ 삼계탕에 든 대추 먹어도 될까?
잘못 알려진 속설 중에 ‘대추는 삼계탕 재료의 독을 빨아들이기 때문에 먹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대추가 약 기운을 빨아들이는 것은 맞지만 삼계탕에 들어가는 재료는 몸에 좋은 것들이므로 굳이 대추를 피할 필요는 없다.
◇ 모든 체질에 다 맞을까?
닭과 인삼은 따뜻한 성질을 가진 식품이다. 체질적으로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인삼보다 황기를 넣거나 차가운 성질인 녹두를 더해 몸 속의 열을 다스리는 것이 좋다. 여성은 수족냉증, 생리불순, 빈혈, 변비에 효과가 있는 당귀를 넣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권일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농업연구사는 “지금 산지 닭 값이 1kg에 1000원 정도로 생산비보다 낮다”며 “복날엔 가족과 뜨끈한 삼계탕을 나누며 농가도 돕고 건강도 챙길 수 있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다양한 삼계탕 조리 방법은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lib.rda.go.kr) ‘우리맛닭을 이용한 삼계탕의 세계화’ 책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농촌진흥청 가금연구소 033-330-9533
농촌진흥청 2018.07.16
|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일 | 조회수 |
---|---|---|---|---|
654 | 면역력 높여주는 ‘슈퍼푸드 6가지’ |
![]() |
2015-06-18 | 9,100 |
653 | '매실주' 안전하게 담그세요 | - | 2015-06-05 | 7,862 |
652 | 농식품부·한돈농가, 돼지고기 값 안정 공동 대응 | - | 2015-06-03 | 7,173 |
651 | <끝물 딸기 올바른 활용법> 스타벅스 딸기크림 프라푸치노 3분안에 만들기! |
![]() |
2015-05-19 | 8,909 |
650 | 봄철 춘곤증·피로감 날려주는 토종 약초는? 농진청 “방풍나물·두릅·쑥 등 효과” | - | 2015-03-10 | 7,789 |
649 | ‘새콤달콤 제주 한라봉’미국 식탁에 오른다!! |
![]() |
2015-03-06 | 6,646 |
648 | 굴·꼬막 등 봄철 수산물 패류독소 검사 강화 | - | 2015-03-05 | 7,035 |
647 | ‘노루궁뎅이버섯’, 염증 억제 효과 탁월 |
![]() |
2015-02-10 | 7,659 |
646 | 설 명절, 과일 고르는 꿀팁! |
![]() |
2015-02-10 | 7,182 |
645 | [동·식물 검역토크] 녹용에 대한 이해와 대중화 | - | 2015-01-29 | 9,446 |
644 | 한국형 크래프트 맥주 활성화된다 | - | 2015-01-29 | 6,772 |
643 | 최초의 술, 침을 뱉어 만들었다 | - | 2015-01-27 | 5,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