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실태 > 실태조사요령 > 물류비산정

물류비산정

농산물 유통실태 및 비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물류비 산정개요

『물류』의 정의

물류란 유형ㆍ무형의 모든 재화에 대해 공급과 수요를 연결하는 공간과 시간의 극복에 관한 물리적인 경제활동을 말하며, 수송, 보관, 포장, 하역의 물자유통활동과 물류에 관련되는 정보활동을 포함한다.

농산물물류의 정의 및 구성요소

농산물 물류란 농산물이 상품으로서 생산자의 손을 떠나 소비자에 이르기까지의 물리적 흐름을 말한다.
농산물 물류의 구성

농산물 물류의 구성

물류와 [商流]와의 관계

상류란 수요자가 공급자에게 상품의 대금을 지불함으로써 상품의 소유권이 수요자에게 이전되는 것과 관련된 제반 활동을 말하며 구매기능과 판매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매기능은 구매처 발굴.수집, 기타 구매에 따른 활동을 말하며 판매기능은 가격결정과 판매촉진활동을 말한다.

물류비 정의

농산물 물류비는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 이르는 물적인 흐름에 소요되는 제비용 합계이며 포장.가공비 (포장,가공,선별비), 운송비, 하역비, 보관비, 감모.청소비, 물류관리비 등이 있다.
농산물은 공산품과 달리 유통과정에서 부패하기 쉽고 선별이 필요하므로 선별비, 감모비, 쓰레기 처리비용 등도 물류비에 포함한다.
※ 농산물유통비용= 상거래 비용(소유권이전시 발생하는 비용) + 물류비용
상거래비용 : 상장수수료, 소개료, 상거래에 소요되는 일반관리비, 상인이윤 등
물류비용 : 운송비, 보관비, 포장.가공.선별비, 하역비, 감모.청소비, 물류관리비 등
물류비와 유통비용과의 관계
유통비용
물류비 기타 유통 비용
포장가공비 운송비 하역비 보관비 감모청소비 물류관리비 상장수수료 임대료 일반관리비 이윤

물류비 산정체계

목적

  • 농산물 유통비용 중에서 물류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감에 따라 물류비 절감이 중요한 정책적 과제로 등장하면서 농산물 물류비 산정 요구
  • 유통정책(물류표준화) 추진시 정책적 목표 설정을 위한 자료 제공
  • 비용구조 분석을 통한 물류비 절감방안 도출 및 물류표준화 추진효과 측정 등 국가 경쟁력 향상 도모

산정절차

차물류비산정기준설정 -> 기초자료조사(통계, 실태자료) -> 물류비 산정작업(비용계산, 컴퓨터 이용) -> 검증(국가물류비 비교, 특이치 검색)
-> 물류비 확정 및 보고서 작성 -> 자료활용

조사항목

포장·가공비, 운송비, 하역비, 보관비, 감모청소비, 물류관리비 등이 있다.

물류비 산정방법

농식품부 생산 통계자료, 공사의 유통실태 조사자료, 도매시장통계자료 및 자체 조사결과 자료를 활용

  • 포장.가공비운송비 : 공사 유통실태 조사결과 활용
  • 하 역 비 : 실태조사 자료 및 도매시장 하역요율 기준
  • 보 관 비 : 품목별 실태조사 자료 및 양정자료 활용
  • 물류관리비 : 국가물류비 산정기준에 따라 출하액의 일정율을 적용

수산물.임산물을 제외한 전 농산물을 대상으로 조사(69개품목)

  • 식량작물 : 쌀, 보리, 콩, 옥수수, 감자, 고구마, 기타 등(12개)
  • 청 과 류 : 배추, 무, 마늘, 양파, 수박, 참외, 배, 사과, 기타 등(35개)
  • 축 산 물 :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우유, 기타 등(7개)
  • 기 타 : 참깨, 땅콩, 화훼, 약용작물, 전매작물, 기타 등(15개)